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
41
-
42
-
43


본문내용
술이다. 이로 인해 수많은 군웅들 : 조조, 여포, 원소 등은 유비에게 농락당하거나 뒤통수를 맞았다. 몇 가지 예를 본다면 유표가 형주를 유비에게 넘기려 했을 때 제갈량을 비롯한 관우, 장비 등이 찬성했지만 유비는 거절한 것이다.은혜와 대의를 위한 명분이라고 했지만 실질적으로 형주에서 조조군을 대적할 수 없기 때문이라 유비가 생각했기 때문이었다.
① 강동의 손권은 당시 유표와 적대관계였고 유비와는 아무런 인연이 없어 형주를 고수할 경우 손권이 적이 될지 동지가 될지는 정말 미지수였다.② 강동의 손권을 동지로 만드는 일을 제갈량은 당초 구상했지만 실제 제갈량은 유비군에 있어 병참보급과 같은 내정의 일을 담당했고 외정(군사, 외교)에 딱히 활약을 할 때가 아니었다. 즉, 제갈량이 활약할 기회가 없었거나 혹은 아직 제대로 활용이 안 되었던 때이다.③ 형주의 지리적 특징 : 형주는 동, 서, 남, 북 모두 여러 세력에 노출된 지역으로 딱히 험난한 지세를 갖춘 것도 아닌 평야지대였다. 즉, 적의 공격을 받으면 다른 지역 혹은 세력의 구원이나 원조가 없이 적을 상대하는 것은 정말 어려운 것이었다. (알다시피 형주 남부는 원래 유표의 세력권이지만 이후 한현, 유도, 금선, 조범 등이 통치했고 그들은 자기 나름대로 독자적 길을 택하며 친조조파 성향을 보였다.)또한 서촉이 생기면서 형주는 매우 중요한 곳으로 자리 잡혔는데 관우가 죽고 형주가 동오에게 넘어가면서 유비는 이곳을 탈환하려고 생각하였다. 제갈량은 형주를 포기하고 동오의 동맹을 꾀할 생각이었지만 유비는 그것이 아니었다. 그래서 대대적 전쟁을 감행하여 이른바, 이릉전투를 발발하게 한다. 겉으로는 관우의 복수였으나 실질적으론 형주를 통해 국력의 열세적 상황에 처해지는 것을 막으려는 것이었다.그에 반해 송강은 자신이 옳다고 생각해도 주위의 반대가 있다면 어쩔 수 없이 제 풀에 꺾여나가는 모습을 보였다. 양산박의 두령 자리를 노준의에게 넘기려 했을 때 - 증두시의 사문공을 노준의가 죽였고 이 때 송강이 약속한 것에 따르면 당연 노준의가 두령이 되어야 했다. - 주위의 반대가 극심하자 완고했던 송강 또한 한 발 물러나 새로운 대안을 제시한다. 동창부와 동평부를 각자 공략해 성공하는 쪽이 두령이 되기로 한 것이다.조정에 귀순하는 것에 대해 반대가 많긴 했지만 송강이 끝내 조정에 귀순해 요나라 정벌 및 반란 토벌을 했던 것은 양산박에 투항했던 지배층 혹은 부유층 세력 (관승, 호연작, 동평, 장청, 사진 등)의 동조가 있었기 때문이다. 또한, 송강 또한 지배층 세력에 가까웠기 때문에 핍박받던 이규, 이준 같은 자들의 반대를 딱히 마음으로 알 수 있다고 볼 수 없었다. 만약 송강의 조정귀순에 대한 동조자가 없었다면 송강은 조정에 귀순하기 힘들었을 것이다. 자신의 마음은 이것이 아닌데 주의의 반대가 심하면 그것을 철회하니 말이다. 이 점에서 후덕한 이미지란 모습에서 겉으론 비슷하지만 속으로 유비는 구밀복검, 송강은 우유부단이라 할 수 있다.
