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였다. 그리고 그 신학함의 내용물인 기억, 영원, 시간, 창조 등을 통해서 어거스틴은 시간 안에 존재하는 인간의 유한성과 하나님의 무한성에 대해 대비를 시키며, 그 인간 가운데 영혼을 사모하는 마음을 부여함으로서 인간은 하나님에 대한 저 너머의 어렴풋한 기억을 가지고 살아간다. 그리고 그 기억을 붙들고 하나님 앞에 나아갈 때 인간은 하나님의 영원 가운데로 들어갈 수 있으며, 성도는 그 영원을 붙들며 하나님의 창조세계를 노래하게 될 것이다.
나는 이 어거스틴의 모습이 현재 한국교회와 세계교회의 모든 성도들의 모습이며, 또 그렇게 되어야 할 당위성을 가진다. 그리고 신학의 문에 들어선 나에게도 어거스틴과 같이 이렇게 신학 하고자 하는 마음가짐을 심어주는 책이다. 다윗이 우주 세계를 보고 탄성을 터트리며 시편 8편을 지었듯이 어거스틴은 창세기 1장을 보고 해석함으로서 하나님의 창조에 대해 탄성을 터트리며 송영함으로 하나님께 올려드렸던 것처럼 나에게도 하나님의 창조세계를 보고, 듣고, 느끼면서 그것에 대한 신비함을 송영함으로 올려드리는 지혜가 주어지기를 바란다. 그리고 이 한국교회의 성도들에게도 그러한 지혜가 가득 넘치는 신학하는 성도로 살아가게 되기를 바란다.
나는 이 어거스틴의 모습이 현재 한국교회와 세계교회의 모든 성도들의 모습이며, 또 그렇게 되어야 할 당위성을 가진다. 그리고 신학의 문에 들어선 나에게도 어거스틴과 같이 이렇게 신학 하고자 하는 마음가짐을 심어주는 책이다. 다윗이 우주 세계를 보고 탄성을 터트리며 시편 8편을 지었듯이 어거스틴은 창세기 1장을 보고 해석함으로서 하나님의 창조에 대해 탄성을 터트리며 송영함으로 하나님께 올려드렸던 것처럼 나에게도 하나님의 창조세계를 보고, 듣고, 느끼면서 그것에 대한 신비함을 송영함으로 올려드리는 지혜가 주어지기를 바란다. 그리고 이 한국교회의 성도들에게도 그러한 지혜가 가득 넘치는 신학하는 성도로 살아가게 되기를 바란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