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도 그 악곡의 성격을 정하고 있다.
(2) 국악 교육에서 장단의 지도는 중요하다. 장단이 없는 음악도 간혹 있지만, 대부분의 국악에는 장단이 필수적인 요소이다. 국악 곡의 지도에서 장단은 그 음악의 빠르기를 결정하는 요소로, 자진모리장단의 노래는 자진모리장단의 노래대로, 굿거리장단의 노래는 굿거리장단의 노래대로 나름의 빠르기를 가지고 있다. 그 빠르기의 느낌을 살리지 못하면 노래의 원래 분위기와 맛이 드러나지 않는다.
(3) 초등학교에서는 자진모리장단, 세마치장단, 굿거리장단, 중중모리 장단을 지도하고 있는데, 교사는 제재곡 지도에 앞서 그 노래의 장단이 무엇인지, 그 장단의 일반적인 빠르기는 어떤지 등을 정하여 지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중중모리장단과 굿거리장단의 빠르기는 비슷하나 가락의 흐름에 차이가 있다.
(4) 장단의 지도가 중요한 것은 사실이지만, 놀이 중심이 되는 동요의 경우에는 장단치기를 강조하지 않는 것이 좋다. 예컨대 ‘두껍아 두껍아’와 같은 동요는 장구를 치면서 부르기보다는 모래 놀이를 하면서 부르는 것이 좋으며, 자장가도 장단의 지도보다는 실제로 아기를 재우면서 부르던 동요의 속성을 잘 살려 지도하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 또한 일노래의 경우에도 일을 하면서 불렀다는 점을 생각해 볼 때 장단의 지도를 강조하는 것보다는 일을 하면서 부르는 상황에 대한 이해와 묘사 등의 활동을 중심으로 지도하는 것이 좋다.
라, 장구의 지도
(1) 장구는 국악에서 장단을 연주하는 가장 일반적인 악기이다. 국악 학습에서 장구 연주는 매우 중요한데, 학생들이 장구를 익숙하게 연주하는 것은 어려운 일이다. 그러므로 장구의 지동서 가장 중요한 것은 단계적인 장구 지도라고 말할 수 있다. 처음부터 어려운 수준을 요구하는 것보다 쉽고 흥미롭게 접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필요하다, 장구를 지도하는 방법이나 단계는 교사에 따라 다를 수 있다
(2) 장구를 지도할 때 왼손의 모양, 북편을 칠 때 좋은 소리를 내는 방법, 강박과 약박을 구분하여 치는 법 등을 지도한다. 오른손의 경우는 채 잡는 모양, 채로 치는 방법, 기덕의 구르는 소리를 내는 법, 강박과 약박을 구분하여 치는 법 등을 지도한다.
(3) 장단이 짝으로 진행될 경우에는 다는 형과 맺는 형을 구별하여 치는 것도 학년의 수준에 맞게 지도해야 하나 모든 음악에서 다는 형과 맺는 형을 칠 필요는 없다. 장단이 짝으로 진행되지 않고, 홀수로 끝나는 경우에는 다는 형을 두 번 치고, 맺는 형으로 진행할 수도 있고, 맺는 형으로 진행할 수도 있고 맺는 형을 두 번 치면서 끝내는 경우도 있다. 그 외의 다양한 패턴으로 칠 수도 있으므로 음악의 전체적인 구조와 흐름을 잘 파악하여 장단을 구성하는 것이 필요하다.
(4) 학생들이 장구를 칠 때 음량을 조절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은데, 장구 치는 것이 익숙하지 않거나 노래를 반주하는 장구의 역할을 몰라서 그럴 수도 있으므로 노래를 잘 살릴 수 있도록 적당한 크기로 장구를 치고, 노래의 흐름에 따라 장구 소리의 강약을 조절할 수 있도록 지도하는 것이 필요하다.
(2) 국악 교육에서 장단의 지도는 중요하다. 장단이 없는 음악도 간혹 있지만, 대부분의 국악에는 장단이 필수적인 요소이다. 국악 곡의 지도에서 장단은 그 음악의 빠르기를 결정하는 요소로, 자진모리장단의 노래는 자진모리장단의 노래대로, 굿거리장단의 노래는 굿거리장단의 노래대로 나름의 빠르기를 가지고 있다. 그 빠르기의 느낌을 살리지 못하면 노래의 원래 분위기와 맛이 드러나지 않는다.