※ 초한지 삼국지 수호지가 싸우면 누가 더 우세할까?
일단 소설의 스케일에서는 위의 세 소설들이 엇비슷하다. 그러나 시대적 상황으로 우위를 따져보았을 때 수호지가 가장 우세하다. 수호지는 군웅할거 시대도 아니고 앞에 초한지 삼국지처럼 휘황찬란하지도 않다. 그러나 기술력이나 년도, 축척되어 온 지식의 깊이를 따졌을 때 수호지 시대가 우세하다고 할 수 있다. 다음으로 초한지 삼국지 둘 중에서는 삼국지가 더 우세하다고 할 수 있다. 초한지 시대에는 병법이나 기술이 탄생 내지 걸음마 단계이고 삼국지는 중고등 정도의 단계이다.
10. 수호전에서 유래한 사자성어
① 타초경사(打艸驚巳) : 풀을 두들겨서 뱀을 놀라게 한다는 말로, 생각없이 한 일이 뜻밖의
결과를 낳는 것을 뜻한다. 다르게는 이 사람을 훈계하여 다른 사람을 깨우친다는 의미.
② 사해형제(四海兄弟) : 세상 사람들은 모두 형제와 같다는 뜻으로, 세상의 모든 사람들을
친밀하게 이르는 말.
③ 복마지전(伏魔之殿) 또는 복마전 : 악마가 숨어있는 전당. 또는 나쁜 일이나 음모 등이
끊임없이 꾸며지고 있는 근거지.
④ 신출귀몰(神出鬼沒) : 귀신과 같이 홀연히 나타났다가 감쪽같이 없어짐. 자유자재로 출몰
하여 그 변화를 헤아릴 수 없는 일.
⑤ 무교불성서(無巧不成書) : 일이 풀리려면 공교롭게도 이뤄진다. (수호지의 저자 施耐庵이
무송과 호랑이와의 격투장면을 쓸 때 어떻게 묘사할지 난관에 봉착해 있었는데 어느 날
길에서 사람이 개와 싸우는 장면을 목격하고 감상을 얻어 해결한데서 연유)
tip.
이 책은 대표적인 몇몇 인물들, 즉 흑선풍 이규나 행자 무송, 급시우 송강 등의 영웅적인 행위를 간략히 소개하는 동시에 그들의 비영웅적인 면모에 대해 이야기하고 있다. 물론 저자가 일관하는 관점은 분명하다. 영웅적인 행각의 뒤에 숨겨진 잔혹함, 비열함, 비양심등이 이 책의 주제인 것이다. 호쾌한 무용담이 사실은 치졸한 과정과 잔인무도한 결과에 의한 것임을 보여준다. 그래서 7개의 장으로 구분된 내용은 전체적으로 끔찍한 살인의 장이며, 그것을 바라보는 저자의 초점은 비인간성이다. 그래서 저자는 \"이토록 잔인한 장면에 대해 아무런 감정의 동요 없이 서술하는 {수호전}의 냉정함이 무섭다\"며 흥분한다.
re: <<수호전>>내의 잔혹한 내용을 정신분석학적으로 판단하면?
님께 해 드릴 말씀은 양산박 호걸들은 일단 모두 \'정상인\'이란 겁니다. 수백명을 죽였든 인육을 먹었든 간에 수호전이 쓰여 질 당시의 중국사회의 기준으로는 큰 흠이 되지 않죠.
또 한 가지 드리고 싶은 말씀은 위의 자료는 일본인들이 중국인, 중국문화를 비하하기 위해 쓴 글이란 겁니다. 예전에 \'엽전은 안 돼\' 라든지 \'조선인들은 어리석어 지배해 줄 사람이 필요하다\'는 등 한국인을 비하하는 말을 퍼뜨렸던 것처럼 중국을 비하하기 위해 중국의 대표적 문학인 수호전에 시비를 걸고 나온 겁니다.
