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
코미디를 표방한 이 작품 속에서 주인공은 카자흐스탄을 모유로 치즈를 만들고 화장실 사용법도 모르는 무뢰한으로 묘사한다. 미국 문화 내부에 잠재하고 있는 우월감을 공격하는 것도 잊지 않는다. 단순하게 생각할 때, 코미디는 대중들을 웃게 만드는 영화 장르라고 인식된다. 하지만 우리는 무엇 때문에 웃는 것일까? 웃음은 그 어떤 감정보다 대중들의 합의를 절실히 필요로 한다. 이는 웃음에는 여러 가지 종류가 있다는 사실과도 통한다. 남을 비하하는 웃음, 자조, 풍자, 역설 등 웃음으로 표현되는 감정은 여러 가지 코드들을 내포하고 있다.
코미디 영화는 대략 세 가지 점에 입각해 분석해볼 여지가 있다. 첫 째는 ‘보랏’처럼 사회적 약자나 소수자에 대한 대중의 편견을 십분 활용하는 경우이다. 헐리웃에서 ‘화장실 코미디’라고 명명되는 작품들이 대부분 여기에 속하는 데 이러한 코미디는 사회적 편견을 농담의 코드로 주로 활용한다. 성적 소수자나 경제적 빈곤층 혹은 희유한 종교를 믿는 신도들이 농담의 대상이 되는 경우가 많다.
두번째는 블랙 코미디라고 불리는 것으로서 웃음 속에 사회적 문제에 대한 공격성을 은폐하는 경우이다. 찰리 채플린의 영화들이 대표적인 예인데, 찰리 채플린은 현대 사회의 비인간화를 우스꽝스러운 상황과 몸짓으로 재해석해낸다. 기계 사이에 끼어서 돌아가는 찰리 채플린의 면면은 폭발적 웃음을 유도하지만 이는 한편 문명의 그로테스크함에 대한 반성을 이끌어 내기도 한다. 웃지만 그 웃음의 끝이 통렬한 반성이자 공격으로 전회 되는 것이다.
마지막으로 코미디 영화는 사회의 무의식을 드러내는 잣대 역할을 한다. 코미디 영화는 성차를 비롯해 인종적, 민족적, 지역적 편견을 웃음의 근간으로 제공하는 경우가 많다. 스테레오 타입의 인물들이 주로 등장하는 것도 이와 연관된다. 가령, 마릴린 멀로가 출연한 ‘신사는 금발을 좋아해’나 리즈 위더스푼의 ‘금발이 너무해’는 ‘금발’ 여성은 아름답지만 총명하지 못하다, 라는 사회적 편견에서 출발한다. 이는 특정 지역 사투리를 쓰는 사람들이 곧잘 유사한 직업군으로 묘사되는 점에서도 발견된다.
코미디는 가장 오래 된 영화 장르 중 하나이지만 가장 현재적인 장르이기도 하다. 이는 우리나라의 현상만 보더라도 알 수 있는데, 추석, 설, 연말연시와 같은 성수기에 개봉되는 영화 중 많은 작품들이 코미디 영화이다. 로맨틱 코미디처럼 다른 장르와 혼합되어 세련화된 경우도 있다. 중요한 것은 코미디 영화의 발전 가운데에는 우리 사회가 거쳐 가는 변화의 흔적이 남아 있다는 사실이다. ‘가문의 영광’, ‘미녀는 괴로워’, ‘작업의 정석’ 등등의 코미디 작품들은 나름의 사회적 변화를 암시하고 있다. ‘가문의 영광’은 한국 특유의 가족 중심 주의가 없었더라면 형성되기 어려웠을 것이다. 이는 성형 문제가 사회적 관심사로 대두된 시기에 개봉한 ‘미녀는 괴로워’의 성공에서도 엿볼 수 있다. 웃음이야말로 가장 동시대적인 정서의 공감대를 필요로 하는 체험이다. 코미디 영화 속에는 당대 사회의 편견과 문제가 고스란히 침전되어 있다.
코미디를 표방한 이 작품 속에서 주인공은 카자흐스탄을 모유로 치즈를 만들고 화장실 사용법도 모르는 무뢰한으로 묘사한다. 미국 문화 내부에 잠재하고 있는 우월감을 공격하는 것도 잊지 않는다. 단순하게 생각할 때, 코미디는 대중들을 웃게 만드는 영화 장르라고 인식된다. 하지만 우리는 무엇 때문에 웃는 것일까? 웃음은 그 어떤 감정보다 대중들의 합의를 절실히 필요로 한다. 이는 웃음에는 여러 가지 종류가 있다는 사실과도 통한다. 남을 비하하는 웃음, 자조, 풍자, 역설 등 웃음으로 표현되는 감정은 여러 가지 코드들을 내포하고 있다.
