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리더십 유형 연구의 1차원적 접근
I. 화이트(White)와 리핏(Lippitt)의 지도자 유형
II. 탄넨바움과 슈미트의 리더십 유형 연구
III. 미시간(Michigan) 대학 연구팀의 지도성 연구
* 참고문헌
I. 화이트(White)와 리핏(Lippitt)의 지도자 유형
II. 탄넨바움과 슈미트의 리더십 유형 연구
III. 미시간(Michigan) 대학 연구팀의 지도성 연구
* 참고문헌
본문내용
른쪽 끝에 있는 민주적 리더 행동은 집단(관계성) 지향적이고, 따라서 부하들에게 작업수행 상 상당한 자유를 허용한다. 그리고 이 연속체는 민주적인 리더 행동을 넘어 방임적 관리형에까지 연속된다. 이와 같은 방임적인 리더의 행동에서는 집단구성원이 하고 싶은 대로 하도록 방임하고 정책이나 작업 방법도 특별히 설정되지 않는다. 위의 그림에서도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리더행위의 연속체 위에는 이와 같은 방임적인 리더 행동이 나타나 있지 않는데, 이는 방임적인 환경이란 실제적으로 공식적 리더십의 부재를 의미하고 있기 때문이다. 그리고 이 방임적 리더 행동에서는 공식적인 리더십 역할이 없어지고, 만약 나타나고 있는 리더십이 있다면 그것은 비공식적이거나 긴급한 경우에 나타나는 어떤 리더십일 것이다.
그래서 리더십에는 과업을 강조하는 리더십 유형과 관계성을 강조하는 리더십 유형이 있을 수 있다는 것이 많은 리더십 연구자들에 의해 지지 받고 있다.
III 미시간(Michigan) 대학 연구팀의 지도성 연구
미시간대학교 사회조사 연구소(The Institute for Social Research)의 소장인 리커트(Likert)와 그의 동료들(1961:8-11)은 네 가지 기본적인 개념을 제시하였다. 그들은 1947년 이래 산업조직과 정부기관 등의 수백 개의 조직에 대한 리더십 연구를 행하고 나서 체제1에서 체제4에 이르는 4가지 체제를 제시하였다.
리커트에 의하면 체제1의 관리자는 성격상 고도로 업무 중심적(job centered)이고 권위적이며, 체제4의 관리자는 고도로 종업원 중심적(employee centered)이며 민주적이라고 한다.
리커트는 조직의 리더십 유형을 평가하는 각종의 측정 도구를 개발하고 실험적 조사를 한 결과 다음과 같은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
그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생산성(Productivity)이 높은 조직은 체제4 쪽이며 상대적으로 생산성이 낮은 조직은 체제1쪽에 해당한다는 것이다. 그러한 증거는 다음 세 가지 연구 결과에서 볼 수 있다.
첫째, 감독의 유형(종업원 중심과 직무중심)과 생산성의 관계에서 볼 때 아래의 그림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생산성이 높은 부서는 종업원 중심의 감독자가 많고, 반대로 생산성이 낮은 부서는 업무 중심의 감독자가 많다.
<그림> 종업원 중심의 일선 감독자와 직무 중심의 일선 감독자
둘째, 종업원들이 받는 생산에 대한 압력과 생산성과의 관계를 살펴보면, 아래의
그래서 리더십에는 과업을 강조하는 리더십 유형과 관계성을 강조하는 리더십 유형이 있을 수 있다는 것이 많은 리더십 연구자들에 의해 지지 받고 있다.
III 미시간(Michigan) 대학 연구팀의 지도성 연구
미시간대학교 사회조사 연구소(The Institute for Social Research)의 소장인 리커트(Likert)와 그의 동료들(1961:8-11)은 네 가지 기본적인 개념을 제시하였다. 그들은 1947년 이래 산업조직과 정부기관 등의 수백 개의 조직에 대한 리더십 연구를 행하고 나서 체제1에서 체제4에 이르는 4가지 체제를 제시하였다.
리커트에 의하면 체제1의 관리자는 성격상 고도로 업무 중심적(job centered)이고 권위적이며, 체제4의 관리자는 고도로 종업원 중심적(employee centered)이며 민주적이라고 한다.
리커트는 조직의 리더십 유형을 평가하는 각종의 측정 도구를 개발하고 실험적 조사를 한 결과 다음과 같은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
그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생산성(Productivity)이 높은 조직은 체제4 쪽이며 상대적으로 생산성이 낮은 조직은 체제1쪽에 해당한다는 것이다. 그러한 증거는 다음 세 가지 연구 결과에서 볼 수 있다.
첫째, 감독의 유형(종업원 중심과 직무중심)과 생산성의 관계에서 볼 때 아래의 그림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생산성이 높은 부서는 종업원 중심의 감독자가 많고, 반대로 생산성이 낮은 부서는 업무 중심의 감독자가 많다.
<그림> 종업원 중심의 일선 감독자와 직무 중심의 일선 감독자
둘째, 종업원들이 받는 생산에 대한 압력과 생산성과의 관계를 살펴보면, 아래의
추천자료
리더쉽에 관한 다각적 고찰
`리더십개발` 시험 요약
상황적합이론 연구
[경영리더쉽론A+] Fiedler의 상황적합이론 접근과 사례연구
[간호지도자론D]허시와 블랜챠드의 상황모형에 근거한 성숙도와 조직에 적절한 지도자 행동 ...
리더십 상황이론 - 상황이론 중 하우스의 경로-목표이론과 나의 리더십 행동 유형을 분석해보...
리더쉽에서 상황이론을 설명하고 사회복지조직에의 적용유용성을 논하시오 (상황이론 개념, ...
리더십(Leader-ship)에 대한 일반적 이론
[간호지도자론 공통] 자신이 속해 있는 부서(병동 또는 어느 집단이든 상관없음)의 구성원 성...
[리더십 상황이론] 피들러의 리더십 상황이론 하우스의 경로목표이론 허쉬와 블랜차드의 리더...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