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시아 교회사] 전후 일본기독교의 변화와 현재 (전쟁책임고백을 중심으로)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아시아 교회사] 전후 일본기독교의 변화와 현재 (전쟁책임고백을 중심으로)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들어가는 말

2. 전쟁 직후의 일본기독교

3. 일본기독교의 변화와 전환

4. 전쟁책임고백 이후, 일본기독교

5. 나가는 글

< 참고문헌 >

본문내용

이 선언이 발표된 시점을 전후하여 일본기독교계는 전후 일본사회에서 일종의 예언자적 역할에 충실하기 시작했다. 또한 교회가 정부에 예속된 기구로서의 변형이나, 그 기본적 정체성을 상실한 변질된 기독교로서의 과거사를 상당 부분 해소했다고 볼 수 있다. 일본 사회와 국가의 문제점을 묻고 지적하며, 대안을 제시하는 사회적 비판 세력으로서의 정체성을 확립하였다. 서정민, 『한일 기독교 관계사 연구』, 162.
또한 실질적으로 야스쿠니 법안 반대나 한국교회와의 교류 등을 통해 일본기독교계는 행동하는 모습을 보여줌으로써, 전책고백이 표어로서만 남지 않았다는 사실을 증명하고 있다.
< 참고문헌 >
도히 아키오, 『일본기독교사』김수진 역, 서울: 기독교문사, 1991.
도히 아키오, 『일본기독교의 사론적 이해』, 서정민 역, 서울: 한국기독교역사연구소, 1993.
서정민, 『한일 기독교 관계사 연구』 서울: 대한기독교서회, 2002.
서정민, 『일본기독교의 한국인식』 서울: 한울아카데미, 2000.
이에나가 사부로, 『전쟁책임』, 현명철 옮김, 서울 : 논형, 2005.
조형균, 『역사 신앙 고백 : 전후 독일·한국·일본의 역사인식과 죄책고백』 서울: 그물코, 2008.
하라 마코토, 『전시 하 일본기독교사』서정민 역, 서울: 한들출판사, 2009.
서정민, “중일·태평양 전쟁과 기독교 -한일 기독교의 대응 상황 비교를 중심으로-,” 「한국기독교와 역사」21(2004. 9), 5-36.
이민호, “독일과 일본의 전쟁책임과 역사교과서 ‘전쟁책임과 교과서 협의’,” 「강원인문논집」5(1997. 12), 447-453.
  • 가격1,200
  • 페이지수5페이지
  • 등록일2019.02.04
  • 저작시기2019.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08159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