코미디 영화는 대략 세 가지 점에 입각해 분석해볼 여지가 있다. 첫 째는 ‘보랏’처럼 사회적 약자나 소수자에 대한 대중의 편견을 십분 활용하는 경우이다. 헐리웃에서 ‘화장실 코미디’라고 명명되는 작품들이 대부분 여기에 속하는 데 이러한 코미디는 사회적 편견을 농담의 코드로 주로 활용한다. 성적 소수자나 경제적 빈곤층 혹은 희유한 종교를 믿는 신도들이 농담의 대상이 되는 경우가 많다.
두번째는 블랙 코미디라고 불리는 것으로서 웃음 속에 사회적 문제에 대한 공격성을 은폐하는 경우이다. 찰리 채플린의 영화들이 대표적인 예인데, 찰리 채플린은 현대 사회의 비인간화를 우스꽝스러운 상황과 몸짓으로 재해석해낸다. 기계 사이에 끼어서 돌아가는 찰리 채플린의 면면은 폭발적 웃음을 유도하지만 이는 한편 문명의 그로테스크함에 대한 반성을 이끌어 내기도 한다. 웃지만 그 웃음의 끝이 통렬한 반성이자 공격으로 전회 되는 것이다.
마지막으로 코미디 영화는 사회의 무의식을 드러내는 잣대 역할을 한다. 코미디 영화는 성차를 비롯해 인종적, 민족적, 지역적 편견을 웃음의 근간으로 제공하는 경우가 많다. 스테레오 타입의 인물들이 주로 등장하는 것도 이와 연관된다. 가령, 마릴린 멀로가 출연한 ‘신사는 금발을 좋아해’나 리즈 위더스푼의 ‘금발이 너무해’는 ‘금발’ 여성은 아름답지만 총명하지 못하다, 라는 사회적 편견에서 출발한다. 이는 특정 지역 사투리를 쓰는 사람들이 곧잘 유사한 직업군으로 묘사되는 점에서도 발견된다.
코미디는 가장 오래 된 영화 장르 중 하나이지만 가장 현재적인 장르이기도 하다. 이는 우리나라의 현상만 보더라도 알 수 있는데, 추석, 설, 연말연시와 같은 성수기에 개봉되는 영화 중 많은 작품들이 코미디 영화이다. 로맨틱 코미디처럼 다른 장르와 혼합되어 세련화된 경우도 있다. 중요한 것은 코미디 영화의 발전 가운데에는 우리 사회가 거쳐 가는 변화의 흔적이 남아 있다는 사실이다. ‘가문의 영광’, ‘미녀는 괴로워’, ‘작업의 정석’ 등등의 코미디 작품들은 나름의 사회적 변화를 암시하고 있다. ‘가문의 영광’은 한국 특유의 가족 중심 주의가 없었더라면 형성되기 어려웠을 것이다. 이는 성형 문제가 사회적 관심사로 대두된 시기에 개봉한 ‘미녀는 괴로워’의 성공에서도 엿볼 수 있다. 웃음이야말로 가장 동시대적인 정서의 공감대를 필요로 하는 체험이다. 코미디 영화 속에는 당대 사회의 편견과 문제가 고스란히 침전되어 있다.
추천자료
코미디에 반영된 사회현상 - '웃음을 찾는 사람들'을 중심으로
[현대문화] 역사적 맥락을 통해 본 패러디문화(정치패러디 중심)
코미디 프로그램의 사회와 상호작용과 그 과정에서 발견되는 문제점과 개선방안
솔루션 프로그램이 최근 텔레비전 프로그램에서 하나의 장르로 자리매김한 이유는 무엇이고 ...
버스터 키튼의 영화
패러디(parody) 문화
유쾌한 사랑이야기 영화 - [어디선가 누군가에 무슨 일이 생기면 틀림없이 나타난다 홍반장...
영화 장르 연구 은하수를 여행하는 히치하이커를 위한 안내서- SF 영화에 대한 장르 패러디
주성치류 영화와 패러디 코미디 장르의 관계 -서유기 월광보합 천리기연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