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수술 수술전후간호 합병증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위수술 수술전후간호 합병증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위수술 대상자와의 수술 전 간호
1. 건강력 사정
2. 신체사정
3. 진단검사
4. 간호중재
5. 수술 전 준비

2. 위수술 대상자와의 수술 후 간호
⦿ 회복실 간호
1. 즉각적인 기본사정
2. 마취회복 시 간호
⦿ 병동간호
1. 호흡기계
2. 순환기계
3. 신경계
4. 영양 및 수분 전해질 균형
5. 위장관계
6. 요로계
7. 통증조절
8. 상처치유 촉진

3. 수술 후 합병증

본문내용

기능 회복
병동간호
1. 호흡기계
1) 좌위, 반좌위 유지, 2시간 마다 체위 변경
2) 호흡기 합병증 증상 확인
: 수술 후 48시간 내에 흔히 발생
3) 심호흡(5~10회/시간)과 기침(10회/시간) 격려
4) 운동
5) 조기이상
6) 수분공급, 가습, 흡인, 두드리기와 진동
7) 객담용해제 Bromhexine(BSV) 투여
8) Incentive spirometer
2. 순환기계
1) V/S check
2) 합병증 확인
: 부정맥, 고혈압, 저혈압, 쇼크, 혈전성 정맥염, 심근경색증, 출혈
3) 혈전성 정맥염 예방
:수술 후 다리운동, 조기이상, 항색전 스타킹, 수분공급, 다리상승,
저용량의 헤파린 투여
4) 혈전성 정맥염 발생시
: 침상안정, 온습포 적용, 하지 마사지 금지, 항응고제 투여
5) 출혈
: 혈장보충제, 알부민, 수액, 혈액, 응고문제시 FFP, 응고인자 수혈
3. 신경계
1) 지남력, 얼굴표정, 질문이나 자극에 대한 반응, 과잉반응 여부,
감각 여부 사정
2) 부동으로 인한 근육 약화, 관절강직, 감각박탈의 합병증 확인
4. 영양 및 수분 전해질 균형
1) 수술 후 금식시 수분-전해질 불균형 가능
I&O측정, 체중 측정
2) 소화기능 정상 회복 시 까지 금식 유지, 정맥으로 포도당, 식염수, 전해질 수분
공급
3) 총 비경구영양으로 고열량식이 투여
5. 위장관계
1) N/V, 장 연동 운동의감소 및 변비증상 확인
2) 연동운동 회복될 때까지 가스배출 확인, 장음 청진
3) 비위관 통한 위장 감압, 배액의 색과 양 관찰
4) 조기이상 권장, , 수분과 고 섬유식이 권장
5) 가스배출 안되어 복부 팽만 시 직장관 삽입하여 가스 배출 유도
6) 대개 24~72시간 애에 식사 부족
7) 항문을 통한 가스 방출 후 SOW 유동식 연식 일반식
6. 요로계
1) 요정체 관찰(전신마취, 척추마취 후 가능)
2) 정체도뇨관 관찰(소변색, 혼탁도, 양 사정)
3) 배뇨곤란 시 따뜻한 물을 부어 회음부 자극, 수분섭취 증가,
걷기 권장
7. 통증조절
1) 수술 후 24 ~36 시간이 가장 심함
2) 수술 후 24 ~ 48시간 동안은 마약성 진통제의 혈중농도 일정하게
유지
3) PCA 사용, 기타 비약물성 통증 관리법 적용
8. 상처치유 촉진
1) 수술후 36 ~ 48시간에 상처 감염 발생 가능
2) 감염 징후는 5~7일에 나타남,
발생 시 배양 및 민감성 검사 후 항생제 사용
3) 상처파열과 장기 돌출(수술 후 6~7일)
-예방: 기침 시 지지, 상처감염 예방, 적절한 영양 및 수액공급, 복대 적용
-발생 시 간호 : Semi-Fowler체위, 무릎을 약간 구부려 복근 이완
멸균거즈에 생리식염수 적셔 덮어 주기
4) 상처치유 및 조직 재구성에 필요한 비타민 C, 단백질 충분히 공급
3. 수술 후 합병증
