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스텐버그의 삼원이론
2. 콜버그의 도덕성 발달이론
3. 학생들의 시험 불안 해소 방안
4. 이중노동시장이론
5. 카텔의 유동적 지능과 결정적 지능
6. 수행목표 유형의 학습자를 숙달목표 유형의 학습자로 바꾸기 위한 방안
7. 해결중심상담이론
8. 교육행정
9. 번스타인의 불평등 재생산론
10. 시험의 역기능
11. 평생교육
12. 스터플빔의 의사결정적 접근
13. 스크리븐의 탈목표평가
2. 콜버그의 도덕성 발달이론
3. 학생들의 시험 불안 해소 방안
4. 이중노동시장이론
5. 카텔의 유동적 지능과 결정적 지능
6. 수행목표 유형의 학습자를 숙달목표 유형의 학습자로 바꾸기 위한 방안
7. 해결중심상담이론
8. 교육행정
9. 번스타인의 불평등 재생산론
10. 시험의 역기능
11. 평생교육
12. 스터플빔의 의사결정적 접근
13. 스크리븐의 탈목표평가
본문내용
통합한 것이다. 수직적 교육은 시간에 따른 교육을 의미하는 것이며 수평적 교육은 가정ㆍ사회, 학교 등 동시대에 이루어지는 모든 교육을 의미한다.
12. 스터플빔의 의사결정적 접근
스터플빔은 교육평가가 교육의 의사결정자의 의사결정을 돕기 위한 것으로 보았다. 즉, 평가는 교육의 의사결정자의 의사결정에 필요하고 유용한 정보를 기술하고 그것을 수집하여 잘 정리된 상태로 의사결정을 하는 사람에게 제공하려는 것으로 볼 수 있다. 그는 평가에 대한 의사결정적 접근의 모형으로 CIPP모형을 들고 있다. CIPP모형에서 평가는 상황평가, 투입평가, 과정평가, 산출평가의 순으로 이루어진다. CIPP모형에서 첫 단계는 계획의 단계이다. 여기서는 상황평가가 이루어진다. 즉, 구체적인 상황이나 환경적 여건을 파악하고 이에 대한 적절한 계획을 수립하는 행위가 이루어지는 것이다. 두 번째 단계는 구조화의 단계이다. 여기서는 투입평가가 이루어진다. 즉, 목표달성에 적합한 절차나 전략을 설계하기 위한 의사결정을 통해서 수업에 적절한 교수학습방법이 계획된다. 세 번째 단계는 실행의 단계로 과정평가가 이루어진다. 여기서는 결정된 절차, 방법을 실행에 옮겼을 때 이 과정에서 나타나는 활동의 적합성이나 문제점에 관한 의사결정이 이루어진다. 마지막 단계는 의견 제시의 단계로 산출평가가 이루어진다. 여기서는 결과에 대한 평가가 이루어지며 목표가 달성된 정도를 판단하고 의견을 제시하는 의사결정이 이루어진다. 이러한 스터플빔의 의사결정적 평가는 목표중심평가와 교차되는 공통점이 존재하는 반면 차이점도 존재한다. 먼저, 목표중심평가와 스터플빔의 의사결정적 접근에 의한 평가는 목표와 결과 간 논리적 일관성을 유지하고 있다는 점에 있어 공통점을 갖는다. 반면, 목표중심평가는 목표달성 여부에 지나치게 초점을 두고 있는 반면 스터플빔의 경영중심평가는 계획에서 결과에 이르기까지 전체 단계에 적절한 평가를 수행할 것을 제안한다. 여기서 평가는 교육 의사결정자에게 도움을 주기 위한 행위이다.
13. 스크리븐의 탈목표 평가
스크리븐에 의하면 평가는 프로그램의 가치를 판단하기 위해 이루어지는 것이다. 그는 평가가 목표가 달성되었는지의 여부만을 판단하는 것이 아니라 목표의 질도 고려해야 한다고 주장하며 탈목표 평가의 중요성을 강조한다. 여기서 탈목표평가란 프로그램의 효과를 포괄적으로 검토하기 위해 이루어지는 평가이다. 즉, 메타인지적 평가라고 볼 수 있는 것이다.
12. 스터플빔의 의사결정적 접근
스터플빔은 교육평가가 교육의 의사결정자의 의사결정을 돕기 위한 것으로 보았다. 즉, 평가는 교육의 의사결정자의 의사결정에 필요하고 유용한 정보를 기술하고 그것을 수집하여 잘 정리된 상태로 의사결정을 하는 사람에게 제공하려는 것으로 볼 수 있다. 그는 평가에 대한 의사결정적 접근의 모형으로 CIPP모형을 들고 있다. CIPP모형에서 평가는 상황평가, 투입평가, 과정평가, 산출평가의 순으로 이루어진다. CIPP모형에서 첫 단계는 계획의 단계이다. 여기서는 상황평가가 이루어진다. 즉, 구체적인 상황이나 환경적 여건을 파악하고 이에 대한 적절한 계획을 수립하는 행위가 이루어지는 것이다. 두 번째 단계는 구조화의 단계이다. 여기서는 투입평가가 이루어진다. 즉, 목표달성에 적합한 절차나 전략을 설계하기 위한 의사결정을 통해서 수업에 적절한 교수학습방법이 계획된다. 세 번째 단계는 실행의 단계로 과정평가가 이루어진다. 여기서는 결정된 절차, 방법을 실행에 옮겼을 때 이 과정에서 나타나는 활동의 적합성이나 문제점에 관한 의사결정이 이루어진다. 마지막 단계는 의견 제시의 단계로 산출평가가 이루어진다. 여기서는 결과에 대한 평가가 이루어지며 목표가 달성된 정도를 판단하고 의견을 제시하는 의사결정이 이루어진다. 이러한 스터플빔의 의사결정적 평가는 목표중심평가와 교차되는 공통점이 존재하는 반면 차이점도 존재한다. 먼저, 목표중심평가와 스터플빔의 의사결정적 접근에 의한 평가는 목표와 결과 간 논리적 일관성을 유지하고 있다는 점에 있어 공통점을 갖는다. 반면, 목표중심평가는 목표달성 여부에 지나치게 초점을 두고 있는 반면 스터플빔의 경영중심평가는 계획에서 결과에 이르기까지 전체 단계에 적절한 평가를 수행할 것을 제안한다. 여기서 평가는 교육 의사결정자에게 도움을 주기 위한 행위이다.
13. 스크리븐의 탈목표 평가
스크리븐에 의하면 평가는 프로그램의 가치를 판단하기 위해 이루어지는 것이다. 그는 평가가 목표가 달성되었는지의 여부만을 판단하는 것이 아니라 목표의 질도 고려해야 한다고 주장하며 탈목표 평가의 중요성을 강조한다. 여기서 탈목표평가란 프로그램의 효과를 포괄적으로 검토하기 위해 이루어지는 평가이다. 즉, 메타인지적 평가라고 볼 수 있는 것이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