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경별곡에 대한 연구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서경별곡에 대한 연구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서경별곡에 대한 연구>


1. 서론.

2. 본론.

3. 결론

본문내용

1 연의 서경은 작은 서울이고 내가 사랑하는 정든 고향이지만 님께서 이곳을 떠난다면 이별하기보다는 내 손때가 묻은 길쌈하던 베틀을 버리고서라도 엄용선, 고려속요 연구, 교육대학원, 1993, p 34
-6-
님을 따르겠다는 화자의 의지가 드러나 있다.그러나 그 이면에는 내가 이렇게까지 하는데 이런 나를 버리고 갈 것이냐? 하는 화자의 막연한 기대가 숨어있다. 2연에서는 남서화자가 구슬장식물을 운운하며 우리가 약속했던 사랑과 신의의 맹세를 상기시켜 화자를 달래고 있다. 그러나 구슬장식물이 바위에 깨져도 끈이 남아있는 표현은 이미 돌이킬 수 없는 이별을 상징하고 있다. 결국 2연의 남성화자는 구슬 장식물을 생각하며 나를 더 이상 따라오지 말라는 의미가 숨어있다. 결국 남성화자는 1연의 화자에게 마음이 돌아선 것이다. 3연에서는 다시 여성화자의 목소리로 대동강이 넓은 줄 몰라서 배를 내어주었냐고 사공에게 분풀이를 한다. 여기서 화자는 이미 님이 다른 여자를 만나 바람 피는 것까지 생각이 미쳤다. 그래서 사공이 배를 내어준 것에 대해 애꿎은 화풀이를 한다. 4연에서 여성화자는 배를 타면 님이 다른 여자와 만나 바람을 필 것이다. 하는 탄식조로 서경별곡을 끝맺고 있다.
4연 부분에서 화자가 이별을 여유 있게 받아들였다면 문학적으로 완성도 높은 작품이 되지 않았나 싶다. 서경별곡의 화자는 격정적이고 참고 견디는 노력의 흔적은 발견되지 않는다. 특히 마지막 연에는 질투심과 여성 본능의 감정을 그대로 드러내고 있다. 박노준에 의하면 서경별곡의 후반부는 도무지 감추는 것이 없고 참고 견뎌내는 노력이 없다. 질투심을 그대로 노출시켜서 님을 원망하는 직설적인 뾰죽한 감정만이 분출되고 있다. 이 역시 화자의 격정적 개성이 그대로 반영된 결과로 보아야 할 것이다. 박노준, 앞의 책, p 284.
-7-
어쨌든 서경별곡의 마지막 연이 격하게 끝나 비극적으로 느껴진다. 이런 경향은 화자가 현재에만 집착한 결과인 것 같다. 화자는 현재에만 집착한 나머지 미래에 어떤 일이 일어날지 그리고 더 나은 미래를 위한 준비나 희망은 보이지 않는다. 이 점은 서경별곡은 읽은 독자들이 교훈으로 삼아야 할 것이다. 현재에 집착해 숲은 못보고 나무만 보는 어리석음은 버려야 할 것이다. 이상으로 서경별곡에 대해 고찰해 보았다. 서경별곡은 고려가요 중에서도 비교적 높은 문학적 완성도를 인정받는 작품이다. 훌륭한 작품을 다룬다는 부담이 있었지만 작품을 독자의 입장에서 충실하게 이해하려 했고, 나름의 해석을 하여 일반적인 견해와 다른 부분도 있을 것이다. 마지막으로 작품론을 쓰면서 한 작품을 심도 있게 다룬다는 자체에 보람을 느꼈고, 내가 논문을 썼다는 것으로 흐뭇한 기분이 들었다. 이상으로 서경별곡에 대한 연구를 마친다.
◎참고문헌◎
박노준, 고려가요의 연구, 새문사, 1990
박병채, 고려가요의 어석연구, 국학자료원, 1994
최승영, 서경별곡 연구, 한국 교원대학교 대학원, 1993
엄용선, 고려속요 연구, 교육대학원, 1993
조동일, 한국 문학통사 2, 지식산업사, 2003

키워드

서경별곡,   문학,   속요,   고려가요,   서경,  
  • 가격1,4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18.11.27
  • 저작시기2018.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07155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