목차
Ⅰ서론
Ⅱ 대학국어 강좌의 현실
1. 대학국어 강좌의 목적
2. 대학국어 강좌의 목적 달성 실태
Ⅲ 대학국어 강좌의 문제점
1. 커리큘럼의 문제점
1.1 양적 측면
1.2 내용적 측면
2. 기타 문제점
Ⅳ 대학국어 강좌의 개선 방안
1. 대학국어 강좌의 긍정적 가능성
2. 커리큘럼의 개선 방안
2.1 양적 측면
2.2 내용적 측면
3. 기타 개선 방안
Ⅴ 결론
1. 요약 및 결론
2. 의의 및 한계점
- 참고문헌
Ⅱ 대학국어 강좌의 현실
1. 대학국어 강좌의 목적
2. 대학국어 강좌의 목적 달성 실태
Ⅲ 대학국어 강좌의 문제점
1. 커리큘럼의 문제점
1.1 양적 측면
1.2 내용적 측면
2. 기타 문제점
Ⅳ 대학국어 강좌의 개선 방안
1. 대학국어 강좌의 긍정적 가능성
2. 커리큘럼의 개선 방안
2.1 양적 측면
2.2 내용적 측면
3. 기타 개선 방안
Ⅴ 결론
1. 요약 및 결론
2. 의의 및 한계점
- 참고문헌
본문내용
운영한다면 조금 나은 교육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강좌를 다르게 운영한다 함은 대상 학습 집단이 학습하기에 용이한 소재로 커리큘럼을 구성하고, 단과대의 특성에 따라 특히 필요시 되는 항목을 강화해서 가르치는 것을 말한다. 물론 교재도 단과대별로 구분되어서 각각 다른 것을 이용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이러한 맞춤형 글쓰기 교육은 실제 영남대학교에서 이루어지고 있다. 영남대의 경우, 2002년도에 처음 시행된 ‘대학교육과정 개발연구 지원사업’의 지원을 받아 맞춤형 글쓰기 교재를 개발하였는데, 그 결과 이공계열, 사회계열, 예체능계열, 인문계열 총 4개의 계열별 교재가 완성되어 2004년부터 활용하고 있다.
중요한 외적 요인이 되는 학습자/지도자의 태도도 개선될 필요성이 있다. 결국은 개인의 문제이기도 하지만, 개개인이 모두 의욕적이고 진지한 태도를 가질 수 있도록 유도하려는 노력도 있어야 한다. 이러한 노력의 일환으로, 의욕을 고취시킬 수 있는 분위기와 풍조를 유지하려는 노력이 있어야 하는데, 이는 지도자와 학습자간의 소통을 권장을 함으로써 어느 정도 이룩될 수 있다.
Ⅴ 결론
1. 요약 및 결론
대학국어 강좌의 실질적인 목적이 글쓰기 교육에 있음은 강의 계획서와 교재를 살펴봄으로써 알 수 있었다. 이에 따라, 강좌가 노력에 대한 성과를 그다지 효율적으로 이룩해내지 못 하고 있다는 애초의 의문을 확인하기 위해 설문조사를 하였고, 그 결과를 통해 문제 제기가 정확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문제의 해결을 위해서는 현상을 정확히 파악할 필요가 있었는데, 문제의 원인을 분석해본 결과 비효율의 문제는 강좌의 커리큘럼에서 많은 부분 기인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커리큘럼은 양적으로 과다하게 구성되어 각 교육 항목이 부실하게 교육되도록 하는 등의 문제점을 지니고 있었으며, 내용적으로 텍스트 주변의 맥락과 통합되지 못한 구성을 하고 있는 등의 문제점을 나타내고 있었다. 하지만 대학국어 강좌에는 토론과 같은 과정이 도입되기 용이하다는 점과 같이 긍정적으로 평가될 수 있는 요소를 다수 포함하고 있었고 그것을 참고로 하여 몇 가지 개선책을 도출해낼 수 있었다. 먼저 양적인 측면의 개선을 위해 교육 항목을 통합/삭제하는 등의 개선책을 도출해낼 수 있었다. 내용적인 측면에서는, 커리큘럼에 토론 과정과 같은 활동을 포함시키는 등의 방법들을 통해 맥락적 학습을 기존의 텍스트 유형 학습에 통합시키는 방안을 생각해낼 수 있었다. 이러한 개선책에 따라 대학국어 강좌를 고쳐나간다면, 지금의 비효율적 현실을 극복하고 가치 있는 강좌로 거듭날 수 있을 것이다.
