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바르지 않다.
시장 상황을 고려하지 않은 채 자아실현을 추구하라는 것도 아니다. 현실적이라는 이름으로 눈앞의 시장 상황만 고려하지 말라는 뜻이다. 인생을 살아가는데 해야 하는 것을 더 큰 틀에서 바라보기 바란다.
9. 소감
어느 순간부터 아이들의 진로계획이 부모들 몫이 되었다.
일찌감치 진학계획과 각종 스펙을 갖출 수 있도록 길을 닦아 놓지 못한 부모는
자식에 대한 사랑이 부족한 사람으로 비춰지는 사회 분위기.
남 보기에 번듯한 직장이나 직업을 가져야 성공한 삶이라고 여기는 틀에 박힌
성공론을 대물림하듯이 아이들에게도 강요하고 있다.
아직 자아가 형성도 되지 않은 나이에 이미 장래희망을 강요 당하는 아이들.
장래희망에 적힌 직업이 무슨 일을 하는 것인지 조차 모른 채 부모님의 계획에 맞춰공부를 하고, 조건을 만들어가고 있다.
나 또한 아직 어린 아이의 장래를 이미 걱정하고 있다.
경험할 것도 겪어야 할 것도 무궁무진하게 남아 있는 아이에게 어떠한 가능성이 있을지 모를 일인데 벌써부터 잘하는 것이 꼭 있어야 하고 잘하는 것이 없다면 공부라도 잘해야 한다는 구태의연한 틀을 만들어 그 안에 넣으려 하고 있다.
직업군 분류에 나와 있는 직업만이 행복한 삶을 만들지 않는다는 것을 이미 살아 온 어른들은 알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안전하다는 이유만으로 우리 아이들이 행복을 찾아 나설 권리를 빼앗을 필요가 있을까?
최고의 진로계획은 아이의 꿈을 먼저 찾아주는 것이라고 생각한다.
두루 체험할 수 있는 기회와 사고의 경계를 넓게 갖고 꿈을 꿀 수 있는 여유를 주는 것이 부모가 가장 염두에 두어야 할 부분일 것이다.
시장 상황을 고려하지 않은 채 자아실현을 추구하라는 것도 아니다. 현실적이라는 이름으로 눈앞의 시장 상황만 고려하지 말라는 뜻이다. 인생을 살아가는데 해야 하는 것을 더 큰 틀에서 바라보기 바란다.
9. 소감
어느 순간부터 아이들의 진로계획이 부모들 몫이 되었다.
일찌감치 진학계획과 각종 스펙을 갖출 수 있도록 길을 닦아 놓지 못한 부모는
자식에 대한 사랑이 부족한 사람으로 비춰지는 사회 분위기.
남 보기에 번듯한 직장이나 직업을 가져야 성공한 삶이라고 여기는 틀에 박힌
성공론을 대물림하듯이 아이들에게도 강요하고 있다.
아직 자아가 형성도 되지 않은 나이에 이미 장래희망을 강요 당하는 아이들.
장래희망에 적힌 직업이 무슨 일을 하는 것인지 조차 모른 채 부모님의 계획에 맞춰공부를 하고, 조건을 만들어가고 있다.
나 또한 아직 어린 아이의 장래를 이미 걱정하고 있다.
경험할 것도 겪어야 할 것도 무궁무진하게 남아 있는 아이에게 어떠한 가능성이 있을지 모를 일인데 벌써부터 잘하는 것이 꼭 있어야 하고 잘하는 것이 없다면 공부라도 잘해야 한다는 구태의연한 틀을 만들어 그 안에 넣으려 하고 있다.
직업군 분류에 나와 있는 직업만이 행복한 삶을 만들지 않는다는 것을 이미 살아 온 어른들은 알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안전하다는 이유만으로 우리 아이들이 행복을 찾아 나설 권리를 빼앗을 필요가 있을까?
최고의 진로계획은 아이의 꿈을 먼저 찾아주는 것이라고 생각한다.
두루 체험할 수 있는 기회와 사고의 경계를 넓게 갖고 꿈을 꿀 수 있는 여유를 주는 것이 부모가 가장 염두에 두어야 할 부분일 것이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