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은 천하의 이익을 일으키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여기서 이익이란 사회의 이익을 가리키므로 결국 어떻게 백성들의 경제적 생활을 개선할 수 있을 것인가에 대한 관심을 의미한다. 그러므로 묵자 사상의 핵심은 공리주의다. 이러한 묵자의 사상은 공리주의 및 실용주의 입장에서 사회적 이익을 증가시켜 민생고를 해결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하고 있다. 묵자의 공리주의적 노력은 대동법이라는 조세제도의 개혁을 통해 민생고를 해결하고 있다는 점을 높이 평가 받을 수 있다.
마치며 ...
널리 인간을 이롭게 한다는 홍익인간의 정신은 어떤 면으로 보자면 공리주의와 많이 닮아 있다고 볼 수 있다. 생각해 보면 가장 뿌리 깊게 박혀 인식하기 어려울 정도로 공리주의는 우리 곁에 녹아 있다. 서두에서도 말했다 시피 도덕적 판단을 내려야 하는 상황에서 ‘어떤 가치 기준을 적용해야 하는가?’에 대한 많은 대답 중 하나로 공리주의를 선택할 수 있는 것이다. 분명 공리주의의 맹점은 존재한다. 하지만 이번에는 공리주의의 긍정적 면에서 사회현상들을 해석하고 분석해 본 것이다.
공리주의 이외의 다른 사상가들의 이론들로 정의는 무엇이며, 도덕이 무엇인지도 풀어 나갈 수 있는 것이다. 어떠한 현상에도 일방적인 관점과 가치는 존재할 수 없음이다. 어떠한 사상이 옳네 그르네 하는 것은 부질없는 것이라 생각한다. 다양한 이론들을 이해하였다면 그 현상에 맞게 판단하여 적절히 사용할 수 있는 능력을 기르는 것이 중요한 것이다. 여러 학자의 견해들 중 우리가 받아 들여야 할 것이 무엇인지를 분명히 인식하고 조율해 나갈 때 진정한 정의란 무엇이며 도덕은 무엇인지를 조금이나마 알아 갈 수 있는 것이다.
정의란 무엇인가?
그 해답은 존재하지 않는다.
그리고 앞으로도 존재하지 않을 것이다 이 대답 없는 질문에 대해서 우리가 이렇게 고민하고 생각하고 있다는 것이 쓸데없고 가치 없는 일이라고 생각할 수 있다. 그저 돈을 많이 벌고 편안하게 살면 그만이라고 생각해 버릴 수 있다. 하지만 수세기 동안 이렇게 질문되어지고 해답을 찾으려고 노력했다는 그 사실로도 이 질문은 가치 있다고 할 수 있다. 미분적분을 몰라도 세상에 불편함 없이 잘 살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정의, 도덕이 무엇인지 몰라도 잘 살아갈 수 있을 것이다. 하지만 진정한 자유인이 되기 위해 즉, 가치 있는 삶, 행복한 삶을 누리기 위해서는 이 질문에 대해 고민하고 생각하는 사람으로 거듭나야하는 것은 분명하다.
초등학교에서는 이러한 질문의 기초로 공리주의를 바탕으로 그 위에 다른 여러 이론들을 차곡차곡 정립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한다. 여러 가지 상황들을 다양한 시각으로 바라볼 수 있는 것처럼 하나의 현상을 여러 학자의 이론으로 논할 수 있다. 이 과정 중 하나의 방법으로 한 공리주의를 교육하는 것은 바람직하다고 생각한다.
참고문헌
손경원 교수님 핸드아웃자료
손경원 교수님 강의3 공리주의 자료
한겨례 뉴스 기사
네이버 블로그
공리주의·개혁주의·자유주의 김완진 외, 서울: 서울대학교 출판부, 1996
정의란 무엇인가 마이클 샌델, 김영사, 2010
마치며 ...
널리 인간을 이롭게 한다는 홍익인간의 정신은 어떤 면으로 보자면 공리주의와 많이 닮아 있다고 볼 수 있다. 생각해 보면 가장 뿌리 깊게 박혀 인식하기 어려울 정도로 공리주의는 우리 곁에 녹아 있다. 서두에서도 말했다 시피 도덕적 판단을 내려야 하는 상황에서 ‘어떤 가치 기준을 적용해야 하는가?’에 대한 많은 대답 중 하나로 공리주의를 선택할 수 있는 것이다. 분명 공리주의의 맹점은 존재한다. 하지만 이번에는 공리주의의 긍정적 면에서 사회현상들을 해석하고 분석해 본 것이다.
공리주의 이외의 다른 사상가들의 이론들로 정의는 무엇이며, 도덕이 무엇인지도 풀어 나갈 수 있는 것이다. 어떠한 현상에도 일방적인 관점과 가치는 존재할 수 없음이다. 어떠한 사상이 옳네 그르네 하는 것은 부질없는 것이라 생각한다. 다양한 이론들을 이해하였다면 그 현상에 맞게 판단하여 적절히 사용할 수 있는 능력을 기르는 것이 중요한 것이다. 여러 학자의 견해들 중 우리가 받아 들여야 할 것이 무엇인지를 분명히 인식하고 조율해 나갈 때 진정한 정의란 무엇이며 도덕은 무엇인지를 조금이나마 알아 갈 수 있는 것이다.
정의란 무엇인가?
그 해답은 존재하지 않는다.
그리고 앞으로도 존재하지 않을 것이다 이 대답 없는 질문에 대해서 우리가 이렇게 고민하고 생각하고 있다는 것이 쓸데없고 가치 없는 일이라고 생각할 수 있다. 그저 돈을 많이 벌고 편안하게 살면 그만이라고 생각해 버릴 수 있다. 하지만 수세기 동안 이렇게 질문되어지고 해답을 찾으려고 노력했다는 그 사실로도 이 질문은 가치 있다고 할 수 있다. 미분적분을 몰라도 세상에 불편함 없이 잘 살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정의, 도덕이 무엇인지 몰라도 잘 살아갈 수 있을 것이다. 하지만 진정한 자유인이 되기 위해 즉, 가치 있는 삶, 행복한 삶을 누리기 위해서는 이 질문에 대해 고민하고 생각하는 사람으로 거듭나야하는 것은 분명하다.
초등학교에서는 이러한 질문의 기초로 공리주의를 바탕으로 그 위에 다른 여러 이론들을 차곡차곡 정립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한다. 여러 가지 상황들을 다양한 시각으로 바라볼 수 있는 것처럼 하나의 현상을 여러 학자의 이론으로 논할 수 있다. 이 과정 중 하나의 방법으로 한 공리주의를 교육하는 것은 바람직하다고 생각한다.
참고문헌
손경원 교수님 핸드아웃자료
손경원 교수님 강의3 공리주의 자료
한겨례 뉴스 기사
네이버 블로그
공리주의·개혁주의·자유주의 김완진 외, 서울: 서울대학교 출판부, 1996
정의란 무엇인가 마이클 샌델, 김영사, 2010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