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사상과 환경문제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동양사상과 환경문제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에는 의지가 없으므로 인간의 의지적 작용을 받으면 반드시 그에 상응한 자연적 반응을 보일 것이다. 인간이 자연에게 가한 무리한 요구는 땅과 물과 생명을 병들게 하고 이렇게 건강하지 못한 자연으로부터 생산된 음식물을 먹은 인간은 각종 질병에 시달리게 된다. 이렇듯 연기에 의해 발생한 만물은 거미줄의 고리처럼 복잡한 구조로 얽혀 상호의존하고 있기 때문에 어느 한 부분이 잘못되면 전체로 확대되어 공감의 위기로 발전한다.
저자의 논리에 따라 도가, 유가, 불교의 관점으로 오늘날의 환경위기를 초래한 서구적 인식을 어떻게 전환시켜야 하는지 살펴보았다. 각각의 사상은 서로 구분되는 듯 하나 동양사상이라는 틀에서 공통점을 찾을 수 있다. 그것은 첫째, 일체만물은 하나의 공동체라는 것이다. 일체 만물의 생성 원리는 같지 않으나 동양사상은 근본적으로 인간과 자연을 구분하지 않고 하나의 생명체로 인식하고 있다. 둘째, 일체만물, 자연의 운행방식은 상호 의존하여 변화하고 순환한다. 이는 인간과 자연을 둘로 생각하지 않는 사고와 일맥상통하면서 인간과 자연이 서로 교감하고 공감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마지막으로 인간의 욕심을 절제하고 자연과의 합일을 추구한다. 인간이란 본래 자연의 일부로서 스스로 그러한 자연의 모습이었지만, 인간의 정신적인 작용인 탐욕으로 인하여 스스로 그러한 자연의 모습에서 벗어나게 되었다. 이에 인간의 자연성을 회복하기 위한 수행으로 인간의 욕심을 절제하는 것을 강조한다. 구체적으로 자연에 대하여 인위를 배격하고, 욕망을 줄여 소박한 데로 돌아가며, 자연과 다투지 않는 것이다. 이상으로 동양사상에 나타난 환경관을 비교종합해 보았다. 가다머에 따르면, 우리가 이해하기 위해서는 일종의 선입견 즉, 전통과 같이 우리에게 친숙한 것에서 새로운 것으로 나아가야 한다고 설명한다. 여기에서 동양사상의 참된 의의가 있다. 동양이든 서양이든 철학적 토대는 우리가 부딪친 환경위기를 극복하기 위해 사람들을 설득하고 있다. 환경문제가 어느 한 나라에 국한된 것이 아닌 것처럼 세계의 모든 사람을 설득하기 위해서는 그 나라에 친숙한 것으로 시작되어야 한다. 동양에서는 그것이 바로 동양사상이며, 서양에서는 그들의 서양사상일 것이다. 분명, 서양의 사상은 인간과 자연을 구분하는 이분법적 사고를 전통적으로 지니고 있다. 하지만 그 전통에서 잘못된 문제를 찾았다면 논의를 통해 수정하고 바람직하게 발전시키면 되는 것이다. 가다머가 중시하는 것도 인간이 역사적으로 변화하고 발전할 수 있다는 점이다. 이처럼 동양에서도 유가, 도가, 불교의 사상을 고리타분한 것 또는 서구에 비해 열등한 것, 이상적이기만 하고 현실적이지 못한 것으로 치부할 것이 아니라 우리의 사상적 토대로 삼아서 발전해야 한다. 어떤 사상이라도 모든 것이 완벽하지 않다. 이처럼 동양사상이 환경위기를 극복할 수 있는 의의가 있다면 우리는 그것을 수용해야 한다. 이러한 다음에 윤리적 토대를 견고히 다지고 편협한 시각에 가치지 않으며, 과학적으로 정치적으로 사회적으로 환경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노력해야 할 것이다.
  • 가격1,4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19.01.09
  • 저작시기2019.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07649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