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영아기의 운동발달
I. 이동운동 기능의 발달
II. 운동발달에 영향을 주는 요인
III. 소근육 운동 및 협응능력의 발달
1. 소근육 운동발달
2. 시각-운동협응
3. 양측성 운동협응
IV. 운동발달의 이론적 가설
1. 성숙적 관점
2. 학습론적 관점
3. 생태학적 관점
1) 역동적 체제이론
2) 지각-행동이론
* 참고문헌
I. 이동운동 기능의 발달
II. 운동발달에 영향을 주는 요인
III. 소근육 운동 및 협응능력의 발달
1. 소근육 운동발달
2. 시각-운동협응
3. 양측성 운동협응
IV. 운동발달의 이론적 가설
1. 성숙적 관점
2. 학습론적 관점
3. 생태학적 관점
1) 역동적 체제이론
2) 지각-행동이론
* 참고문헌
본문내용
들이 발달하기 시작한다. 양손을 동시에 조작하는 능력은 만 2-3세 사이에 나타난다.
IV. 운동발달의 이론적 가설
운동발달이 어떻게 이루어지는가를 설명하기 위해 다양한 이론들이 제기되어 왔는데, 주로 세 가지 관점에서 영아의 운동발달을 설명하고 있다.
(1) 성숙적 관점
Shirley(1933) 등의 성숙론자들은 운동발달이 유전적으로 형성된 발달프로그램에 의해 순서적으로 진행된다는 입장을 갖고 있다. 즉 중심부에서 말초 부위로, 머리에서 꼬리 방향으로 발달하도록 이미 조건화되어 있다는 것이다. 이를 입증하기 위해 성숙론자들은 비교문화적 연구를 진행하였고 호피족의 연구 등에서 그 증거들을 제시하고 있다. 즉 전 세계의 영아들은 자신이 속한 문화적 영향으로 인해 양육 상황이 다름에도 불구하고 거의 동일한 순서로 발달한다는 것이다. 또한 쌍생아 연구에서 한 아기에게는 계단을 오르거나 블록 쌓기 등의 활동을 제공하여 운동발달이 잘 이루어지도록 하였고, 다른 아기에게는 이러한 경험을 차단했음에도 불구하고 쌍생아의 운동발달은 크게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즉 영아 초기의 활동 경험이 운동발달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며, 운동발달은 개인 내적인 성숙에 의해 진행된다는 것이다.
(2) 학습론적 관점
성숙이 운동발달에 기초가 된다는 것을 인정하지만, 학습론적 관점에서는 운동기술을 학습하거나 경험할 기회가 중요하다고 생각하고 있다. Wayne Dennis(1960)는 이란의 보호시설에 수용된 두 집단의 고아들을 연구했는데, 이곳의 영아들은 생후 2년간 대부분 누워서 침대 생활을 하였다. 아기들은 대부분 한 번도 밝은 자세를 취해 본 적이 없었고, 거의 놀이를 할 수 없었으며, 베개에 기대 놓은 우유병으로 우유를 먹었다. 이와 같이 초기의 운동 경험의 박탈이 이들 아기의 운동발달에 영향을 주었을까?
Dennis의 연구에서 생후 1~2년 된 아기들이지만 거의가 걸을 수 없었고, 절반 이하만이 도움 없이 앉을 수 있었다.3-4세 된 유아는 15%만이 혼자서 걸을 수 있었다. 이와 같은 연구를 통해 Dennis는 '성숙은 운동기술의 발달에 필수적이지만 충분하지는 않다'는 결론을 내렸다. 다시 말해 신체적으로 앉거나 걸을 수 있는 영아들이 이것을 연습할 기회를 갖지 못한다면 이 운동기능은 능숙해지지 않을 것이다. 따라서 다양하고 풍부한 신체활동 경험은 유아들의 운동발달 수준을 향상시킬 수 있다.
(3) 생태학적 관점
1980년대에 들어 인간의 운동 행동을 설명하려는 새로운 이론적 접근으로 생태학적 관점(ecological perspective)이 제시되었다. 생태학적 관점에서는 인간의 움직임이 단지 신체 또는 환경과 관련된 것이라기보다 환경 속에 존재하는 내 외적 요인의 복잡한 관계 속에서 형성된다는 것이다(Getchell, 2001). 운동발달에 관한 생태학적 관점은 역동적 체제이론(dynamic system theory)과 지각-행동이론(perceptual action theory)으로 대표된다.
1) 역동적 체제이론(Dynamic system theory)
성숙과 경험이 운동발달에 필수적이지만 역동적 체제이론은 다음의 두 가지 관점에서 성숙 및 학습이론과 견해를 달리한다.
역동적 체제 가설에서는 운동행동이 성숙과 학습에 의해 단순히 전개되는 성숙의 결과나 학습적 반응으로 보지 않는다. 그보다는 개인 환경 과제수준 등이 복합적으로 상호작용하는 가운데 자기조직원리(self-organization principal)에 의해 이루어지는 구성물로 보았다. 따라서 발달은 비선형적이며 불연속적인 특성을 갖는다.
