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사람으로 해석하여 그들의 횡포로서 이해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우리는 이상곡과 만전춘의 시적화자의 모습이 임에 대한 그리움에 번민하는 여성이며, 이 노래를 어렵지 않게 서정적인 시로서 받아들일 수 있다. 즉, 고려가요가 속되다는 것은 저속한 것이 아니라 백성의 삶을 진실되게 나타낸 것이다. 물론 노래가 보다 거칠어지고 퇴폐적이게 된 면도 있다. 그러나 그것은 1920년대 퇴폐주의 시가 등장한 이유처럼 저질스러웠기 때문이 아니라 백성의 삶이 고단했기 때문이다.
그렇다면, 이처럼 고려가요의 성격이 왜곡되고, 편협하게 비춰진 이유는 무엇때문일까? 나는 그것을 역사적 맥락에서 찾고자한다. 즉, 경기체가의 등장이다. 당시 경기체가의 주요 작자층은 신흥사대부였는데 이들의 노래는 지나치게 풍류적이고 과시적이다. 이는 자신들과 대립하고 있는 당시의 지배세력으로부터 차이를 두기 위함이며, 또한 그러기 위해서 당시 고려의 노래를 속된 것으로 몰고갔고, 이들의 세력을 일으켜 나라를 세운뒤 그러한 노력을 더욱 강화하여 오늘에 이르게 된 것이다.
바로 이러한 이유로 인해 나는 고려가요가 남녀상열지사로 평가되는 것에 반대하며, 보다 정당한 평가가 이루어져야 한다고 생각한다.
그렇다면, 이처럼 고려가요의 성격이 왜곡되고, 편협하게 비춰진 이유는 무엇때문일까? 나는 그것을 역사적 맥락에서 찾고자한다. 즉, 경기체가의 등장이다. 당시 경기체가의 주요 작자층은 신흥사대부였는데 이들의 노래는 지나치게 풍류적이고 과시적이다. 이는 자신들과 대립하고 있는 당시의 지배세력으로부터 차이를 두기 위함이며, 또한 그러기 위해서 당시 고려의 노래를 속된 것으로 몰고갔고, 이들의 세력을 일으켜 나라를 세운뒤 그러한 노력을 더욱 강화하여 오늘에 이르게 된 것이다.
바로 이러한 이유로 인해 나는 고려가요가 남녀상열지사로 평가되는 것에 반대하며, 보다 정당한 평가가 이루어져야 한다고 생각한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