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논의의 필요성
Ⅱ. 가격결정의 개념
Ⅲ. 가격결정 요인
Ⅳ. 가격결정의 목표
Ⅴ. 가격결정의 방법
Ⅵ. 참고문헌
Ⅱ. 가격결정의 개념
Ⅲ. 가격결정 요인
Ⅳ. 가격결정의 목표
Ⅴ. 가격결정의 방법
Ⅵ. 참고문헌
본문내용
을 가산하여 가격을 결정짓는 방법인 원가가산 가격결정법(mark-up pricing)이 있으며 제조업자들이 많이 이용하며 일정한 표준 생산량 하에서 발생하는 총원가에 기업이 설정한 특정 목표수익을 가산하여 가격을 결정하는 방법인 목표 이익가격 결정방법(target-profit pricing)이 있다.
원가중심이 가격결정방법은 상대적으로 가격결정이 용이하고 소비자와 판매자 모두 납득이 가능한 합리적인 수준에서 가격이 결정된다는 점에서 많이 이용된다는 장점이 있다. 하지만 다양한 가격결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중에서 원가만 고려한다는 점에서 시장에서의 불확실성이나 변동성에 대처하기 힘들며 실패할 가능성이 크다는 단점도 존재한다.
2. 수요중심 가격결정방법
수요중심의 가격결정방법은 앞서 살핀 소비자의 수요나 수요의 가격탄력성, 소비자가 해당 재화에 가지는 인식이나 선호를 바탕으로 가격을 결정하는 방법을 의미한다. 보다 구체적인 방법은 다음과 같다. 우선 소비자들이 해당 재화에 대해 인지하고 있는 가치의 정도에 따라 가격을 결정하는 방법인 인지가치 가격결정법(perceived-value pricing)이 있다. 이는 현대 경영학에 있어 중요한 개념으로 이야기되는 시장 위치화 사고(market-positioning thinking)에 부합하는 가격결정법으로서 제품의 개발부터 가격의 결정까지 특정 표적시장을 대상으로 소비자의 인지를 염두에 둔 체로 이루어진다. 즉, 애초에 품질이나 서비스 등을 미리 특정 목표시장 및 가격을 결정한 이후 결정하며 그에 맞춰 제품을 개발하는 방식을 취하게 되는 것이다.
가격차별화(price-discrimination) 역시 수요중심 가격결정방법에 속한다. 가격차별화는 하나의 제품을 두 개, 혹은 그 이상의 다른 가격으로 판매하는 가격결정방법을 의미하는데 이는 소비자가 모두 동질적이지 않고 수요 및 선호의 강도가 다르다는 점을 이용하여 한계비용이 동일함에도 불구하고 각 소비자군 별로 다른 가격을 적용하는 방식을 의미한다.
재화나 서비스의 가격을 소비자들이 이를 구매하는 양에 따라 달라지게 만드는 가격결정방법이자 가격차별화 정책의 일종인 비선형 가격결정방법(non-linear pricing) 역시 수요 중심의 가격결정방법에 속한다.
3. 경쟁중심 가격결정방법
경쟁중심의 가격결정방법이란 원가 또는 수요 등의 요인과는 무관히 동종 산업에 종사하는 경쟁사가 설정한 가격을 기준으로 자신의 가격을 결정하는 방법을 의미한다. 구체적인 예로는 현행가격채택이라고도 불리는 모방가격결정방법이 있다. 이는 제품의 동질성이 높은 시장의 경우 사용되는 경우가 많으며 과점상황 내에서 선도기업의 가격을 따를 수밖에 없는 경우에도 사용된다. 뿐만 아니라 입찰가격 역시 경쟁중심 가격결정방법에 속하게 된다.
그 외에도 경쟁사를 시장에서 퇴출시키거나 점유율을 뺏어오기 위해 경쟁사보다 조금이라도 더 낮은 가격을 결정하게 되는 가격경쟁전략 역시 경쟁중심 가격결정방법의 한 예라고 볼 수 있을 것이다.
Ⅵ. 참고문헌
김선규, 『마케팅관리』, 2012.
원가중심이 가격결정방법은 상대적으로 가격결정이 용이하고 소비자와 판매자 모두 납득이 가능한 합리적인 수준에서 가격이 결정된다는 점에서 많이 이용된다는 장점이 있다. 하지만 다양한 가격결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중에서 원가만 고려한다는 점에서 시장에서의 불확실성이나 변동성에 대처하기 힘들며 실패할 가능성이 크다는 단점도 존재한다.
2. 수요중심 가격결정방법
수요중심의 가격결정방법은 앞서 살핀 소비자의 수요나 수요의 가격탄력성, 소비자가 해당 재화에 가지는 인식이나 선호를 바탕으로 가격을 결정하는 방법을 의미한다. 보다 구체적인 방법은 다음과 같다. 우선 소비자들이 해당 재화에 대해 인지하고 있는 가치의 정도에 따라 가격을 결정하는 방법인 인지가치 가격결정법(perceived-value pricing)이 있다. 이는 현대 경영학에 있어 중요한 개념으로 이야기되는 시장 위치화 사고(market-positioning thinking)에 부합하는 가격결정법으로서 제품의 개발부터 가격의 결정까지 특정 표적시장을 대상으로 소비자의 인지를 염두에 둔 체로 이루어진다. 즉, 애초에 품질이나 서비스 등을 미리 특정 목표시장 및 가격을 결정한 이후 결정하며 그에 맞춰 제품을 개발하는 방식을 취하게 되는 것이다.
가격차별화(price-discrimination) 역시 수요중심 가격결정방법에 속한다. 가격차별화는 하나의 제품을 두 개, 혹은 그 이상의 다른 가격으로 판매하는 가격결정방법을 의미하는데 이는 소비자가 모두 동질적이지 않고 수요 및 선호의 강도가 다르다는 점을 이용하여 한계비용이 동일함에도 불구하고 각 소비자군 별로 다른 가격을 적용하는 방식을 의미한다.
재화나 서비스의 가격을 소비자들이 이를 구매하는 양에 따라 달라지게 만드는 가격결정방법이자 가격차별화 정책의 일종인 비선형 가격결정방법(non-linear pricing) 역시 수요 중심의 가격결정방법에 속한다.
3. 경쟁중심 가격결정방법
경쟁중심의 가격결정방법이란 원가 또는 수요 등의 요인과는 무관히 동종 산업에 종사하는 경쟁사가 설정한 가격을 기준으로 자신의 가격을 결정하는 방법을 의미한다. 구체적인 예로는 현행가격채택이라고도 불리는 모방가격결정방법이 있다. 이는 제품의 동질성이 높은 시장의 경우 사용되는 경우가 많으며 과점상황 내에서 선도기업의 가격을 따를 수밖에 없는 경우에도 사용된다. 뿐만 아니라 입찰가격 역시 경쟁중심 가격결정방법에 속하게 된다.
그 외에도 경쟁사를 시장에서 퇴출시키거나 점유율을 뺏어오기 위해 경쟁사보다 조금이라도 더 낮은 가격을 결정하게 되는 가격경쟁전략 역시 경쟁중심 가격결정방법의 한 예라고 볼 수 있을 것이다.
Ⅵ. 참고문헌
김선규, 『마케팅관리』, 2012.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