그러니 그런 글을 보고 중국 고대 영웅들을 정신병자 취급하는 건 첫 번째로는 수세기전의 사람을 지금의 잣대로 재는 오류를 범하는 것이고 두 번째로는 일본국수주의자들의 농간에 넘어가는 셈이니 피하시는 게 옳다고 보여지네요.
① 강동의 손권은 당시 유표와 적대관계였고 유비와는 아무런 인연이 없어 형주를 고수할 경우 손권이 적이 될지 동지가 될지는 정말 미지수였다.② 강동의 손권을 동지로 만드는 일을 제갈량은 당초 구상했지만 실제 제갈량은 유비군에 있어 병참보급과 같은 내정의 일을 담당했고 외정(군사, 외교)에 딱히 활약을 할 때가 아니었다. 즉, 제갈량이 활약할 기회가 없었거나 혹은 아직 제대로 활용이 안 되었던 때이다.③ 형주의 지리적 특징 : 형주는 동, 서, 남, 북 모두 여러 세력에 노출된 지역으로 딱히 험난한 지세를 갖춘 것도 아닌 평야지대였다. 즉, 적의 공격을 받으면 다른 지역 혹은 세력의 구원이나 원조가 없이 적을 상대하는 것은 정말 어려운 것이었다. (알다시피 형주 남부는 원래 유표의 세력권이지만 이후 한현, 유도, 금선, 조범 등이 통치했고 그들은 자기 나름대로 독자적 길을 택하며 친조조파 성향을 보였다.)또한 서촉이 생기면서 형주는 매우 중요한 곳으로 자리 잡혔는데 관우가 죽고 형주가 동오에게 넘어가면서 유비는 이곳을 탈환하려고 생각하였다. 제갈량은 형주를 포기하고 동오의 동맹을 꾀할 생각이었지만 유비는 그것이 아니었다. 그래서 대대적 전쟁을 감행하여 이른바, 이릉전투를 발발하게 한다. 겉으로는 관우의 복수였으나 실질적으론 형주를 통해 국력의 열세적 상황에 처해지는 것을 막으려는 것이었다.그에 반해 송강은 자신이 옳다고 생각해도 주위의 반대가 있다면 어쩔 수 없이 제 풀에 꺾여나가는 모습을 보였다. 양산박의 두령 자리를 노준의에게 넘기려 했을 때 - 증두시의 사문공을 노준의가 죽였고 이 때 송강이 약속한 것에 따르면 당연 노준의가 두령이 되어야 했다. - 주위의 반대가 극심하자 완고했던 송강 또한 한 발 물러나 새로운 대안을 제시한다. 동창부와 동평부를 각자 공략해 성공하는 쪽이 두령이 되기로 한 것이다.조정에 귀순하는 것에 대해 반대가 많긴 했지만 송강이 끝내 조정에 귀순해 요나라 정벌 및 반란 토벌을 했던 것은 양산박에 투항했던 지배층 혹은 부유층 세력 (관승, 호연작, 동평, 장청, 사진 등)의 동조가 있었기 때문이다. 또한, 송강 또한 지배층 세력에 가까웠기 때문에 핍박받던 이규, 이준 같은 자들의 반대를 딱히 마음으로 알 수 있다고 볼 수 없었다. 만약 송강의 조정귀순에 대한 동조자가 없었다면 송강은 조정에 귀순하기 힘들었을 것이다. 자신의 마음은 이것이 아닌데 주의의 반대가 심하면 그것을 철회하니 말이다. 이 점에서 후덕한 이미지란 모습에서 겉으론 비슷하지만 속으로 유비는 구밀복검, 송강은 우유부단이라 할 수 있다.
※ 초한지 삼국지 수호지가 싸우면 누가 더 우세할까?
