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스키너의 행동주의이론의 주요개념과 특징
I. 조작적 조건화와 조작적 행동
II. 강화
III. 강화스케줄
1) 고정간격 강화스케줄
2) 고정비율 강화스케줄
3) 가변간격 강화스케줄
4) 가변비율 강화스케줄
IV. 처벌
V. 반응적 행동
VI. 행동형성
VII. 소거
* 참고문헌
I. 조작적 조건화와 조작적 행동
II. 강화
III. 강화스케줄
1) 고정간격 강화스케줄
2) 고정비율 강화스케줄
3) 가변간격 강화스케줄
4) 가변비율 강화스케줄
IV. 처벌
V. 반응적 행동
VI. 행동형성
VII. 소거
* 참고문헌
본문내용
형성은 복잡한 행동이나 기술을 학습시키는 과정이다. 목표가 되는 행동을 만들어가는 것이 행동형성이다. 행동형성은 이미 일어나고 있는 행동 중 목표로 삼고 있는 바람직한 행동에 가까운 것을 찾아내는데서 시작된다. 목표하는 행동을 학습할 수 있도록 기대에 부응하는 행동에 대해 강화를 함으로써 행동을 점차 만들어가는 것이다.
예를 들어 아이가 대소변을 가리도록 행동을 학습시킬 경우 먼저 아이의 배변욕구에 관한 의사표시에 칭찬을 하여 자기의 표현행동을 조성하고, 그 다음 순서로 바지를 내리고 변기에 않고 배설하고 변기의 물을 내리는 행동을 차례대로 함으로써 전체적으로 배변을 해결할 수 있는 바람직한 행동을 학습시킨다. 복합적인 행동을 학습하기 위해서는 구체적이고 세분화된 행동의 단계로 구분하여 접근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VII. 소거
소거는 이전에 강화되었던 행동이 더 이상 이전과 같은 결과를 가져 오지 않는 것이다. 보상받지 못하는 행동은 발생의 기본적인 수준으로 감소하며 그 행동은 결국 소거되는 것이다. 예를 들어, 끊임없이 울어대는 아이가 있는데 그 아이는 매번 부모가 안고 달래주어야만 울음을 그쳐왔다.
그러나 어느 순간부터 아이가 울어도 부모가 아무런 반응을 보이지 않는 다면 처음에는 더 많이 울겠지만 결국 아무런 반응도 없다는 것을 알게 된 아이는 스스로 울음을 스치게 된다. 결국 주어진 상황에서 개인이 이전에 강화된 행동을 취하였을 때 더 이상 그러한 반응이 강화되지 않으면 다시 같은 반응을 하지 않을 가능성이 높아지게 되는 것이다. 일정한 기간이 지난 후 소거된 행동이 다시 나타나는 것을 "자발적 회복"이라고 한다. 전형적으로 자발적으로 회복된 행동은 이전에 나타났던 행동보다 낮은 강도로 나타나게 된다.
* 참고문헌
교육심리학 : 학습심리학 / 이웅 저 / 한국교육기획 / 2009
발달심리학 / 곽금주 저 / 학지사 / 2016
심리학개론 / 이명랑 저 / 더배움 / 2017
애착이론과 정신분석 / Peter Fronagy 저, 반건호 역 / 빈센트 / 2005
아들러 인생방법 심리학/알프레드 아들러 저, 한성자 역/동서문화사/2017
상담심리학 / 이수연 저 / 양성원 / 2017
유아인지발달 / 이화도 저 / 창지사 / 2017
성격심리학 / 권석만 저 / 학지사 / 2017
발달심리학 : 전생애 인간발달 / 정옥분 저 / 학지사 / 2014
심리학의 이해 / 방선욱 저 / 교육과학사 / 2003
예를 들어 아이가 대소변을 가리도록 행동을 학습시킬 경우 먼저 아이의 배변욕구에 관한 의사표시에 칭찬을 하여 자기의 표현행동을 조성하고, 그 다음 순서로 바지를 내리고 변기에 않고 배설하고 변기의 물을 내리는 행동을 차례대로 함으로써 전체적으로 배변을 해결할 수 있는 바람직한 행동을 학습시킨다. 복합적인 행동을 학습하기 위해서는 구체적이고 세분화된 행동의 단계로 구분하여 접근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VII. 소거
소거는 이전에 강화되었던 행동이 더 이상 이전과 같은 결과를 가져 오지 않는 것이다. 보상받지 못하는 행동은 발생의 기본적인 수준으로 감소하며 그 행동은 결국 소거되는 것이다. 예를 들어, 끊임없이 울어대는 아이가 있는데 그 아이는 매번 부모가 안고 달래주어야만 울음을 그쳐왔다.
그러나 어느 순간부터 아이가 울어도 부모가 아무런 반응을 보이지 않는 다면 처음에는 더 많이 울겠지만 결국 아무런 반응도 없다는 것을 알게 된 아이는 스스로 울음을 스치게 된다. 결국 주어진 상황에서 개인이 이전에 강화된 행동을 취하였을 때 더 이상 그러한 반응이 강화되지 않으면 다시 같은 반응을 하지 않을 가능성이 높아지게 되는 것이다. 일정한 기간이 지난 후 소거된 행동이 다시 나타나는 것을 "자발적 회복"이라고 한다. 전형적으로 자발적으로 회복된 행동은 이전에 나타났던 행동보다 낮은 강도로 나타나게 된다.
* 참고문헌
교육심리학 : 학습심리학 / 이웅 저 / 한국교육기획 / 2009
발달심리학 / 곽금주 저 / 학지사 / 2016
심리학개론 / 이명랑 저 / 더배움 / 2017
애착이론과 정신분석 / Peter Fronagy 저, 반건호 역 / 빈센트 / 2005
아들러 인생방법 심리학/알프레드 아들러 저, 한성자 역/동서문화사/2017
상담심리학 / 이수연 저 / 양성원 / 2017
유아인지발달 / 이화도 저 / 창지사 / 2017
성격심리학 / 권석만 저 / 학지사 / 2017
발달심리학 : 전생애 인간발달 / 정옥분 저 / 학지사 / 2014
심리학의 이해 / 방선욱 저 / 교육과학사 / 2003
키워드
추천자료
[행동주의]행동주의 학습이론의 정의 및 주요개념과 특징, 행동주의이론(파블로프, 스키너, ...
스키너(Skinner)의 행동주의적 학습이론 - 인간관과 기본관점, 학습이론의 주요개념, 조작적 ...
≪ Burrhus F. Skinner(스키너) ≫ 스키너 생애와 교육론, 행동주의 학습이론, 주요 이론적 개...
[인간행동과 사회환경 人間行動 社會環境] 행동주의(行動主義) 이론을 통한 개인체계의 이해 ...
[스키너의 행동주의이론] 조작적 조건형성의 주요개념 조작적 조건화의 사회복지실천에의 적...
스키너의 행동주의이론의 주요개념
[행동주의이론] 스키너(Skinner)의 조작적 조건형성이론(조작적 조건화, 강화와 처벌, 강화계...
[스키너의 행동주의이론] 조작적 조건화(조작적 조건형성)의 주요개념과 특징 스키너이론의 ...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