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문헌고찰
Ⅱ. 건강사정
Ⅲ. 분만 단계
Ⅳ. Baby transfer note
Ⅴ. 임상검사 (laboratory findings)
Ⅵ. 투약하고 있는 약물
Ⅶ. 기타 특수 진단 검사
Ⅷ. 참고문헌
Ⅱ. 건강사정
Ⅲ. 분만 단계
Ⅳ. Baby transfer note
Ⅴ. 임상검사 (laboratory findings)
Ⅵ. 투약하고 있는 약물
Ⅶ. 기타 특수 진단 검사
Ⅷ. 참고문헌
본문내용
에 의하여 쇽의 병력이 있는 환자, 심근경색 및 그 병력이 있는 환자
에르빈
(0.2mg/1mL)
IV
tid
출혈의 방지 및 치료: 태반만출 후, 분만 후, 제왕절개술 후, 유산 후 출혈, 자궁퇴축부전, 자궁수축
구역, 구토, 복통, 설사, 혈압상승, 혈압저하, 흉통, 흉부압박감, 빈맥, 서맥, 심계항진, 말초혈관경련
임부 및 임신하고 있을 가능성이 있는 부인, 분만 중인 여성 자간증, 분만 유도 환자 ,아두만출전(자궁수축작용으로 인한 자궁파열, 태아사망 등이 나타날 수 있으므로 분만유도 또는 촉진제로 이용해서는 안된다.)
케토신 (10mg)
IM
bid
중등도 및 중증의 급성통증(수술후 통증 포함)에 대한 단기요법
구역, 소화불량, 위장관통증, 설사, 변비, 소화성 궤양, 위장관출혈, 부종, 드물게 아나필락시스, 기관지경련, 후두부종, 혀부종, 고혈압, 심계항진, 창백, 저혈압, 실신, 서맥, 가슴통증, 심부전, 발적, 때때로 가려움
소화성궤양 또는 위장관 궤양, 위장관 출혈, 출혈소인 또는 그 병력이 있는 환자,뇌혈관계 출혈이 있거나 의심되는 환자, 수술을 받은 환자로서 출혈의 위험이 크거나 지혈이 불완전한 경우
나로핀
(2mg/ml)
TX
qd
수술시 마취 : 제왕절개를 포함한 수술시의 경막외 마취, 급성통증의 조절 : 수술후 통증 또는 출산 통증 시 연속적인 경막외 점적주사 또는 간헐적 단발 투여, 수술 후 통증 시 말초신경마취를 위한 연속적인 점적주사 또는 간헐적 정맥주사
저혈압, 구역, 구토, 서맥, 발열, 통증, 수술 후 합병증, 빈혈, 감각이상, 두통, 가려움증, 요의 저류, 어지러움, 경직, 고혈압, 빈맥, 불안, 핍뇨증, 감각저하, 가슴통증, 호흡곤란, 경련, 요로감염, 체온상승, 오한
이 약 또는 다른 아미드계 국소마취제에 대한 과민반응 및 그 병력이 있는 환자, 대량출혈이나 쇼크 상태인 환자, 주사부위 또는 그 주변에 염증이 있는 환자, 패혈증
리도카인주사액
(20mg)
SC
bid
경막외마취, 전달마취, 침윤마취, 표면마취.
쇽, 혈압저하, 안면창백, 맥박 이상, 호흡억제, 악성고열, 진전, 경련, 졸음, 불안, 흥분, 무시, 어지러움, 구역·구토 ,두드러기 등의 피부증상, 부종
중독한 출혈 또는 쇽 상태의 환자, 주사부위 또는 그 주위에 염증 환자, 패혈증
생리식염수액
(5mL)
TX
qd
수분 및 전해질 결핍시의 보급(나트륨 결핍, 염소 결핍) 주사제의 용해 희석제
대량·급속투여에 의해 울혈성심부전, 부종, 산증, 혈청전해질 이상,발열, 주사부위의 감염, 국소통증, 주사부위로부터 이르는 정맥혈전증 또는 정맥염, 혈관 밖 유출
고나트륨혈증 환자, 수분과다상태 환자, 부종과 복수를 동반한 간경화 환자
펜타닐
(1mL)
TX
qd
단시간 진통제: 마취 시, 마취 전 투약, 마취유도, 마취유지 및 수술직후(회복실). 전신 또는 국소마취시 마약성 진통보조제.
