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다이어트요법 족보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건강다이어트요법 족보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소아 청소년의 비만은 ‘2007년 한국 소아청소년 성장도표’에 정한기준에 따라 체질량지수가 성별ㆍ연령별 체질량지수의 95% 이상

비만이 우리나라 사람의 고민으로 등장한 것은 그렇게 오래되지 않았으며 과거에는 비만이 풍족한 생활의
상징이었으나 요즘은 당뇨병동맥경화, 심장병 등 성인병의 가장 큰 원인

우리나라 성인의 1/3 비만, 남자 비만인구 지난 10년간 해마다 1%씩 증가

소아 청소년의 비만은 ‘2007년 한국 소아청소년 성장도표’에 정한 기준에 따라체질량 지수가 성별ㆍ연령별 체질량지수의 95% 이상 이거나 25kg/m² 이상인 경우

2007년 성인 비만유병률(만 19세 이상, 결과) : 32.1% 였음. 이는 미국(만 20세 이상, 기준 체질량지수
30kg/m² 이상)의 비만유병률 34.3%보다 낮은 수준이지만 일본(NHANES, 만 20세 이상 기준체질량지수
25kg/m² 이상)의 비만유병률24.0%보다 높은 수준

비만유병률(만 19세 이상)을 성별ㆍ연령별 비교하면 남자 36.6%, 여자 27.8%로 남자가 높고, 남자는 30대와 50대에서 가장 높은 반면 여자는 연령이 높을수록 증가하여 60대 가장 높았음

유전적 요인과 함께 과식 등의 식습관, 심리적 요인, 내분비계 이상, 신체활동량 부족 등의 요인
부모로부터 물려받은 체질적 성향 + 가족의 식습관

• 양쪽 부모 모두 비만이 아닌 경우 - 10%
• 한 쪽 부모의 비만- 40~60%
• 양친의 비만- 80%

식이장애 : 거식증, 폭식증

운송수단(교통)의 발달, 산업의 기계화, 공공장소의 자동화 설비 증가,TV 등 매스미디어의 발달, 도시화 등이 신체활동량을 급속히 감소

비만 아동의 80%가 성인이 되면 비만되는데, 정상체중 아동의 20%가 비만이되는 것과 뚜렷한 비교
  • 가격2,0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18.12.16
  • 저작시기2018.12
  • 파일형식아크로뱃 뷰어(pdf)
  • 자료번호#107423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