그동안의 이론들에서는 유아들이 왜 그토록 열심히 새로운 운동기술을 습득하려 하며, 새로운 기술을 어떻게 습득해 가는지에 대한 설명은 하지 못했다. 역동적 체제이론에서는 이에 대한 설명을 시도하고 있다.
Thelen(1995)에 의하면 아기들은 흥미를 끄는 물체에 도달하거나 원하는 장소까지 가고 싶은 욕구를 갖고 있으며 이에 의해 새로운 운동기술을 반복적으로 시도하면서 상위 운동기능을 획득한다고 한다. 기어서 딸랑이를 잡으려고 한다면, 호기심을 갖고 딸랑이에 대한 반응으로 팔다리를 자주 움직이며 우세 팔 다리의 움직임 기능을 습득하고 다양한 신체적 요소를 통합하면서 기어가기능력을 발달시킨다. 즉 아기는 특정한 목표를 염두에 두고 기존 운동능력을 이용해 역동적으로 새로운 기능을 재조직해 간다.
2) 지각-행동이론(Perceptual-action theory)
이 이론은 Gibson(1967, 1979)의 이론을 인간 행동에 적용하면서 시작되었다. 인간의 행동은 지각체계와 행동체계가 상호 관계되면서 이루어진다는데 초점을 맞추고 있다. 즉 운동행동이 나타나려면 일차적으로 다양한 환경조건 내에서 발생하는 사건에 대해 '어떠한 운동유형이 적절한지(운동가능성 affordance)'를 지각하여야 한다(김선진, 2000). 운동 가능성은 개인 환경 과제의 세 가지 수준의 변화가 원인이 되어 바뒤어 간다. 예를 들어, 공을 다룰 때 아동은 자신의 손의 크기나 농구장의 크기, 그리고 던질 거리 등을 지각하며 운동을 수행한다. 아동이 성장하여 체격이 커지면 운동 가능성이 변하므로 아동의 공 다루는 행동 또한 변화된다. 이와 같이 아동들은 지각-행동적 차원에서 자신이 '무엇을 할 수 있는지'를 결정하게 된다.
생태학적 접근은 운동행동의 주체인 인간이 환경 및 과제 특성과 상호작용하며 운동발달을 형성해 간다는 것을 제시하고 있다. 이와 같은 이론적 접근을 통해 어린이들의 운동행동의 생성과 변화에 대해 현실적인 답을 찾고 있다.
* 참고문헌
인간발달 / 박성연, 백지숙 저 / 파워북 / 2011
아동상담 / 구은미, 박성혜 외 2명 저 / 양서원 / 2016
아동발달 / 이항재 저 / 교육과학사 / 2004
발달심리학 : 전생애 인간발달 / 정옥분 저 / 학지사 / 2014
심리학의 이해 / 방선욱 저 / 교육과학사 / 2003
아동심리학 / 김경희 저 / 박영사 / 2005
인간발달 / 조복희, 도현심 외 1명 저 / 교문사 / 2016
인간발달과 교육 / 이현림, 김영숙 저 / 교육과학사 / 2016
IV. 운동발달의 이론적 가설
운동발달이 어떻게 이루어지는가를 설명하기 위해 다양한 이론들이 제기되어 왔는데, 주로 세 가지 관점에서 영아의 운동발달을 설명하고 있다.
(1) 성숙적 관점
Shirley(1933) 등의 성숙론자들은 운동발달이 유전적으로 형성된 발달프로그램에 의해 순서적으로 진행된다는 입장을 갖고 있다. 즉 중심부에서 말초 부위로, 머리에서 꼬리 방향으로 발달하도록 이미 조건화되어 있다는 것이다. 이를 입증하기 위해 성숙론자들은 비교문화적 연구를 진행하였고 호피족의 연구 등에서 그 증거들을 제시하고 있다. 즉 전 세계의 영아들은 자신이 속한 문화적 영향으로 인해 양육 상황이 다름에도 불구하고 거의 동일한 순서로 발달한다는 것이다. 또한 쌍생아 연구에서 한 아기에게는 계단을 오르거나 블록 쌓기 등의 활동을 제공하여 운동발달이 잘 이루어지도록 하였고, 다른 아기에게는 이러한 경험을 차단했음에도 불구하고 쌍생아의 운동발달은 크게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즉 영아 초기의 활동 경험이 운동발달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며, 운동발달은 개인 내적인 성숙에 의해 진행된다는 것이다.
(2) 학습론적 관점
성숙이 운동발달에 기초가 된다는 것을 인정하지만, 학습론적 관점에서는 운동기술을 학습하거나 경험할 기회가 중요하다고 생각하고 있다. Wayne Dennis(1960)는 이란의 보호시설에 수용된 두 집단의 고아들을 연구했는데, 이곳의 영아들은 생후 2년간 대부분 누워서 침대 생활을 하였다. 아기들은 대부분 한 번도 밝은 자세를 취해 본 적이 없었고, 거의 놀이를 할 수 없었으며, 베개에 기대 놓은 우유병으로 우유를 먹었다. 이와 같이 초기의 운동 경험의 박탈이 이들 아기의 운동발달에 영향을 주었을까?