2. 의의 및 한계점
본 논문은 대학국어 강좌의 과제물로써 집필되었으며, 대학국어 강좌의 문제점을 지적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 과제물을 제출하는 해당 강좌에 대해 비판적 입장을 취하는 것은 분명 쉬운 일은 아닐 것이다. 그럼에도 현실에서 체감하는 문제에 대해 과감히 문제 제기를 하고, 그 주장에 대해 소신을 지켰으며, 끝까지 논지를 확고히 하기 위해 노력하였다. 이렇게 대학의 강좌를 수강하는 학생 당사들이, 강좌에서 나타나는 문제점에 대해 직접 규명하고 개선책까지 제시하고자 하였다는 데에 큰 의의가 있다.
다만 이 논문은 다음과 같은 여러 가지 한계점을 지닌다.
먼저 현실의 실태를 밝히고 문제점을 분석하는데 핵심적인 수단이 된 설문조사가 충분한 표본을 대상으로 이루어지지 못했다는 점이 지적될 수 있다. 설문 조사에 충분한 시간을 할애하지 못하여 많은 응답자의 의견을 듣지 못하였으며, 얻은 응답자 또한 공과대학 재학생에 편중되어버리고 말았다. 이러한 문제점은 설문 자료의 분석에 많은 제한을 가져다 주었고, 특히 응답 대상에 따른 특성이 있는지 알아보고자 했던 본래의 의도를 제대로 이루지 못하는 결과를 낳고 말았다.
논문 중간에 언급된 각종 사실들에 대해 일일이 검증해내지 못한 것도 한계점으로 작용한다. 기말고사의 변별력이 압도적으로 높았다는 사실에 대한 증명을 위해서는 실제 강좌에서 이루어진 평가의 내역자료가 필요했는데 이를 실제로 구하여 자료로 쓰는 것이 불가능 하였다. 이 외에도 비슷한 맥락에서 문제점으로 지적될 수 있는 부분이 많다.
실제의 사례를 제시하는데 있어서 풍부한 자료를 제시하지 못한 것 또한 일반화의 오류로 이어질 가능성을 지니고 있다. 예를 들어, 타 학교의 경우를 실례로 드는 부분에서는 한 학교의 강의 계획서밖에 제시하지 못하였다.
그 외에도 논문의 내용 자체에 포함시키고자 했던 내용 및 논의를 시간 관계상 포함시키지 못한 부분이 많다. 예를 들어 텍스트 유형과 맥락의 통합을 이야기 했던 부분에서 인지과정의 통합에 대한 부분을 다루지 못했으며, 통합의 방안으로도 몇 가지의 논의 밖에 포함시키지 못했다. 그 외에도 문제분석에 대응하는 정도의 방안 논의가 충분히 포함되지 못한 점 등, 애초에 조별 토의를 통해 세운 계획 중 실제에 옮기지 못한 부분이 많이 존재한다.
전체적으로 충분한 시간을 투자할 수 없었던 것이 여러 한계점을 낳는 가장 근본적인 원인이 되었다.