(3) 초등학교에서는 자진모리장단, 세마치장단, 굿거리장단, 중중모리 장단을 지도하고 있는데, 교사는 제재곡 지도에 앞서 그 노래의 장단이 무엇인지, 그 장단의 일반적인 빠르기는 어떤지 등을 정하여 지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중중모리장단과 굿거리장단의 빠르기는 비슷하나 가락의 흐름에 차이가 있다.
(4) 장단의 지도가 중요한 것은 사실이지만, 놀이 중심이 되는 동요의 경우에는 장단치기를 강조하지 않는 것이 좋다. 예컨대 ‘두껍아 두껍아’와 같은 동요는 장구를 치면서 부르기보다는 모래 놀이를 하면서 부르는 것이 좋으며, 자장가도 장단의 지도보다는 실제로 아기를 재우면서 부르던 동요의 속성을 잘 살려 지도하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 또한 일노래의 경우에도 일을 하면서 불렀다는 점을 생각해 볼 때 장단의 지도를 강조하는 것보다는 일을 하면서 부르는 상황에 대한 이해와 묘사 등의 활동을 중심으로 지도하는 것이 좋다.
라, 장구의 지도
(1) 장구는 국악에서 장단을 연주하는 가장 일반적인 악기이다. 국악 학습에서 장구 연주는 매우 중요한데, 학생들이 장구를 익숙하게 연주하는 것은 어려운 일이다. 그러므로 장구의 지동서 가장 중요한 것은 단계적인 장구 지도라고 말할 수 있다. 처음부터 어려운 수준을 요구하는 것보다 쉽고 흥미롭게 접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필요하다, 장구를 지도하는 방법이나 단계는 교사에 따라 다를 수 있다
(2) 장구를 지도할 때 왼손의 모양, 북편을 칠 때 좋은 소리를 내는 방법, 강박과 약박을 구분하여 치는 법 등을 지도한다. 오른손의 경우는 채 잡는 모양, 채로 치는 방법, 기덕의 구르는 소리를 내는 법, 강박과 약박을 구분하여 치는 법 등을 지도한다.
(3) 장단이 짝으로 진행될 경우에는 다는 형과 맺는 형을 구별하여 치는 것도 학년의 수준에 맞게 지도해야 하나 모든 음악에서 다는 형과 맺는 형을 칠 필요는 없다. 장단이 짝으로 진행되지 않고, 홀수로 끝나는 경우에는 다는 형을 두 번 치고, 맺는 형으로 진행할 수도 있고, 맺는 형으로 진행할 수도 있고 맺는 형을 두 번 치면서 끝내는 경우도 있다. 그 외의 다양한 패턴으로 칠 수도 있으므로 음악의 전체적인 구조와 흐름을 잘 파악하여 장단을 구성하는 것이 필요하다.
(4) 학생들이 장구를 칠 때 음량을 조절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은데, 장구 치는 것이 익숙하지 않거나 노래를 반주하는 장구의 역할을 몰라서 그럴 수도 있으므로 노래를 잘 살릴 수 있도록 적당한 크기로 장구를 치고, 노래의 흐름에 따라 장구 소리의 강약을 조절할 수 있도록 지도하는 것이 필요하다.
추천자료
창작국악동요
[초등지도안]초등 3학년 체육지도안 (3단원 재미있는 소고춤)
[풍물놀이교육][풍물교육][풍물굿교육]풍물놀이(풍물, 풍물굿)교육의 목적, 풍물놀이(풍물, ...
한국전통음악교육(국악지도)의 필요성과 교과내용, 한국전통음악교육(국악지도)의 기악, 가창...
5)음악-얼씨구 좋네-떡 노래
3)음악-두꺼비집이 여물까-장구 연주법 알기, 자진모리장단 익히고 노래에 맞추어 연주하기(...
3)음악-청어엮자-주고받으며 노래 부르기, 자진모리장단(중안)
초등3) <(음악)과 교수-학습 과정안 {중안} 음악 31쪽/(2/3차시)> 11. 촐래촐래 놀아 보세 - ...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