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지능에 관한 이론
2) 창의성에 관한 이론
3) 지능과 창의성에 관한 이론 비교
4) 창의력 촉진 방안과 적용 사례
5) 출처 및 참고문헌
2) 창의성에 관한 이론
3) 지능과 창의성에 관한 이론 비교
4) 창의력 촉진 방안과 적용 사례
5) 출처 및 참고문헌
본문내용
어려운 영역에 해당된다고 생각한다. 따라서 쉬운 과제부터 도전할 수 있는 기회를 부여하여 호기심과 승부욕 등을 자극하여 조금씩 발전시키는 방법이 현명하다고 생각된다.
위의 방법을 적용한 사례로 과외 활동을 했을 때를 예시로 들 수 있겠다. 필자는 요리 분야로 나가고 싶은 학생 한 명의 프랑스어 과외 선생님이 된 적이 있는데, 당시 학생은 언어 자체에 대한 관심보다는 요리공부를 위한 수단으로써 프랑스어를 단기간에 공부하고자 하였다. 따라서 개인의 내적동기가 부족한 상황에서 필자는 1차원인 창의적 영역에서 언어에 대한 감각을 길러주기 위해 요리와 관련된 단어, 즉 개인의 내적 동기를 자극할 수 있는 단어들을 뽑아 하나의 뜻을 가진 단어더라도 다양하게 표현할 수 있도록 계속하여 접하게 해주었다. 2차원인 창의적 능력 차원에 있어서는 role play를 진행하였는데, 학생이 요리사라고 생각하고 자신이 개발한 요리에 대한 설명을 하도록 한 것이다. 그래서 최대한 독창적으로 자신의 요리를 생각하고 이에 대해 다양한 단어로 표현해낼 수 있도록 유창성을 기르게 도와주었다. 3차원인 창의성 성격에 있어서는 당시에 언어는 창의적으로 공부할 수 없다고 단념하던 학생에게 학생이 관심있던 요리라는 예술 분야와 연결하여 최대한 재미있고 도전해보고싶도록 작은 과제들을 내주면서 호기심과 과제집착력을 자극하였다. 결과적으로 학생은 요리에 대한 관심을 프랑스어 공부와 밀도있게 접근시키면서 창의적인 공부법을 터득하여 좋은 성과를 냈다.
5) 출처 및 참고문헌
박병기 (1998). 창의성 교육의 기반, 교육과학사. 22.
이경화, 고진영, 박숙희 (2007). 영재의 지능, 창의성, 자아개념간의 관계 분석. 영재와 영재교육, 6(1), 150-152.
이경화, 윤은정 (2004). 유아의 지능과 창의성과의 관계. 영재와 영재교육, 3(1). 55-60.
Sternberg, R. J. (1988). Three-fact model of creativity. In R. J. STernberg,(ed.), The nature of creativity. (pp. 125-147). New York: Cambridge University Press.
Wechsler, D. (1958). The Measurement and Appraisal of Adult Intelligence (4th ed). Baltimore: Williams & Wilkins.
위의 방법을 적용한 사례로 과외 활동을 했을 때를 예시로 들 수 있겠다. 필자는 요리 분야로 나가고 싶은 학생 한 명의 프랑스어 과외 선생님이 된 적이 있는데, 당시 학생은 언어 자체에 대한 관심보다는 요리공부를 위한 수단으로써 프랑스어를 단기간에 공부하고자 하였다. 따라서 개인의 내적동기가 부족한 상황에서 필자는 1차원인 창의적 영역에서 언어에 대한 감각을 길러주기 위해 요리와 관련된 단어, 즉 개인의 내적 동기를 자극할 수 있는 단어들을 뽑아 하나의 뜻을 가진 단어더라도 다양하게 표현할 수 있도록 계속하여 접하게 해주었다. 2차원인 창의적 능력 차원에 있어서는 role play를 진행하였는데, 학생이 요리사라고 생각하고 자신이 개발한 요리에 대한 설명을 하도록 한 것이다. 그래서 최대한 독창적으로 자신의 요리를 생각하고 이에 대해 다양한 단어로 표현해낼 수 있도록 유창성을 기르게 도와주었다. 3차원인 창의성 성격에 있어서는 당시에 언어는 창의적으로 공부할 수 없다고 단념하던 학생에게 학생이 관심있던 요리라는 예술 분야와 연결하여 최대한 재미있고 도전해보고싶도록 작은 과제들을 내주면서 호기심과 과제집착력을 자극하였다. 결과적으로 학생은 요리에 대한 관심을 프랑스어 공부와 밀도있게 접근시키면서 창의적인 공부법을 터득하여 좋은 성과를 냈다.
5) 출처 및 참고문헌
박병기 (1998). 창의성 교육의 기반, 교육과학사. 22.
이경화, 고진영, 박숙희 (2007). 영재의 지능, 창의성, 자아개념간의 관계 분석. 영재와 영재교육, 6(1), 150-152.
이경화, 윤은정 (2004). 유아의 지능과 창의성과의 관계. 영재와 영재교육, 3(1). 55-60.
Sternberg, R. J. (1988). Three-fact model of creativity. In R. J. STernberg,(ed.), The nature of creativity. (pp. 125-147). New York: Cambridge University Press.
Wechsler, D. (1958). The Measurement and Appraisal of Adult Intelligence (4th ed). Baltimore: Williams & Wilkins.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