- 참고문헌
박덕유(1998), 작문교육의 이론과 실제, 한국문화사
박태호(2000), 장르 중심 작문 교수 학습론, 박이정
서울대학교 대학국어편찬위원회(2004), 대학국어, 서울대학교출판부
이병기(1997), “공학도의 작문 및 발표 교육”, 공학교육과 기술 4권 2호 pp. 63-76
이재승(1998), “쓰기 과정에서 교정의 의미와 양상”, 한국학술정보, 국어교육 Vol97 pp. 117-136
최동주, 박승희, 박종갑(2004), “이공계열 직업 세계와 맞춤형 글쓰기”, 영남대학교출판부
Swales, J.& Hyon, S.(1994), "Genres of power", in Purves, A.C.(ed) Encyclopedia of English studies and language arts, Vol.1, NY : Leadership Policy Research, pp532-533
Vygotsky, L. S.(1978), Mind in society : the development of higher psychological process, Cole, M. et al
중요한 외적 요인이 되는 학습자/지도자의 태도도 개선될 필요성이 있다. 결국은 개인의 문제이기도 하지만, 개개인이 모두 의욕적이고 진지한 태도를 가질 수 있도록 유도하려는 노력도 있어야 한다. 이러한 노력의 일환으로, 의욕을 고취시킬 수 있는 분위기와 풍조를 유지하려는 노력이 있어야 하는데, 이는 지도자와 학습자간의 소통을 권장을 함으로써 어느 정도 이룩될 수 있다.
Ⅴ 결론
1. 요약 및 결론
대학국어 강좌의 실질적인 목적이 글쓰기 교육에 있음은 강의 계획서와 교재를 살펴봄으로써 알 수 있었다. 이에 따라, 강좌가 노력에 대한 성과를 그다지 효율적으로 이룩해내지 못 하고 있다는 애초의 의문을 확인하기 위해 설문조사를 하였고, 그 결과를 통해 문제 제기가 정확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문제의 해결을 위해서는 현상을 정확히 파악할 필요가 있었는데, 문제의 원인을 분석해본 결과 비효율의 문제는 강좌의 커리큘럼에서 많은 부분 기인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커리큘럼은 양적으로 과다하게 구성되어 각 교육 항목이 부실하게 교육되도록 하는 등의 문제점을 지니고 있었으며, 내용적으로 텍스트 주변의 맥락과 통합되지 못한 구성을 하고 있는 등의 문제점을 나타내고 있었다. 하지만 대학국어 강좌에는 토론과 같은 과정이 도입되기 용이하다는 점과 같이 긍정적으로 평가될 수 있는 요소를 다수 포함하고 있었고 그것을 참고로 하여 몇 가지 개선책을 도출해낼 수 있었다. 먼저 양적인 측면의 개선을 위해 교육 항목을 통합/삭제하는 등의 개선책을 도출해낼 수 있었다. 내용적인 측면에서는, 커리큘럼에 토론 과정과 같은 활동을 포함시키는 등의 방법들을 통해 맥락적 학습을 기존의 텍스트 유형 학습에 통합시키는 방안을 생각해낼 수 있었다. 이러한 개선책에 따라 대학국어 강좌를 고쳐나간다면, 지금의 비효율적 현실을 극복하고 가치 있는 강좌로 거듭날 수 있을 것이다.
2. 의의 및 한계점
본 논문은 대학국어 강좌의 과제물로써 집필되었으며, 대학국어 강좌의 문제점을 지적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 과제물을 제출하는 해당 강좌에 대해 비판적 입장을 취하는 것은 분명 쉬운 일은 아닐 것이다. 그럼에도 현실에서 체감하는 문제에 대해 과감히 문제 제기를 하고, 그 주장에 대해 소신을 지켰으며, 끝까지 논지를 확고히 하기 위해 노력하였다. 이렇게 대학의 강좌를 수강하는 학생 당사들이, 강좌에서 나타나는 문제점에 대해 직접 규명하고 개선책까지 제시하고자 하였다는 데에 큰 의의가 있다.
다만 이 논문은 다음과 같은 여러 가지 한계점을 지닌다.
먼저 현실의 실태를 밝히고 문제점을 분석하는데 핵심적인 수단이 된 설문조사가 충분한 표본을 대상으로 이루어지지 못했다는 점이 지적될 수 있다. 설문 조사에 충분한 시간을 할애하지 못하여 많은 응답자의 의견을 듣지 못하였으며, 얻은 응답자 또한 공과대학 재학생에 편중되어버리고 말았다. 이러한 문제점은 설문 자료의 분석에 많은 제한을 가져다 주었고, 특히 응답 대상에 따른 특성이 있는지 알아보고자 했던 본래의 의도를 제대로 이루지 못하는 결과를 낳고 말았다.