Dennis의 연구에서 생후 1~2년 된 아기들이지만 거의가 걸을 수 없었고, 절반 이하만이 도움 없이 앉을 수 있었다.3-4세 된 유아는 15%만이 혼자서 걸을 수 있었다. 이와 같은 연구를 통해 Dennis는 '성숙은 운동기술의 발달에 필수적이지만 충분하지는 않다'는 결론을 내렸다. 다시 말해 신체적으로 앉거나 걸을 수 있는 영아들이 이것을 연습할 기회를 갖지 못한다면 이 운동기능은 능숙해지지 않을 것이다. 따라서 다양하고 풍부한 신체활동 경험은 유아들의 운동발달 수준을 향상시킬 수 있다.
(3) 생태학적 관점
1980년대에 들어 인간의 운동 행동을 설명하려는 새로운 이론적 접근으로 생태학적 관점(ecological perspective)이 제시되었다. 생태학적 관점에서는 인간의 움직임이 단지 신체 또는 환경과 관련된 것이라기보다 환경 속에 존재하는 내 외적 요인의 복잡한 관계 속에서 형성된다는 것이다(Getchell, 2001). 운동발달에 관한 생태학적 관점은 역동적 체제이론(dynamic system theory)과 지각-행동이론(perceptual action theory)으로 대표된다.
1) 역동적 체제이론(Dynamic system theory)
성숙과 경험이 운동발달에 필수적이지만 역동적 체제이론은 다음의 두 가지 관점에서 성숙 및 학습이론과 견해를 달리한다.
역동적 체제 가설에서는 운동행동이 성숙과 학습에 의해 단순히 전개되는 성숙의 결과나 학습적 반응으로 보지 않는다. 그보다는 개인 환경 과제수준 등이 복합적으로 상호작용하는 가운데 자기조직원리(self-organization principal)에 의해 이루어지는 구성물로 보았다. 따라서 발달은 비선형적이며 불연속적인 특성을 갖는다.
그동안의 이론들에서는 유아들이 왜 그토록 열심히 새로운 운동기술을 습득하려 하며, 새로운 기술을 어떻게 습득해 가는지에 대한 설명은 하지 못했다. 역동적 체제이론에서는 이에 대한 설명을 시도하고 있다.
Thelen(1995)에 의하면 아기들은 흥미를 끄는 물체에 도달하거나 원하는 장소까지 가고 싶은 욕구를 갖고 있으며 이에 의해 새로운 운동기술을 반복적으로 시도하면서 상위 운동기능을 획득한다고 한다. 기어서 딸랑이를 잡으려고 한다면, 호기심을 갖고 딸랑이에 대한 반응으로 팔다리를 자주 움직이며 우세 팔 다리의 움직임 기능을 습득하고 다양한 신체적 요소를 통합하면서 기어가기능력을 발달시킨다. 즉 아기는 특정한 목표를 염두에 두고 기존 운동능력을 이용해 역동적으로 새로운 기능을 재조직해 간다.
2) 지각-행동이론(Perceptual-action theory)
이 이론은 Gibson(1967, 1979)의 이론을 인간 행동에 적용하면서 시작되었다. 인간의 행동은 지각체계와 행동체계가 상호 관계되면서 이루어진다는데 초점을 맞추고 있다. 즉 운동행동이 나타나려면 일차적으로 다양한 환경조건 내에서 발생하는 사건에 대해 '어떠한 운동유형이 적절한지(운동가능성 affordance)'를 지각하여야 한다(김선진, 2000). 운동 가능성은 개인 환경 과제의 세 가지 수준의 변화가 원인이 되어 바뒤어 간다. 예를 들어, 공을 다룰 때 아동은 자신의 손의 크기나 농구장의 크기, 그리고 던질 거리 등을 지각하며 운동을 수행한다. 아동이 성장하여 체격이 커지면 운동 가능성이 변하므로 아동의 공 다루는 행동 또한 변화된다. 이와 같이 아동들은 지각-행동적 차원에서 자신이 '무엇을 할 수 있는지'를 결정하게 된다.
생태학적 접근은 운동행동의 주체인 인간이 환경 및 과제 특성과 상호작용하며 운동발달을 형성해 간다는 것을 제시하고 있다. 이와 같은 이론적 접근을 통해 어린이들의 운동행동의 생성과 변화에 대해 현실적인 답을 찾고 있다.
* 참고문헌
인간발달 / 박성연, 백지숙 저 / 파워북 / 2011
아동상담 / 구은미, 박성혜 외 2명 저 / 양서원 / 2016
아동발달 / 이항재 저 / 교육과학사 / 2004
발달심리학 : 전생애 인간발달 / 정옥분 저 / 학지사 / 2014
심리학의 이해 / 방선욱 저 / 교육과학사 / 2003
아동심리학 / 김경희 저 / 박영사 / 2005
인간발달 / 조복희, 도현심 외 1명 저 / 교문사 / 2016
인간발달과 교육 / 이현림, 김영숙 저 / 교육과학사 / 2016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