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집단의 유형
I. 치료집단
1) 지지집단
2) 교육집단
3) 성장집단
4) 치료 또는 치유집단
5) 사회화 집단
II. 과업집단
III. 자조집단
IV. 1차 집단과 2차 집단
V. 개방집단과 폐쇄집단
1) 개방집단
2) 폐쇄집단
* 참고문헌
I. 치료집단
1) 지지집단
2) 교육집단
3) 성장집단
4) 치료 또는 치유집단
5) 사회화 집단
II. 과업집단
III. 자조집단
IV. 1차 집단과 2차 집단
V. 개방집단과 폐쇄집단
1) 개방집단
2) 폐쇄집단
* 참고문헌
본문내용
자 집단. 회복 집단 등이 있다.
IV. 1차 집단과 2차 집단
1/ 1차 집단은 성원들이 상호 인접해 있으며, 집단의 규모가 비교적 작다. 그리고 성원들의 관계가 지속적일 때 성립된다. 성원 간의 관계는 비공식적이고 친밀하고 개인적이다. 1차 집단에는 가족, 놀이집단, 이웃, 친구, 동료 등이 해당된다. 따라서 정서적이고 감정적인 측면이 강조되는 인간관계를 갖는다.
2/ 2차 집단은 특정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인위적으로 계약에 의해 만들어진 집단으로 종교 모임, 노동조합, 동호회 모임, 학술집단 등이 해당된다. 수단적이며 능률 위주의 합리성을 강조하여 성원 간의 관계가 공식적. 비인격적, 분절적, 도구적이다.
V. 개방집단과 폐쇄집단
1/ 개방집단
개방집단은 집단이 진행되어 가는 과정에 새로운 성원의 가입이 가능한 집단으로 성원이 항상 변화가 생길 수 있는 집단을 말한다. 집단성원이 변화하면 새로운 생각. 신념, 가치관이 집단의 역동에 유입될 수 있다. 개방집단에서 새로운 성원이 늘어날수록 집단의 발달 단계로 진행되지 못하고, 초기 오리엔테이션을 반복하는 상황이 발생할 수 있다. 계속 참여해 온 성원들은 초점이 흐려져 답답함을 느끼고 탈퇴를 조장하게 되기도 한다. 사회복지생활시설이나 AA모임(자조집단) 등에서 일반적으로 활용되는 집단 유형이다.
2/ 폐쇄집단
폐쇄집단은 집단을 구성할 때 선정된 성원이 종결까지 성원 자격을 가지기 때문에 성원 간에 응집력, 결속력이 높고 서로 간에 동일시하는 경향이 많다. 청소년과 성인의 경우에는 폐쇄집단이 좋지만, 폐쇄집단은 인원의 감소로 집단이 조기에 종결될 수 있다는 한계를 가진다. 집단에 형성되어 있는 친밀감이 일부 성원에게는 부담스러울 수 있으며 어떤 성원들은 친밀해지는 것을 저항할 수도 있다. 알코올중독자 치료집단이나 성매매 여성집단과 같은 경우 폐쇄집단으로 운영된다.
* 참고문헌
사회복지서비스 : 한국산업인력공단, 진한엠앤비, 2015
지역사회복지와 사회복지시설 : 이병록 저, 청목출판사, 2007
사회복지실천론 : 이영분/김기환 등 저, 동인, 2010
발달심리학 : 신명희, 서은희 외 3명 저 / 2013 / 학지사
현대사회와 가정 / 허혜경, 박인숙 외 1명 저 / 동문사 / 2017
공중보건학 / 김낙상 저, 에듀팩토리, 2016
교육심리학 : 학습심리학 / 이웅 저 / 한국교육기획 / 2009
조직과 인간관계론 - 이택호/강정원 저, 북넷, 2013
IV. 1차 집단과 2차 집단
1/ 1차 집단은 성원들이 상호 인접해 있으며, 집단의 규모가 비교적 작다. 그리고 성원들의 관계가 지속적일 때 성립된다. 성원 간의 관계는 비공식적이고 친밀하고 개인적이다. 1차 집단에는 가족, 놀이집단, 이웃, 친구, 동료 등이 해당된다. 따라서 정서적이고 감정적인 측면이 강조되는 인간관계를 갖는다.
2/ 2차 집단은 특정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인위적으로 계약에 의해 만들어진 집단으로 종교 모임, 노동조합, 동호회 모임, 학술집단 등이 해당된다. 수단적이며 능률 위주의 합리성을 강조하여 성원 간의 관계가 공식적. 비인격적, 분절적, 도구적이다.
V. 개방집단과 폐쇄집단
1/ 개방집단
개방집단은 집단이 진행되어 가는 과정에 새로운 성원의 가입이 가능한 집단으로 성원이 항상 변화가 생길 수 있는 집단을 말한다. 집단성원이 변화하면 새로운 생각. 신념, 가치관이 집단의 역동에 유입될 수 있다. 개방집단에서 새로운 성원이 늘어날수록 집단의 발달 단계로 진행되지 못하고, 초기 오리엔테이션을 반복하는 상황이 발생할 수 있다. 계속 참여해 온 성원들은 초점이 흐려져 답답함을 느끼고 탈퇴를 조장하게 되기도 한다. 사회복지생활시설이나 AA모임(자조집단) 등에서 일반적으로 활용되는 집단 유형이다.
2/ 폐쇄집단
폐쇄집단은 집단을 구성할 때 선정된 성원이 종결까지 성원 자격을 가지기 때문에 성원 간에 응집력, 결속력이 높고 서로 간에 동일시하는 경향이 많다. 청소년과 성인의 경우에는 폐쇄집단이 좋지만, 폐쇄집단은 인원의 감소로 집단이 조기에 종결될 수 있다는 한계를 가진다. 집단에 형성되어 있는 친밀감이 일부 성원에게는 부담스러울 수 있으며 어떤 성원들은 친밀해지는 것을 저항할 수도 있다. 알코올중독자 치료집단이나 성매매 여성집단과 같은 경우 폐쇄집단으로 운영된다.
* 참고문헌
사회복지서비스 : 한국산업인력공단, 진한엠앤비, 2015
지역사회복지와 사회복지시설 : 이병록 저, 청목출판사, 2007
사회복지실천론 : 이영분/김기환 등 저, 동인, 2010
발달심리학 : 신명희, 서은희 외 3명 저 / 2013 / 학지사
현대사회와 가정 / 허혜경, 박인숙 외 1명 저 / 동문사 / 2017
공중보건학 / 김낙상 저, 에듀팩토리, 2016
교육심리학 : 학습심리학 / 이웅 저 / 한국교육기획 / 2009
조직과 인간관계론 - 이택호/강정원 저, 북넷, 2013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