위수술 초기 합병증에는 출혈, 십이지장 봉합부위 누출 및 위저류 등이 있고 후기 합병증에는 급속 이동 증후군, 빈혈 및 지방흡수불량 등이 있다.
1) 출혈
출혈이 문합부 봉합선상에서 나타나며 자연적으로 멈추거나 멈추지 않을 수도 있다. 수술 후 처음 24시간 동안 나타날 수 있고 4-7일 사이에 다시 시작될 수도 있다. 출혈을 확인하기 위해 내시경이 시행될 수 있다.
2) 십이지장 봉합부위 누출 (Duodenal stump leakage)
Billoth Ⅱ문합술로 남겨진 십이지장 봉합부위에서 누출이 일어날 수 있다. 흔히 수술 후 4-6일 사이에 나타난다. 대상자는 어깨로 방사되는 심한 상복부 통증과 복부강직, 고열 및 백혈구 증가를 보인다. 담즙이 섞인 배액이 있으며 자연적으로 누출부위가 닫히지 않으면 4-6주 이내에 수술을 해야 한다.
3) 위정체 (Gastric retention)
위 잔여부내의 음식 정체는 문합부 부종, 문합부 조직의 내반 및 문합부의 작은 누출로 인해 초래될 수 있다. 복부충만감, 오심 및 구토 등을 호소한다. 48시간 동안 비위관흡인을 재 실시하고 음식섭취는 서서히 회복시킨다.
내시경을 통한 풍선 확장술이 시행될 수 있다. 증상이 좋아지지 않으면 수술이 필요하다.
4) 급속 이동 증후군
급속 이동 증후군은 수술 후 몇 주 동안 나타날 수 있는 증상 중의 하나이다. 발병은 식사중 또는 식후 5-30분에 나타나고 증상은 20-60분까지 계속된다. 대상자는 허약, 실신, 심계상진 및 발한을 호소한다. 충만감, 불편감 및 오심이 자주 나타나고, 설사가 또한 나타나기도 한다.
증상
허약, 현기증, 발한, 빈맥, 심계항진, 충만감이나 불편감, 오심, 설사,
관리
예방이 최선이고, 소량씩 자주 식사, 중간 정도의 지방과 고단백 식이, 탄수화물
제한, 식사 시 최소의 액 체, 매우 뜨겁거나 찬 음식과 음료를 피한다.
식후 20-30분간 측위로 휴식하고, 항 콜린성이나 항경련성 약물을 투여한다.
5) 체중감소
위수술 후 위의 저장력이 줄어들어 섭취, 소화 및 흡수가 감소하기 때문에 보통 전체 체중의 5-10%가 감소된다. 일일 6회 소량식사로 섭취를 증가시킬 수 있다.
6) 빈혈
급속한 위 배출로 인해 염산과 음식이 섞이지 못하면 철분이 유리되지 못하고, 흡수하는데 시간이 적기 때문에 철분결핍성 빈혈이 발생한다. 또한 벽세포가 비타민 B12 대사에 필요한 내적인자를 방출하지 않기 때문에 악성 빈혈이 발생할 수 있다.
7) 흡수불량 및 십이지장 Loop증후군 (Blind loop syndrome)
산분비 감소, 췌장효소 감소 및 상부 위장운동의 증가로 인해 지방의 흡수불량이 초래된다. Billroth Ⅱ위절제술후 폐쇄된 십이지장내에 음식이 정체되어 세균이 증식한다. 박테리아는 담즙염을 분해시켜 지방소화를 어렵게 한다.
위장 운동이 증가되어 위로부터 빠르게 이동할 경우 음식물이 췌장 리파제와 담즙과 충분히 섞이지 못하여 지방이 소화되지 못하고 지방변을 볼 수 있다. 이러한 작용으로 환자는 지방 설사, 설사 및 체중감소를 일으키고 지용성 비타민 결핍이 나타날 수 있다. 십이지장 loop내 세균의 수를 줄이기 위해 항생제를 투여하거나 췌장효소를 투여할 수도 있다. Billroth Ⅱ를 Billroth Ⅰ문합술로 바꾸기 위한 수술이 필요할 수도 있다.
  • 가격1,500
  • 페이지수10페이지
  • 등록일2018.12.03
  • 저작시기2018.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07246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