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내적 타당도(internal validity)의 개념
2. 내적 타당도의 저해요인
2. 내적 타당도의 저해요인
본문내용
성장속도도 다르게 되는 경우가 있다.
- 선정오류와 탈락의 상호작용은 특정집단에서 탈락하는 비율이 두드러지게 나타날 때 내적 타당도를 위협하게 된다.
9) 인과관계의 방향의 모호성/인과적 시간-순서
- 시간적 우선성에 대한 불확실성은 인과관계를 곤란하게 만들 수 있다
- 독립변수와 종속변수의 관계에서 종종 시간-순서가 모호한 경우가 많음. 두 변수 간에 어느 것이 원인인지 불확실해서 인과관계의 방향을 결정하기가 곤란한 경우가 있다.
- 특히 시간적 우선성을 경험적으로 보여줄 수 없는 비 실험조사 설계들에서는 원인변수와 결과변수간의 인과관계의 방향을 결정하기 곤란할 때가 많다.
10) 개입 (치료)의 확산/모방
- 피실험자들간의 상호작용이나 모방으로 애당초 의도했던 집단간의 차이에 대한 설명이 불분명해지는 것을 말한다. 즉, 실험집단에서 실시한 프로그램이나 특정한 자극들에 의해서 실험집단의 사람들이 효과를 얻게 되고 그 효과들이 다른 집단의 사람들 (통제집단)에게 전파되어 두 집단 간의 차이가 약해져서 비교가 어려워질 수 있다.
- 다시 말해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에 속한 대상자들이 서로 대화하거나 만날 가능성이 있을 경우 프로그램 개입을 받고 있는 실험집단의 성원들이 통제집단의 성원들에게 자신의 집단경험을 알려 줄 수 있는 소지가 있다. 이때 통제집단의 대상자들은 실험집단의 대상자를 모방하려하게 됨으로써 실험효과를 알 수 없게 된다는 것이다.
11) 종합
일상적인 사유방식으로는 이런 요인들이 쉽게 파악되지 않으므로 과학적 조사연구에서는 이들을 의식적으로 배제하거나 통제하기 위한 장치를 갖출 것을 요구한다.
- 선정오류와 탈락의 상호작용은 특정집단에서 탈락하는 비율이 두드러지게 나타날 때 내적 타당도를 위협하게 된다.
9) 인과관계의 방향의 모호성/인과적 시간-순서
- 시간적 우선성에 대한 불확실성은 인과관계를 곤란하게 만들 수 있다
- 독립변수와 종속변수의 관계에서 종종 시간-순서가 모호한 경우가 많음. 두 변수 간에 어느 것이 원인인지 불확실해서 인과관계의 방향을 결정하기가 곤란한 경우가 있다.
- 특히 시간적 우선성을 경험적으로 보여줄 수 없는 비 실험조사 설계들에서는 원인변수와 결과변수간의 인과관계의 방향을 결정하기 곤란할 때가 많다.
10) 개입 (치료)의 확산/모방
- 피실험자들간의 상호작용이나 모방으로 애당초 의도했던 집단간의 차이에 대한 설명이 불분명해지는 것을 말한다. 즉, 실험집단에서 실시한 프로그램이나 특정한 자극들에 의해서 실험집단의 사람들이 효과를 얻게 되고 그 효과들이 다른 집단의 사람들 (통제집단)에게 전파되어 두 집단 간의 차이가 약해져서 비교가 어려워질 수 있다.
- 다시 말해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에 속한 대상자들이 서로 대화하거나 만날 가능성이 있을 경우 프로그램 개입을 받고 있는 실험집단의 성원들이 통제집단의 성원들에게 자신의 집단경험을 알려 줄 수 있는 소지가 있다. 이때 통제집단의 대상자들은 실험집단의 대상자를 모방하려하게 됨으로써 실험효과를 알 수 없게 된다는 것이다.
11) 종합
일상적인 사유방식으로는 이런 요인들이 쉽게 파악되지 않으므로 과학적 조사연구에서는 이들을 의식적으로 배제하거나 통제하기 위한 장치를 갖출 것을 요구한다.
추천자료
교육 평가(절대평가, 상대평가, 타당도, 신뢰도를 중점으로)
발달장애인의 언어적 특성과 그림검사의 타당도 연구
수행평가의 필요성을 쓰고, 수행평가의 타당도와 신뢰도를 확보하는 방안에 대하여 쓰시오
PIE모형 프로그램 기획 설계 측정 신뢰도와 타당도 프로그램 평가기준
[수행평가][교육평가]수행평가의 개념, 수행평가의 종류, 수행평가의 특징과 수행평가의 유사...
검정과 검증의 차이점, 신뢰도돠 타당도
실험조사설계의 기본 요소와 타당도
유아교육 질적연구 (질적 연구의 역사, 특성, 이론적 배경, 연구과정 및 자료수집방법과 분석...
내가 창업을 한다면 (SWOT 분석, 업종의 선택, 타당도분석, 사업계획 수립)
사회복지조사론 - 과학적 방법,조사연구의 성격,연구문제와 가설,조사설계의 종류,측정의 신...
[정책평가policy evaluation] 정책평가의 의의(개념)와 유형, 정책평가과정, 정책평가에 있어...
심리학의 방법론과 윤리적 문제, 연구의 타당도와 신뢰도 향상을 위한 인간행동의 심리학적 ...
변수의 종류 및 개념과 변수간의 관계를 설명하고 연구결과의 타당도를 확보하기를 위해서 변...
심리검사의 조건(신뢰도, 타당도, 표준화 및 규준)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