논문 중간에 언급된 각종 사실들에 대해 일일이 검증해내지 못한 것도 한계점으로 작용한다. 기말고사의 변별력이 압도적으로 높았다는 사실에 대한 증명을 위해서는 실제 강좌에서 이루어진 평가의 내역자료가 필요했는데 이를 실제로 구하여 자료로 쓰는 것이 불가능 하였다. 이 외에도 비슷한 맥락에서 문제점으로 지적될 수 있는 부분이 많다.
실제의 사례를 제시하는데 있어서 풍부한 자료를 제시하지 못한 것 또한 일반화의 오류로 이어질 가능성을 지니고 있다. 예를 들어, 타 학교의 경우를 실례로 드는 부분에서는 한 학교의 강의 계획서밖에 제시하지 못하였다.
그 외에도 논문의 내용 자체에 포함시키고자 했던 내용 및 논의를 시간 관계상 포함시키지 못한 부분이 많다. 예를 들어 텍스트 유형과 맥락의 통합을 이야기 했던 부분에서 인지과정의 통합에 대한 부분을 다루지 못했으며, 통합의 방안으로도 몇 가지의 논의 밖에 포함시키지 못했다. 그 외에도 문제분석에 대응하는 정도의 방안 논의가 충분히 포함되지 못한 점 등, 애초에 조별 토의를 통해 세운 계획 중 실제에 옮기지 못한 부분이 많이 존재한다.
전체적으로 충분한 시간을 투자할 수 없었던 것이 여러 한계점을 낳는 가장 근본적인 원인이 되었다.
- 참고문헌
박덕유(1998), 작문교육의 이론과 실제, 한국문화사
박태호(2000), 장르 중심 작문 교수 학습론, 박이정
서울대학교 대학국어편찬위원회(2004), 대학국어, 서울대학교출판부
이병기(1997), “공학도의 작문 및 발표 교육”, 공학교육과 기술 4권 2호 pp. 63-76
이재승(1998), “쓰기 과정에서 교정의 의미와 양상”, 한국학술정보, 국어교육 Vol97 pp. 117-136
최동주, 박승희, 박종갑(2004), “이공계열 직업 세계와 맞춤형 글쓰기”, 영남대학교출판부
Swales, J.& Hyon, S.(1994), "Genres of power", in Purves, A.C.(ed) Encyclopedia of English studies and language arts, Vol.1, NY : Leadership Policy Research, pp532-533
Vygotsky, L. S.(1978), Mind in society : the development of higher psychological process, Cole, M. et al
키워드
추천자료
제7차 초등국어 교육과정에 대한 이해(문제점과 대안)
현재 국어과 교육의 문제점과 올바른 국어과의 교육과 이의 필요성, 그리고 그러한 국어 수업...
현재 국어과 교육의 문제점과 이의 개선을 위해 교사가 해야하는 교수방법과 평가
[국어작문] 여성 성억압의 실태 및 문제점과 대안문화의 연구
국어교육에 있어서의 문제점 및 해결방안
7차 교육과정의 문제점 (국어)
[도서관 이용자교육]도서관 이용자교육의 개념, 도서관 이용자교육의 필요성, 도서관 이용자...
통일대비교육의 개념, 통일대비교육의 필요성, 통일대비교육의 실태, 통일대비교육과 국어교...
[과학기술인력양성, 이공계인력]과학기술인력양성과 이공계인력, 지원사업프로그램, 과학기술...
자원봉사론 - 대학생 자원봉사활동의 목적과 의의, 대학생 자원봉사활동의 효과와 필요성 및 ...
[★우수레포트★][사이버대학] 평생교육의 정의, 사이버대학의 의미, 유형, 현황, 운영사례, 사...
목표 중심 체제 국어교과서의 문제점과 개선 방향
대학생활의 문제점 (대학생들의 “냄비근성”의 실태에 대하여..).ppt
[★발표자료★][대학생의 여가생활] 여가 개념, 여가생활의 역사, 배경, 대학생 여가 생활 문제...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