모르핀 중독 양상의 약물의존성이 생길 수 있다.
호흡곤란, 느린호흡, 불규칙호흡, 무호흡 등의 호흡억제 증상, 아나필락시양 반응, 때때로 혈압강하, 부정맥, 기외수축, 심정지, 서맥
이 약의 구성성분, 다른 아편계 약물에 대한 과민반응 환자, 신경근육차단제의 사용이 금기인 환자, 두개내압 상승과 관련된 두부의 기질적 장애나 손상이 있는 환자, 경련질환이 있거나 그 기왕력자
페티딘염산염
(35mg)
IM
qd
격렬한 통증의 완화, 진정, 진경 ,마취전 투약, 마취시의 보조, 무통분만
의존성, 호흡곤란, 느린호흡, 불규칙호흡, 무호흡 등의 호흡억제, 착란, 건망, 두부손상과 두개내압 상승, 경련, 무기폐, 기관지 경련, 후두부종, 마비성 장폐색증
중증 호흡억제, 중증 간ㆍ신장애, 두개내압 상승과 관련된 두부의 기질적 장애나 손상이 있는 환자
Ⅶ. 기타 특수 진단 검사
검사일/ 검사명
검사목적 및 방법
결과
2016.01.15
Color dopper 4D SONO
태아의 성장 발육 정도, 태아의 크기, 위치 및 태반의 위치를 파악하기 위해서 시행한다.
presentation : breech
placenta : ant. 23.2mm
Fetal movement : good
fetal heart tone : good
AFI : 15.7cm
Umbiliacal vessels : three( 2a 1v)
fetal heart : one small VSD with echogenic spot in LV
태아 계측치는 모두 정상범위에 속함, 초음파에서 태아의 뇌나 척추 등에 이상소견은 보이지 않음, 흉부나 복부내의 장기에도 이상소견은 보이지 않음
2016.04.9
chest PA
심장의 크기, 폐렴, 기흉, 혈흉, 기관지의 이상 유무(폐의 이상 유무)를 위해 시행한다.
정확한 체위를 취한 후 심호흡하고 X선 촬영을 마칠 때까지 숨을 참는다.
Normal limit of chest PA
2016.04.9
EKG
심박동과 관련된 전위를 신체 표면에서 도형으로 기록한 것으로 부정맥과 관상동맥질환의 진단에 가장 많이 사용한다.
안정상태에서 앙와위를 취하여 자극을 손, 발, 앞가슴 부위에 부착하고 유도된 전방의 변화를 심전계로 기록한다.
normal sinus rhythm
2016.04.23./ 2016.04.29
NST
태아 외부전자모니터기는 임부의 복부에(태아심음 부위), 자궁수축 변환기는 자궁저부에 부착하여 태동에 대한 태아심박수 변화를 통해 태아의 건강상태(태반 호흡기능)를 평가한다. (30~40분 소요)
reactive, no contraction
2016.05.07
NST
reactive, irregular contraction
Ⅷ. 참고문헌
이영숙 외(2014), 여성건강간호학Ⅰ,현문사
이영숙 외(2014), 여성건강간호학Ⅱ,현문사
김영혜 외(2014), 아동간호학 각론, 현문사
최연순 외(2016), 제8판 모성간호학Ⅰ, 수문사
정문숙 외(2005), 여성건강간호학, 정담미디어
KIMS 의약정보센터 : http://www.kimsonline.co.kr/
드러그인포 : http://www.druginfo.co.kr/
네이버 지식백과 : http://terms.naver.com/
에르빈
(0.2mg/1mL)
IV
tid
출혈의 방지 및 치료: 태반만출 후, 분만 후, 제왕절개술 후, 유산 후 출혈, 자궁퇴축부전, 자궁수축
구역, 구토, 복통, 설사, 혈압상승, 혈압저하, 흉통, 흉부압박감, 빈맥, 서맥, 심계항진, 말초혈관경련
임부 및 임신하고 있을 가능성이 있는 부인, 분만 중인 여성 자간증, 분만 유도 환자 ,아두만출전(자궁수축작용으로 인한 자궁파열, 태아사망 등이 나타날 수 있으므로 분만유도 또는 촉진제로 이용해서는 안된다.)
