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머리말
2. 부정법
2.1. 부정사 종류
2.2. 부정문 범위
2.3. 부정문 종류
3. 부정법 시대별 연구사
4. 부정문 기저구문의 설정
4.1. 일원론
4.2. 이원론
5. 맺음말
참고문헌
2. 부정법
2.1. 부정사 종류
2.2. 부정문 범위
2.3. 부정문 종류
3. 부정법 시대별 연구사
4. 부정문 기저구문의 설정
4.1. 일원론
4.2. 이원론
5. 맺음말
참고문헌
본문내용
부정문을 간편하게 만드는 방식
예문 (1)-(3)의 b와 같이 긍정문의 서술어 앞에 ‘아니/안’이나 ‘못’을 덧붙임.
다만, (3)의 b처럼 ‘못’은 형용사의 부정에는 쓰이지 못함.
다른 방식
예문 (1)-(3)의 c와 같이 ‘아니/안’과 ‘못’이 ‘하다’와 어울려 된 복합어인 ‘아니하다/않다’와 ‘못하다’가 보조용언으로서 쓰임.
이때의 절차는 긍정문의 문말어미를 ‘-지’로 바꾸고, 문말 어미를 ‘아니하-/않-’, 또는 ‘못하-’의 어미로 가져가야 함.
예문 (1)-(3)의 b와 같이 긍정문의 서술어 앞에 ‘아니/안’이나 ‘못’을 덧붙임.
다만, (3)의 b처럼 ‘못’은 형용사의 부정에는 쓰이지 못함.
다른 방식
예문 (1)-(3)의 c와 같이 ‘아니/안’과 ‘못’이 ‘하다’와 어울려 된 복합어인 ‘아니하다/않다’와 ‘못하다’가 보조용언으로서 쓰임.
이때의 절차는 긍정문의 문말어미를 ‘-지’로 바꾸고, 문말 어미를 ‘아니하-/않-’, 또는 ‘못하-’의 어미로 가져가야 함.
추천자료
(경영분석)사례기업(현대오토넷) 재무상태와 경영성과 평가(재무비율 및 월의 지수법과 트랜...
현대사회 분만법
현대사회의 법과 권리 중간고사 대비 자료
현대법과 정의개념의 역사 그것이 현대 한국법에 끼친 영향
사회복지법의 개념 및 발달과정에 대하여 기술하고 근대복지법의 3대원칙과 현대복지법의 3대...
[사회복지법제] 사회복지법의 발달과정 및 근대법의 3대 원칙과 현대법의 3대 원칙 비교
현대사회에서의 법의 역할
현대사회에서의 법의 역할
[생활과 건강] 태극권, 기공과 같은 동양의 심신 수련법이 현대인의 건강법으로 지니게 되는 ...
사회복지법의 발달배경에 있어 근대법과 현대법의 생성원인 및 주요원리(원칙)와 차이점에 대...
라드브루흐(Gustav Radbruch)의 생애와 그의 법사상 (구스타프 라드브루흐의 생애, 라드브루...
카이사르의 죽음은 정당한가 (연구 동기 및 목적, 카이사르의 등장배경, 로마법으로 본 카이...
전통 육아법에는 어떤 것들이 있는지 알아보고, 전통 육아법이 현대 사회에서 영아를 양육하...
현대사회와 법 - 국가인권위원회 그 향후 나아가야할 방향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