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면서 오히려 교사는 그에 반하는 것을 보여주고 있는 것이다. 그래서 선생님은 중요하고 힘든 직업인 것 같다. 우리는 민감해야 한다. 우리의 모든 감각을 곤두세우고 우리 자신의 모든 행동과 말의 의미를 생각해야 한다. 그러기 위해서 우리는 끊임없이 배우고 깨닫고 반성하고 고치는 과정을 반복해야 할 것이다.
초등학교 때 나는 나의 담임선생님이 그야말로 척척박사인 줄 알았다. 선생님은 언제나 어디서나 옳으니까 선생님 말씀은 진리이고 복종하고 마땅히 따라야 한다고 생각했었던 것 같다. 공교육이 무너지고 교권이 떨어지고 있는 것에 대해 나는 그것이 온전히 선생님을 싫어하고 무시하는 학생과 학부모 탓이라고 생각하지 않는다. 선생님을 척척박사라고 생각하고 있었던 순수한 아이들 마음에 커다란 실망을 준 선생님에게 더 많은 책임이 있다고 생각한다. 이 책을 통해 나와 학생 사이의 거리가 좁혀진 것을 느꼈다. 더 많은 책과 학과 공부, 자기 개발을 통해서 그 간격을 0으로 만들고 싶다. 내가 선생님이 되었을 때, 학생들과 1년을 보낸 뒤 어떤 사람이 우리 반 학생에게 너희 담임선생님이 어땠다고 물으면 더도 말고 덜도 말고 ‘좋았다’는 이 한 마디 말이 꼭 듣고 싶다.
초등학교 때 나는 나의 담임선생님이 그야말로 척척박사인 줄 알았다. 선생님은 언제나 어디서나 옳으니까 선생님 말씀은 진리이고 복종하고 마땅히 따라야 한다고 생각했었던 것 같다. 공교육이 무너지고 교권이 떨어지고 있는 것에 대해 나는 그것이 온전히 선생님을 싫어하고 무시하는 학생과 학부모 탓이라고 생각하지 않는다. 선생님을 척척박사라고 생각하고 있었던 순수한 아이들 마음에 커다란 실망을 준 선생님에게 더 많은 책임이 있다고 생각한다. 이 책을 통해 나와 학생 사이의 거리가 좁혀진 것을 느꼈다. 더 많은 책과 학과 공부, 자기 개발을 통해서 그 간격을 0으로 만들고 싶다. 내가 선생님이 되었을 때, 학생들과 1년을 보낸 뒤 어떤 사람이 우리 반 학생에게 너희 담임선생님이 어땠다고 물으면 더도 말고 덜도 말고 ‘좋았다’는 이 한 마디 말이 꼭 듣고 싶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