IM
bid
중등도 및 중증의 급성통증(수술후 통증 포함)에 대한 단기요법
구역, 소화불량, 위장관통증, 설사, 변비, 소화성 궤양, 위장관출혈, 부종, 드물게 아나필락시스, 기관지경련, 후두부종, 혀부종, 고혈압, 심계항진, 창백, 저혈압, 실신, 서맥, 가슴통증, 심부전, 발적, 때때로 가려움
소화성궤양 또는 위장관 궤양, 위장관 출혈, 출혈소인 또는 그 병력이 있는 환자,뇌혈관계 출혈이 있거나 의심되는 환자, 수술을 받은 환자로서 출혈의 위험이 크거나 지혈이 불완전한 경우
나로핀
(2mg/ml)
TX
qd
수술시 마취 : 제왕절개를 포함한 수술시의 경막외 마취, 급성통증의 조절 : 수술후 통증 또는 출산 통증 시 연속적인 경막외 점적주사 또는 간헐적 단발 투여, 수술 후 통증 시 말초신경마취를 위한 연속적인 점적주사 또는 간헐적 정맥주사
저혈압, 구역, 구토, 서맥, 발열, 통증, 수술 후 합병증, 빈혈, 감각이상, 두통, 가려움증, 요의 저류, 어지러움, 경직, 고혈압, 빈맥, 불안, 핍뇨증, 감각저하, 가슴통증, 호흡곤란, 경련, 요로감염, 체온상승, 오한
이 약 또는 다른 아미드계 국소마취제에 대한 과민반응 및 그 병력이 있는 환자, 대량출혈이나 쇼크 상태인 환자, 주사부위 또는 그 주변에 염증이 있는 환자, 패혈증
리도카인주사액
(20mg)
SC
bid
경막외마취, 전달마취, 침윤마취, 표면마취.
쇽, 혈압저하, 안면창백, 맥박 이상, 호흡억제, 악성고열, 진전, 경련, 졸음, 불안, 흥분, 무시, 어지러움, 구역·구토 ,두드러기 등의 피부증상, 부종
중독한 출혈 또는 쇽 상태의 환자, 주사부위 또는 그 주위에 염증 환자, 패혈증
생리식염수액
(5mL)
TX
qd
수분 및 전해질 결핍시의 보급(나트륨 결핍, 염소 결핍) 주사제의 용해 희석제
대량·급속투여에 의해 울혈성심부전, 부종, 산증, 혈청전해질 이상,발열, 주사부위의 감염, 국소통증, 주사부위로부터 이르는 정맥혈전증 또는 정맥염, 혈관 밖 유출
고나트륨혈증 환자, 수분과다상태 환자, 부종과 복수를 동반한 간경화 환자
펜타닐
(1mL)
TX
qd
단시간 진통제: 마취 시, 마취 전 투약, 마취유도, 마취유지 및 수술직후(회복실). 전신 또는 국소마취시 마약성 진통보조제.
모르핀 중독 양상의 약물의존성이 생길 수 있다.
