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행동치료
I. 단계적 둔감화
II. 혐오치료
III. 자극홍수법
IV. 긍정적 강화
V. 소거
VI. 행동조성
VII. 모방, 모델링 및 관찰학습
VIII. 주장훈련
* 참고문헌
I. 단계적 둔감화
II. 혐오치료
III. 자극홍수법
IV. 긍정적 강화
V. 소거
VI. 행동조성
VII. 모방, 모델링 및 관찰학습
VIII. 주장훈련
* 참고문헌
본문내용
제에 대한 Ayllon과 Azhn(1968)의 연구결과를 보면 행동 뒤에 토론이 주어지지 않으면 바람직한 행동을 하지 않았다.
V. 소거
소거는 바람직하지 못한 행동에 강화물을 주지 않아 바람직하지 못한 행동의 출현빈도를 줄이는 과정이다. 정신병원에서 남의 응식을 훔치고, 지나치게 많은 옷을 입으려는 환자들에게 정적 강화물인 응식을 주지 않고, 식당에서 내쫓았다. 2주 내에 응식을 훔치는 행동은 소거되었으며 1년 동안에 응식을 훔치는 행동이 단지 세 번 일어났다(Ayllon, 1963).
또한 학교, 가정, 집단상당, 대인관계 등에서 바람직하지 못한 행동을 할 때 일관성 있게 강화를 주지 않으면 바람직하지 못한 행동이 소거된다.
VI. 행동조성
행동조성은 개인이 바람직한 행동에 가까운 행동들을 하였을 때 그 행동을 초기에 강화함으로써 새로운 행동수행을 유도하기 위한 계획된 절차이다.
바람직ㅎㄴ 행동이 아닌 것에 대해서는 점진적으로 강화를 철회하고 바람직한 행동에 대해서는 집중적으로 강화를 해서 마침내 목적한 행동을 일으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자폐증 아동의 안경 쓰는 행동을 조성하기 위하여 처음에는 소음을 내는 장난감 뒤에 즉시 음식을 제공하는 그릇을 제시하여 그릇에 빨리 접근하는 것을 학습하게 한다. 그 다음 안경을 머리에 걸치기만 하여도 보상하였다. 그리하여 안경을 쓰는 데에 대한 강화로 식사, 간식, 산책, 옥외놀이를 제공하였고 만약 안경을 벗는다면 보상 주는 활동을 중단하는 것이다.
VII. 모방, 모델링 및 관찰학습
새롭고 바람직한 반응을 습득하기도 하고 불합리한 행동을 소거시키기도 하는 것은 모델링과 모방, 그리고 관찰학습을 통해서이다. 실제의 모델이 시범을 보일 수 있으나 녹음테이프나 녹화를 통한 모델에 의해서도 시범을 보일 수가 있다.
모델링의 기법은 공포장애의 치료로서 개, 뱀, 물, 대인관계, 성공포증의 치료에 사용되며 의학 및 치과치료에 대한 공포치료에도 활용된다.
VIII. 주장훈련
주장훈련은 개인의 주장행동을 할 수 있는 능력을 증가시킬 것을 목적으로 하는 치료절차이다. 이는 개인의 노여움이나 분노와 같은 부정적 감정이나, 기쁨, 사랑, 칭찬과 같은 긍정적 감정을 표현할 수 있는 능력향상을 목표로 하며 주로 대민관계의 문제해결에 도움을 준다.
분노를 제대로 표현하지 못하는 사람, 거절을 잘 못하는 사람, 데이트 신청을 못하는 사랑들에게 감정이입적인 방식으로 자유로이 자신의 감정을 표현하는 것을 연습하게 한다. 주장훈련은 공격성 표현과는 다르다.
