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스트레스 유발요인
I. 좌절로 인한 스트레스
II. 갈등으로 인한 스트레스
1. 접근-접근 갈등
2. 회피-회피 갈등
3. 접근-회피 갈등
4. 이중 접근-회피 갈등
III. 압박감
IV. 불안
V. 생활사건으로 인한 스트레스
VI. 사회/경제적 지위와 스트레스
VII. 정신적 외상
VIII. 통제 가능성
* 참고문헌
I. 좌절로 인한 스트레스
II. 갈등으로 인한 스트레스
1. 접근-접근 갈등
2. 회피-회피 갈등
3. 접근-회피 갈등
4. 이중 접근-회피 갈등
III. 압박감
IV. 불안
V. 생활사건으로 인한 스트레스
VI. 사회/경제적 지위와 스트레스
VII. 정신적 외상
VIII. 통제 가능성
* 참고문헌
본문내용
적 지위와 스트레스
사회 경제적 지위와 스트레스 간에는 상관이 있다. 사회 경제적 지위가 높은 사람들은 낮은 사람들보다 부적 사건(미취업, 건강관리, 주택문제 등)들의 문제가 더 적다. 낮은 사회 경제적 지위의 사람들은 스트레스가 많은 생활사건이 발생할 때, 이런 문제를 처리할 자원이 별로 없다.
VII. 정신적 외상
이것은 보통 인간의 경험을 넘어선 극도의 위험을 겪는 것이다. 이런 사건에는 지진이나 홍수 같은 천계지변도 있을 수 있고, 인간이 일으킨 전쟁, 체르노빌 사건 같은 핵 관련 사고도 있으며, 교통사고나 비행기 추락 같은 비극적인 사고도 존재한다.
VIII. 통제가능성
어떤 상황의 통제 가능성, 즉 상황을 발생하게 하거나 중단시킬 수 있는 정도는 우리가 스트레스의 정도를 가늠하는 중요한 지표가 된다. 어떤 상황이 통제하기 어려워 보일수록 스트레스를 유발할 가능성이 높다. 극히 통제 불가능한 상황의 대표적인 예로는 사랑하는 사람의 죽음, 실직, 심한 질병 등이 있다. 사소한 통제 곤란 상황, 예를 들어 친구가 사과를 해도 받아 주지 않는다든가, 여행사에서 표를 잘못 예약해서 타려고 했던 비행기를 못 탔다든가 하는 상황들도 존재한다. 통제하기 어려운 사건이 스트레스를 유발하는 한 가진 명백한 이유는 통제 불가능으로 인해 사건이 발생하는 것을 막을 수가 없기 때문이다.
상황을 통제할 수 있다는 믿음은, 비록 실제로 통제력을 발휘하지 않더라도 스트레스를 덜 느끼게 만든다. 어떤 연구에서는 피험자들을 두 그룹으로 나누어서 아주 시끄럽고 불쾌한 소리를 듣게 하였다. 한쪽 그룹에는 단추를 누르면 소리가 멈추겠지만 정말로 못 견별 때만 누르라고 말을 하고, 다른 그룹에는 끝까지 소리를 들어야만 한다고 말하였다. 피험자들 중 실제로 단추를 누른 사람은 아무도 없었기 때문에 양족 그룹 모두 소음에 노출된 시간은 같았다. 그런 다음 문제를 풀게 하자 첫 번째 그룹, 즉 소음을 멈출 수 있다고 생각했던 그룹 쪽에 비해 두 번째 그룹이 훨씬 더 나쁜 성적을 보였다. 즉, 통제할 수 있다는 믿음을 가진 쪽보다 불가능하다고 생각한 그룹이 훨씬 더 불안을 느꼈음을 시사한다.
* 참고문헌
인간발달 / 박성연, 백지숙 저 / 파워북 / 2011
인간행동과 사회환경 - 고명수/이승현 외 3명 저, 정민사, 2018
아동발달 / 이항재 저 / 교육과학사 / 2004
발달심리학 : 전생애 인간발달 / 정옥분 저 / 학지사 / 2014
인간행동과 심리학 - 김청송/오세진 외3명 저, 학지사, 2015
조직과 인간관계론 - 이택호/강정원 저, 북넷, 2013
현대사회와 가정 / 허혜경, 박인숙 외 1명 저 / 동문사 / 2017
인간발달 / 조복희, 도현심 외 1명 저 / 교문사 / 2016
사회복지서비스 : 한국산업인력공단, 진한엠앤비, 2015
성장발달과 건강 : 김태임, 김희순 외 3명 저 / 2014 / 교문사
아들러 인생방법 심리학/알프레드 아들러 저, 한성자 역/동서문화사/2017
인간발달과 교육 / 이현림, 김영숙 저 / 교육과학사 / 2016
사회 경제적 지위와 스트레스 간에는 상관이 있다. 사회 경제적 지위가 높은 사람들은 낮은 사람들보다 부적 사건(미취업, 건강관리, 주택문제 등)들의 문제가 더 적다. 낮은 사회 경제적 지위의 사람들은 스트레스가 많은 생활사건이 발생할 때, 이런 문제를 처리할 자원이 별로 없다.