호흡곤란, 느린호흡, 불규칙호흡, 무호흡 등의 호흡억제 증상, 아나필락시양 반응, 때때로 혈압강하, 부정맥, 기외수축, 심정지, 서맥
이 약의 구성성분, 다른 아편계 약물에 대한 과민반응 환자, 신경근육차단제의 사용이 금기인 환자, 두개내압 상승과 관련된 두부의 기질적 장애나 손상이 있는 환자, 경련질환이 있거나 그 기왕력자
페티딘염산염
(35mg)
IM
qd
격렬한 통증의 완화, 진정, 진경 ,마취전 투약, 마취시의 보조, 무통분만
의존성, 호흡곤란, 느린호흡, 불규칙호흡, 무호흡 등의 호흡억제, 착란, 건망, 두부손상과 두개내압 상승, 경련, 무기폐, 기관지 경련, 후두부종, 마비성 장폐색증
중증 호흡억제, 중증 간ㆍ신장애, 두개내압 상승과 관련된 두부의 기질적 장애나 손상이 있는 환자
Ⅶ. 기타 특수 진단 검사
검사일/ 검사명
검사목적 및 방법
결과
2016.01.15
Color dopper 4D SONO
태아의 성장 발육 정도, 태아의 크기, 위치 및 태반의 위치를 파악하기 위해서 시행한다.
presentation : breech
placenta : ant. 23.2mm
Fetal movement : good
fetal heart tone : good
AFI : 15.7cm
Umbiliacal vessels : three( 2a 1v)
fetal heart : one small VSD with echogenic spot in LV
태아 계측치는 모두 정상범위에 속함, 초음파에서 태아의 뇌나 척추 등에 이상소견은 보이지 않음, 흉부나 복부내의 장기에도 이상소견은 보이지 않음
2016.04.9
chest PA
심장의 크기, 폐렴, 기흉, 혈흉, 기관지의 이상 유무(폐의 이상 유무)를 위해 시행한다.
정확한 체위를 취한 후 심호흡하고 X선 촬영을 마칠 때까지 숨을 참는다.
Normal limit of chest PA
2016.04.9
EKG
심박동과 관련된 전위를 신체 표면에서 도형으로 기록한 것으로 부정맥과 관상동맥질환의 진단에 가장 많이 사용한다.
안정상태에서 앙와위를 취하여 자극을 손, 발, 앞가슴 부위에 부착하고 유도된 전방의 변화를 심전계로 기록한다.
normal sinus rhythm
2016.04.23./ 2016.04.29
NST
태아 외부전자모니터기는 임부의 복부에(태아심음 부위), 자궁수축 변환기는 자궁저부에 부착하여 태동에 대한 태아심박수 변화를 통해 태아의 건강상태(태반 호흡기능)를 평가한다. (30~40분 소요)
reactive, no contraction
2016.05.07
NST
reactive, irregular contraction
Ⅷ. 참고문헌
이영숙 외(2014), 여성건강간호학Ⅰ,현문사
이영숙 외(2014), 여성건강간호학Ⅱ,현문사
김영혜 외(2014), 아동간호학 각론, 현문사
최연순 외(2016), 제8판 모성간호학Ⅰ, 수문사
정문숙 외(2005), 여성건강간호학, 정담미디어
KIMS 의약정보센터 : http://www.kimsonline.co.kr/
드러그인포 : http://www.druginfo.co.kr/
네이버 지식백과 : http://terms.naver.com/
키워드
추천자료
NSVD자연분만케이스
NSVD 자연분만 케이스
현대사회 분만법
NSVD - 분만과정 및 간호
자연분만 case study
간호학)모성케이스(자연분만의 간호 사례 연구)
[간호학]제왕절개분만
모성(정상분만케이스)
[모성간호학] 조기분만(preterm delivery)
[모성간호학] 자연분만 NSVD(Normal Spontaneous Vaginal Delivery) 케이스 CASE
[모성간호학] 자연분만 NSVD(Normal Spontaneous Vaginal Delivery) 분담과제 보고서
모성간호학, 응급분만 케이스 스터디
NSVD 자연분만간호과정간호진단 급성통증, 비효율적 대처
[간호학] 분만 중 동통 (동통 발생기전 동통 완화법)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