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전시가 교육론] 일탈하는 여성 난설헌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고전시가 교육론] 일탈하는 여성 난설헌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듯이 사랑이라는 감정에 환상도 있었을 것이다. 하지만 난설헌에게 ‘결혼’은 현실이었으며, ‘사랑’은 한조각 꿈에 불과했다. 난설헌을 사랑하기에 그릇이 작은 남편과 시어머니의 괴롭힘은 난설헌을 사랑으로부터 도피하게 했다.
빈녀(貧女)의 노래
豈是乏容色 工鍼復工織 이 얼굴 남들만 못하지 않고,
바느질 길쌈베도 솜씨 있건만,
少小長寒門 良媒不相識 가난한 집 태어나 자란 탓으로
중매인도 발끊고 몰라라 하네.
不帶寒饑色 盡日當窓織 추위도 주려도 내색치 않고,
진종일 창가에서 베를 짜나니,
惟有父母憐 四隣何曾識 부모님야 안쓰럽다 여기시지만
이웃이야 그런 사정 어이 아리요.
夜久織未休 알알鳴寒機 밤 깊어도 짜는 손 멈추지 않고
짤깍짤깍 바디 소리 차가운 울림,
機中一匹練 終作阿誰衣 베틀에 짜여가는 이 한 필 비단,
필경 어느 색시의 옷이 되려나?
手把金剪刀 夜寒十指直 가위 잡고 삭독삭독 옷 마를 제면
밤도 차라 열 손끝이 곱아 드는데
爲人作嫁衣 年年還獨宿 시집갈 옷 삵 바느질 쉴 새 없건만
해마다 독수공방 면할 길 없네. 옛 詩情(시정)을 더듬어: 한국(韓國)역대명한시(名漢詩)평설\", 손종섭, 1992
이 노래는 도피, 혹은 일탈이라기 보다 한탄에 가깝다. 몽환적인 분위기의 시가 대부분인 난설헌의 시중에서 이런 작품은 사뭇 분위기가 다르다. 삵바느질을 하면서 느낄 수 있는 이런 감정은 정말 삵바느질을 해본 가난한 여인이 아니면 노래 할 수 없을 정도로 예민한 감수성인데, 난설헌은 여성의 섬세한 감정을 노래함으로써 해마다 독수공방해야하는 자신의 처지를 한탄하고 있다.
閨怨 2.
月樓秋盡玉屛空 다락에 가을깊어 울안은
  • 가격1,200
  • 페이지수5페이지
  • 등록일2018.11.24
  • 저작시기2018.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07122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