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로이드의 심리성적 발달이론과 에릭슨의 심리 사회적 발달이론 비교 분석과 교사의 역할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프로이드의 심리성적 발달이론과 에릭슨의 심리 사회적 발달이론 비교 분석과 교사의 역할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프로이드(Freud)의 심리성적 발달이론
1단계 구강기(Oral stage, 0~1.5세경)
2단계 항문기(Anal stage, 1.5~3세경)
3단계 남근기(Phallic stage, 3~4세경)
4단계 잠복기(Latent stage, 5~12세경)
5단계 생식기(Genital stage, 12세 이후)

2. 에릭슨의 심리 사회적 발달이론
1단계. 신뢰 대 불신(Trust vs. Mistrust) 단계
2단계. 자율성 대 수치와 회의(Autonomy vs. Shame and Doubt) 단계
3단계. 주도성 대 죄의식(Initiative vs. Guilt) 단계
4단계. 근면 대 열등감(Industry vs. Inferiority) 단계
5단계. 자아 정체감 대 역할 혼미(Identity vs. Role Confusion) 단계
6단계. 친밀감 대 고립감(Intimacy vs. Isolation) 단계
7단계. 생산성 대 자기 침체(Generativity vs. Stagnation) 단계
8단계. 자아 통합 대 절망(Integrity vs. Despair) 단계

3. 프로이드와 에릭슨의 비교 분석

에릭슨의 이론은 프로이트 이론과 비교할 때 크게 두 가지 두드러진 차이점을 보인다.

4. 교사의 역할

본문내용

을 둘러싼 사회적 관계가 성격 형성에 더 중요하다고 보았으며, 개인이 새로운 발달 시기에 획득한 능력이나 관심이 그가 상호작용하고 있는 사회의 요구와 얼마나 들어맞는가에 의해 개인의 적응이 영향 받는다는 것이다. 이러한 이유에서 그의 발달 이론은 심리 사회적(psychosocial) 발달 이론이라 일컫는다.
두 번째, 프로이트는 성격 발달이 청소년기 이전에 이루어진다고 보았다. 프로이트의 관점에서는 성기기(genital stage)에 이르러 성인의 성적 취향을 가지게 된다면 더 이상의 변화는 기대하기 어렵다. 반면 에릭슨은 개인과 사회와의 상호작용을 강조했기 때문에 변화와 성장은 청소년기 이후에도 계속된다고 보았다. 청소년기와 중년기, 노년기의 사회적 상호작용의 본질이 다르기 때문에 이들은 심리 사회적으로도 다른 발달 단계에 있을 것이다. 따라서 그의 발달 이론은 영아기에서 죽음에 이르는 전 생애에 걸쳐 제시된다. 그러한 의미에서 에릭슨은 최초의 전생애 발달 심리학자라고 할 수도 있다.
4. 교사의 역할
프로이드는 성격 발달이 청소년기 이전에 결정된다는 결정론이며, 반면에 에릭슨은 개인의 성격은 청소년기 이후에도 계속 발달한다고 생각하였다. 교사의 입장에서는 이런 점에서 프로이드의 결정론보다 에릭슨의 심리 사회적 발달이론이 더 적합하다고 할 수 있다.
청소년들은 무한한 가능성이 있다. 개인과 사회의 장애와 어려움이 있어도 얼마든지 극복할 수 있는 능력과 힘이 있다. 그것을 꺼집어 내어 꿈과 희망을 불어넣는 역할을 하는 것이 바로 교사이다. 어떤 교사를 만나느냐에 따라 청소년이 달라질 수 있는 것이다.

추천자료

  • 가격1,200
  • 페이지수5페이지
  • 등록일2018.09.27
  • 저작시기2018.9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06405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