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시절이었을 것이다. 그러나 어거스틴 한 사람의 회심이 기독교 신학에 이토록 큰 영향력을 주었다. 한 사람의 회심이 아니라 하나님의 일을 이룸에 있어서 한 사람의 영향력이 이토록 크다는 것을 다시한번 깨닫는다. 또한 어머니의 기도는 매우 중요함을 깨닫는다. 어머니의 기도는 위대하다. 어머니의 기도가 있는 자녀는 망하지 않는다. 신학은 역시 기도의 학문임을 다시 한번 깨닫는다.
마지막으로 어거스틴의 진지함과 끈질김 그리고 학문에 대한 통찰력에 다시한번 혀를 내두른다. 현대의 천박하고 피상적이며 추상적인 기독교인으로서 그에 대해 감동하기에 충분하다. 그에게 있어서 믿는 것은 곧 삶이였고 완전히 자신을 내어 드리는 것이었다. 그러기에 회심 앞에서 고민하고 또 고민했을 것이다. 우리는 예수 그리스도에 대해 듣고 그것에 대해 동의하면 무조건 신자라고 받아들이는 경향이 있다. 이것이 무조건 나쁘다고 말하는 것은 아니다. 복음은 단순하고 일시성도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너무나 고민없이, 자신에 대한 성찰 없이 살아가는 기독교가 아닌가 생각해 본다. 이러한 점에서 어거스틴의 회심은 단순히 한 사람의 회심의 위대함으로 보기에는 너무나 중요한 시사점을 우리에게 던져준다.
마지막으로 어거스틴의 진지함과 끈질김 그리고 학문에 대한 통찰력에 다시한번 혀를 내두른다. 현대의 천박하고 피상적이며 추상적인 기독교인으로서 그에 대해 감동하기에 충분하다. 그에게 있어서 믿는 것은 곧 삶이였고 완전히 자신을 내어 드리는 것이었다. 그러기에 회심 앞에서 고민하고 또 고민했을 것이다. 우리는 예수 그리스도에 대해 듣고 그것에 대해 동의하면 무조건 신자라고 받아들이는 경향이 있다. 이것이 무조건 나쁘다고 말하는 것은 아니다. 복음은 단순하고 일시성도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너무나 고민없이, 자신에 대한 성찰 없이 살아가는 기독교가 아닌가 생각해 본다. 이러한 점에서 어거스틴의 회심은 단순히 한 사람의 회심의 위대함으로 보기에는 너무나 중요한 시사점을 우리에게 던져준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