VII. 정신적 외상
이것은 보통 인간의 경험을 넘어선 극도의 위험을 겪는 것이다. 이런 사건에는 지진이나 홍수 같은 천계지변도 있을 수 있고, 인간이 일으킨 전쟁, 체르노빌 사건 같은 핵 관련 사고도 있으며, 교통사고나 비행기 추락 같은 비극적인 사고도 존재한다.
VIII. 통제가능성
어떤 상황의 통제 가능성, 즉 상황을 발생하게 하거나 중단시킬 수 있는 정도는 우리가 스트레스의 정도를 가늠하는 중요한 지표가 된다. 어떤 상황이 통제하기 어려워 보일수록 스트레스를 유발할 가능성이 높다. 극히 통제 불가능한 상황의 대표적인 예로는 사랑하는 사람의 죽음, 실직, 심한 질병 등이 있다. 사소한 통제 곤란 상황, 예를 들어 친구가 사과를 해도 받아 주지 않는다든가, 여행사에서 표를 잘못 예약해서 타려고 했던 비행기를 못 탔다든가 하는 상황들도 존재한다. 통제하기 어려운 사건이 스트레스를 유발하는 한 가진 명백한 이유는 통제 불가능으로 인해 사건이 발생하는 것을 막을 수가 없기 때문이다.
상황을 통제할 수 있다는 믿음은, 비록 실제로 통제력을 발휘하지 않더라도 스트레스를 덜 느끼게 만든다. 어떤 연구에서는 피험자들을 두 그룹으로 나누어서 아주 시끄럽고 불쾌한 소리를 듣게 하였다. 한쪽 그룹에는 단추를 누르면 소리가 멈추겠지만 정말로 못 견별 때만 누르라고 말을 하고, 다른 그룹에는 끝까지 소리를 들어야만 한다고 말하였다. 피험자들 중 실제로 단추를 누른 사람은 아무도 없었기 때문에 양족 그룹 모두 소음에 노출된 시간은 같았다. 그런 다음 문제를 풀게 하자 첫 번째 그룹, 즉 소음을 멈출 수 있다고 생각했던 그룹 쪽에 비해 두 번째 그룹이 훨씬 더 나쁜 성적을 보였다. 즉, 통제할 수 있다는 믿음을 가진 쪽보다 불가능하다고 생각한 그룹이 훨씬 더 불안을 느꼈음을 시사한다.
* 참고문헌
인간발달 / 박성연, 백지숙 저 / 파워북 / 2011
인간행동과 사회환경 - 고명수/이승현 외 3명 저, 정민사, 2018
아동발달 / 이항재 저 / 교육과학사 / 2004
발달심리학 : 전생애 인간발달 / 정옥분 저 / 학지사 / 2014
인간행동과 심리학 - 김청송/오세진 외3명 저, 학지사, 2015
조직과 인간관계론 - 이택호/강정원 저, 북넷, 2013
현대사회와 가정 / 허혜경, 박인숙 외 1명 저 / 동문사 / 2017
인간발달 / 조복희, 도현심 외 1명 저 / 교문사 / 2016
사회복지서비스 : 한국산업인력공단, 진한엠앤비, 2015
성장발달과 건강 : 김태임, 김희순 외 3명 저 / 2014 / 교문사
아들러 인생방법 심리학/알프레드 아들러 저, 한성자 역/동서문화사/2017
인간발달과 교육 / 이현림, 김영숙 저 / 교육과학사 / 2016
추천자료
[근로자의 직무스트레스] 직무 스트레스의 개념과 기능, 영향, 개입배경, 유발요인
본인의 스트레스 유발상황, 스트레스 유발요인, 스트레스에 대한 반응 및 그에 따른 대처방...
[스트레스관리프로그램] 스트레스 관리 프로그램의 유형 (스트레스 및 그 원인을 진단하고 확...
스트레스 유발요인을 세 가지로 분류하여 설명
≪소방공무원(消防公務員)의 스트레스≫ 스트레스의 개념과 소방공무원의 스트레스 유발요인 ...
★ 조직행동론 ( Organizational Behavior ) - 직무 스트레스 ( 직무스트레스 정의, 직무스트...
[스트레스관리] 스트레스의 개념 및 유발요인, 스트레스반응, 스트레스의 관리방안
스트레스의 유발요인에 대해 설명하고, 자신의 주요 스트레스 유발요인은 무엇이며, 자신만의...
[스트레스 유발요인] 스트레스를 일으키는 요인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