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서론
2. 원문 및 해석
2.1. 원문
2.2. 어구 해석
2.3. 현대어로 재구성
3. 작자 및 형성시기
4. <상저가>의 형식적 특징
4.1. 구조 분석
4.2. <상저가>의 형식 – 단연체인가 연장체인가
5. <상저가>의 주제
5.1. 효심을 노래한 것이라는 입장
5.2. 어려운 생활을 노래한 것이라는 입장
5.3. 단순한 노동요
6. 결론
※ 참고문헌
2. 원문 및 해석
2.1. 원문
2.2. 어구 해석
2.3. 현대어로 재구성
3. 작자 및 형성시기
4. <상저가>의 형식적 특징
4.1. 구조 분석
4.2. <상저가>의 형식 – 단연체인가 연장체인가
5. <상저가>의 주제
5.1. 효심을 노래한 것이라는 입장
5.2. 어려운 생활을 노래한 것이라는 입장
5.3. 단순한 노동요
6. 결론
※ 참고문헌
본문내용
<상저가>
1. 서론
<상저가>는 『시용향약보』에 실려 있는 고려 속요의 하나로, <유구곡>이나 <사모곡>과 함께 민간에 퍼져 널리 알려진 민요계 노래이다. 다른 고려속요가 후대 궁중무악에 편입되어 내용의 변개가 있었던 것과 달리 민요 본래의 성격을 여전히 지니고 있다는 점에서 주목된다.
<상저가>는 현재 주제와 형식적 측면에서의 견해가 분분하다. 주제의 측면에서는 <사모곡>과 같이 효를 드러내는 노래라고 보는 학자가 있는가 하면, 방아를 찧는 데 부르던 노동요라고 보는 학자도 있다. 그리고 형식적인 측면에서는 단연체로 보는 학자도 있고, 연장체인데 1연만 『시용향약보』에 실려 있을 것이라 보는 학자도 있다. 이에 대한 자세한 논의는 본문에서 다루도록 하겠다.
본고에서는 먼저 <상저가>의 원문과 그 해석을 살펴보고, 작자가 누구인지 살펴 본 후에 형식적 특징 및 주제의식을 관련된 논쟁과 함께 알아보겠다.
2. 원문 및 해석
2.1. 원문
1. 서론
<상저가>는 『시용향약보』에 실려 있는 고려 속요의 하나로, <유구곡>이나 <사모곡>과 함께 민간에 퍼져 널리 알려진 민요계 노래이다. 다른 고려속요가 후대 궁중무악에 편입되어 내용의 변개가 있었던 것과 달리 민요 본래의 성격을 여전히 지니고 있다는 점에서 주목된다.
<상저가>는 현재 주제와 형식적 측면에서의 견해가 분분하다. 주제의 측면에서는 <사모곡>과 같이 효를 드러내는 노래라고 보는 학자가 있는가 하면, 방아를 찧는 데 부르던 노동요라고 보는 학자도 있다. 그리고 형식적인 측면에서는 단연체로 보는 학자도 있고, 연장체인데 1연만 『시용향약보』에 실려 있을 것이라 보는 학자도 있다. 이에 대한 자세한 논의는 본문에서 다루도록 하겠다.
본고에서는 먼저 <상저가>의 원문과 그 해석을 살펴보고, 작자가 누구인지 살펴 본 후에 형식적 특징 및 주제의식을 관련된 논쟁과 함께 알아보겠다.
2. 원문 및 해석
2.1. 원문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