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변화를 겪는다. 말로는 표현할 수 없는 인생의 지혜와 가치를 배우는 것이다.
입시위주의 교육을 지양하는 학교지만 지난 해 졸업생의 80% 정도가 대학에 진학했다.
이상으로 간디학교의 교육에 대해 개관해 보았다. 그러나 간디학교에 고민이 없는 것은 아니라 한다. 1호 대안학교이다 보니 주위의 시선이 부담스럽다. 일거수일투족이 다른 학교와 언론사의 관심의 대상이 되는데, 이 학교를 ‘유토피아’로 보는 시각을 경계해야 한다. 새로운 교과목을 만들면 다른 학교에서 금방 모방한다. 일례로 2004년도에 ‘산책’ 과목을 신설했으나 이것을 수업으로 볼 수 있느냐라는 논란에 휩싸여 일 년만에 폐지했다. 현재도 이런 시행착오를 수없이 겪고 있다고 한다.
나는 간디학교의 교육원칙에 큰 줄기에서는 공감하고 훌륭한 학교의 모델이 될 것이라 생각하고 있다. 그러나 일반 학교에 과연 적용할 수 있을 것이냐에 대해 실현가능성에 회의를 가지고 있다. 일반학교의 학부모들의 요구와 학생들의 요구가 현저히 다르기 때문에 심사숙고해서 적용해야 한다고 본다. 그러나 교사로서의 자세와 교육의 목적에 대해 새롭게 돌아보는 계기가 되었고, 이런 다양한 학교형태가 많이 생겼으면 하는 바람이다.
입시위주의 교육을 지양하는 학교지만 지난 해 졸업생의 80% 정도가 대학에 진학했다.
이상으로 간디학교의 교육에 대해 개관해 보았다. 그러나 간디학교에 고민이 없는 것은 아니라 한다. 1호 대안학교이다 보니 주위의 시선이 부담스럽다. 일거수일투족이 다른 학교와 언론사의 관심의 대상이 되는데, 이 학교를 ‘유토피아’로 보는 시각을 경계해야 한다. 새로운 교과목을 만들면 다른 학교에서 금방 모방한다. 일례로 2004년도에 ‘산책’ 과목을 신설했으나 이것을 수업으로 볼 수 있느냐라는 논란에 휩싸여 일 년만에 폐지했다. 현재도 이런 시행착오를 수없이 겪고 있다고 한다.
나는 간디학교의 교육원칙에 큰 줄기에서는 공감하고 훌륭한 학교의 모델이 될 것이라 생각하고 있다. 그러나 일반 학교에 과연 적용할 수 있을 것이냐에 대해 실현가능성에 회의를 가지고 있다. 일반학교의 학부모들의 요구와 학생들의 요구가 현저히 다르기 때문에 심사숙고해서 적용해야 한다고 본다. 그러나 교사로서의 자세와 교육의 목적에 대해 새롭게 돌아보는 계기가 되었고, 이런 다양한 학교형태가 많이 생겼으면 하는 바람이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