* 참고문헌
교육심리학 : 학습심리학 / 이웅 저 / 한국교육기획 / 2009
발달심리학 / 곽금주 저 / 학지사 / 2016
심리학개론 / 이명랑 저 / 더배움 / 2017
아들러 인생방법 심리학/알프레드 아들러 저, 한성자 역/동서문화사/2017
상담심리학 / 이수연 저 / 양성원 / 2017
성격심리학 / 권석만 저 / 학지사 / 2017
발달심리학 : 전생애 인간발달 / 정옥분 저 / 학지사 / 2014
심리학의 이해 / 방선욱 저 / 교육과학사 / 2003
V. 소거
소거는 바람직하지 못한 행동에 강화물을 주지 않아 바람직하지 못한 행동의 출현빈도를 줄이는 과정이다. 정신병원에서 남의 응식을 훔치고, 지나치게 많은 옷을 입으려는 환자들에게 정적 강화물인 응식을 주지 않고, 식당에서 내쫓았다. 2주 내에 응식을 훔치는 행동은 소거되었으며 1년 동안에 응식을 훔치는 행동이 단지 세 번 일어났다(Ayllon, 1963).
또한 학교, 가정, 집단상당, 대인관계 등에서 바람직하지 못한 행동을 할 때 일관성 있게 강화를 주지 않으면 바람직하지 못한 행동이 소거된다.
VI. 행동조성
행동조성은 개인이 바람직한 행동에 가까운 행동들을 하였을 때 그 행동을 초기에 강화함으로써 새로운 행동수행을 유도하기 위한 계획된 절차이다.
바람직ㅎㄴ 행동이 아닌 것에 대해서는 점진적으로 강화를 철회하고 바람직한 행동에 대해서는 집중적으로 강화를 해서 마침내 목적한 행동을 일으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자폐증 아동의 안경 쓰는 행동을 조성하기 위하여 처음에는 소음을 내는 장난감 뒤에 즉시 음식을 제공하는 그릇을 제시하여 그릇에 빨리 접근하는 것을 학습하게 한다. 그 다음 안경을 머리에 걸치기만 하여도 보상하였다. 그리하여 안경을 쓰는 데에 대한 강화로 식사, 간식, 산책, 옥외놀이를 제공하였고 만약 안경을 벗는다면 보상 주는 활동을 중단하는 것이다.
VII. 모방, 모델링 및 관찰학습
새롭고 바람직한 반응을 습득하기도 하고 불합리한 행동을 소거시키기도 하는 것은 모델링과 모방, 그리고 관찰학습을 통해서이다. 실제의 모델이 시범을 보일 수 있으나 녹음테이프나 녹화를 통한 모델에 의해서도 시범을 보일 수가 있다.
모델링의 기법은 공포장애의 치료로서 개, 뱀, 물, 대인관계, 성공포증의 치료에 사용되며 의학 및 치과치료에 대한 공포치료에도 활용된다.
VIII. 주장훈련
주장훈련은 개인의 주장행동을 할 수 있는 능력을 증가시킬 것을 목적으로 하는 치료절차이다. 이는 개인의 노여움이나 분노와 같은 부정적 감정이나, 기쁨, 사랑, 칭찬과 같은 긍정적 감정을 표현할 수 있는 능력향상을 목표로 하며 주로 대민관계의 문제해결에 도움을 준다.
분노를 제대로 표현하지 못하는 사람, 거절을 잘 못하는 사람, 데이트 신청을 못하는 사랑들에게 감정이입적인 방식으로 자유로이 자신의 감정을 표현하는 것을 연습하게 한다. 주장훈련은 공격성 표현과는 다르다.
* 참고문헌
교육심리학 : 학습심리학 / 이웅 저 / 한국교육기획 / 2009
발달심리학 / 곽금주 저 / 학지사 / 2016
심리학개론 / 이명랑 저 / 더배움 / 2017
아들러 인생방법 심리학/알프레드 아들러 저, 한성자 역/동서문화사/2017
상담심리학 / 이수연 저 / 양성원 / 2017
성격심리학 / 권석만 저 / 학지사 / 2017
발달심리학 : 전생애 인간발달 / 정옥분 저 / 학지사 / 2014
심리학의 이해 / 방선욱 저 / 교육과학사 / 2003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