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소년기 자아정체감 발달(자아정체감의 개념, 마샤의 자아정체감 이론과 발달단계)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청소년기 자아정체감 발달(자아정체감의 개념, 마샤의 자아정체감 이론과 발달단계)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청소년기 자아정체감 발달

I. 자아정체감의 개념

II. 마샤의 자아정체감 이론과 발달단계
1. 정체감 혼미단계
2. 정체감 미숙 또는 유실단계
3. 정체감 유예단계
4. 정체감 확립단계

* 참고문헌

본문내용

개 부(父)에 의하여 만들어지고 다음이 동료집단, 때로는 학교의 규칙이나 집단훈련이라고 했다. 그 예로서 불량배 조직, 히피족 등이 되는데, 정체감 확립이 집단적 정체감으로 변용된 것이다. 즉 집단의 규칙에 자신을 일치시킴으로써 다만 부모에게서 집단으로 옮겨 앉은 것이며, 자립 자율을 키워 주기보다는 정체감이 유실된 상태가 된 것이다.
흔히 완제품으로서 독재자들의 정체감(ready-made inentity)을 제시하는데, 이것이 곧 청년세대의 정체감 유실 또는 미숙을 낳게 된다. 그러나 민주주의 사회체제는 선택의 자유가 있어 완제품이 아니라, 자제품의 정체감에 더 가치를 둔다. 결국 정체감 미숙 또는 유실은 의사결정과정에서 자신이 얼마나 주체적이 되느냐의 문제라 하겠다.
(3) 정체감 유실단계
정체감 유예란 그 뜻이 비상시 국가가 은행에서의 지불정지를 명령하는 경제학 용어였는데, 에릭슨을 비롯하여 미드, 마샤 등이 자신들의 학문용어로 사용하여 왔다.
에릭슨이 사용한 의미는 개인의 성장 발달과정에서 일정 기간 정체를 나타내는 것이었고, 마가렛 미드도 에릭슨이 사용한 뜻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 유예기란 일시적인 현상이기보다는 뚜렷한 하나의 단계로 보아, 청년기의 심리적 현상이라고 했다. 즉 유예기 동안 개인은 좀처럼 현재의 자기위치를 바꾸려들지 않으면서도 새로운 차원의 가치에 동일시하려고 하는데, 정치적인 개혁사상, 종교적인 개종(改宗), 직업적인 전직(轉職) 등이 예가 된다고 하였다.
마샤 역시 1970년 연구에서 미국 대학생의 약 30% 정도가 이 단계에 있는데, 친권위의식이 낮고 저항감, 자신감, 불안감이 높은 특징을 보인다고 했다.
(4) 정체감 확립단계
정체감 확립(identity achieved)단계가 되면 청년은 자아완성의 단계에 이른 것이다. 즉 성인으로서 성숙과 발달이 이루어졌다고 본다.
그러므로 이 단계에 있는 청년은 모든 것을 자기에 의하여 결정하고 앞으로 종교, 정치작업 등 사회생활과 가정생활에서는 그가 수립한 세계관, 인생관, 가치관에 의거하여, 과거와 현재, 미래의 조정 통합을 할 수 있게 되어, 자기만의 미래를 창조할 수 있다. Munss(1975 : 80)는 "나는 누구냐?"라는 질문에 대해 Mrs. Jones는 "영어교사가 되었고 콜로라도에서 행복한 현모양처이다"라고 대답하는 예가 바로 이 단계라고 보았다.
이 단계에 이론 청년은 성취욕구가 높고 목적의식이 분명하며 반권위적이고 독립적이고 적응력이 강한 특성을 보인다고 한다.
* 참고문헌
인간발달 / 박성연, 백지숙 저 / 파워북 / 2011
아동상담 / 구은미, 박성혜 외 2명 저 / 양서원 / 2016
아동발달 / 이항재 저 / 교육과학사 / 2004
발달심리학 : 전생애 인간발달 / 정옥분 저 / 학지사 / 2014
심리학의 이해 / 방선욱 저 / 교육과학사 / 2003
아동심리학 / 김경희 저 / 박영사 / 2005
인간발달 / 조복희, 도현심 외 1명 저 / 교문사 / 2016
인간발달과 교육 / 이현림, 김영숙 저 / 교육과학사 / 2016
  • 가격2,0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18.12.27
  • 저작시기2018.1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07526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