일단 소설의 스케일에서는 위의 세 소설들이 엇비슷하다. 그러나 시대적 상황으로 우위를 따져보았을 때 수호지가 가장 우세하다. 수호지는 군웅할거 시대도 아니고 앞에 초한지 삼국지처럼 휘황찬란하지도 않다. 그러나 기술력이나 년도, 축척되어 온 지식의 깊이를 따졌을 때 수호지 시대가 우세하다고 할 수 있다. 다음으로 초한지 삼국지 둘 중에서는 삼국지가 더 우세하다고 할 수 있다. 초한지 시대에는 병법이나 기술이 탄생 내지 걸음마 단계이고 삼국지는 중고등 정도의 단계이다.
10. 수호전에서 유래한 사자성어
① 타초경사(打艸驚巳) : 풀을 두들겨서 뱀을 놀라게 한다는 말로, 생각없이 한 일이 뜻밖의
결과를 낳는 것을 뜻한다. 다르게는 이 사람을 훈계하여 다른 사람을 깨우친다는 의미.
② 사해형제(四海兄弟) : 세상 사람들은 모두 형제와 같다는 뜻으로, 세상의 모든 사람들을
친밀하게 이르는 말.
③ 복마지전(伏魔之殿) 또는 복마전 : 악마가 숨어있는 전당. 또는 나쁜 일이나 음모 등이
끊임없이 꾸며지고 있는 근거지.
④ 신출귀몰(神出鬼沒) : 귀신과 같이 홀연히 나타났다가 감쪽같이 없어짐. 자유자재로 출몰
하여 그 변화를 헤아릴 수 없는 일.
⑤ 무교불성서(無巧不成書) : 일이 풀리려면 공교롭게도 이뤄진다. (수호지의 저자 施耐庵이
무송과 호랑이와의 격투장면을 쓸 때 어떻게 묘사할지 난관에 봉착해 있었는데 어느 날
길에서 사람이 개와 싸우는 장면을 목격하고 감상을 얻어 해결한데서 연유)
tip.
이 책은 대표적인 몇몇 인물들, 즉 흑선풍 이규나 행자 무송, 급시우 송강 등의 영웅적인 행위를 간략히 소개하는 동시에 그들의 비영웅적인 면모에 대해 이야기하고 있다. 물론 저자가 일관하는 관점은 분명하다. 영웅적인 행각의 뒤에 숨겨진 잔혹함, 비열함, 비양심등이 이 책의 주제인 것이다. 호쾌한 무용담이 사실은 치졸한 과정과 잔인무도한 결과에 의한 것임을 보여준다. 그래서 7개의 장으로 구분된 내용은 전체적으로 끔찍한 살인의 장이며, 그것을 바라보는 저자의 초점은 비인간성이다. 그래서 저자는 \"이토록 잔인한 장면에 대해 아무런 감정의 동요 없이 서술하는 {수호전}의 냉정함이 무섭다\"며 흥분한다.
re: <<수호전>>내의 잔혹한 내용을 정신분석학적으로 판단하면?
님께 해 드릴 말씀은 양산박 호걸들은 일단 모두 \'정상인\'이란 겁니다. 수백명을 죽였든 인육을 먹었든 간에 수호전이 쓰여 질 당시의 중국사회의 기준으로는 큰 흠이 되지 않죠.
또 한 가지 드리고 싶은 말씀은 위의 자료는 일본인들이 중국인, 중국문화를 비하하기 위해 쓴 글이란 겁니다. 예전에 \'엽전은 안 돼\' 라든지 \'조선인들은 어리석어 지배해 줄 사람이 필요하다\'는 등 한국인을 비하하는 말을 퍼뜨렸던 것처럼 중국을 비하하기 위해 중국의 대표적 문학인 수호전에 시비를 걸고 나온 겁니다.
그러니 그런 글을 보고 중국 고대 영웅들을 정신병자 취급하는 건 첫 번째로는 수세기전의 사람을 지금의 잣대로 재는 오류를 범하는 것이고 두 번째로는 일본국수주의자들의 농간에 넘어가는 셈이니 피하시는 게 옳다고 보여지네요.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