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단원의 안내
1 단원명 : 4. 얼씨구 좋네! - (1) 떡 노래
2 단원의 개관
3 제재의 목표
4 차시별 교수․학습 계획
5 제재의 평가계획
6 지도상의 유의점
Ⅱ. 학습자 실태 분석
1 본시 학습 관련 학급 실태
Ⅳ. 본시 수업의 설계
1 본시 학습 과정안
2 판서 계획
3 본시 평가 계획
4 활동지
1 단원명 : 4. 얼씨구 좋네! - (1) 떡 노래
2 단원의 개관
3 제재의 목표
4 차시별 교수․학습 계획
5 제재의 평가계획
6 지도상의 유의점
Ⅱ. 학습자 실태 분석
1 본시 학습 관련 학급 실태
Ⅳ. 본시 수업의 설계
1 본시 학습 과정안
2 판서 계획
3 본시 평가 계획
4 활동지
본문내용
가사와 말 붙임새를 바꾸어 노래 부를 수 있다.
수업 모형
창작 활동 중심 학습
교수학습
자료
교사
장구, 정간보, 활동지
학습 집단 조직
대집단→개인
→소집단→대집단
아동
교과서
1
본시 학습 과정안
학습단계
학습과정
교 수 학 습 활 동
시간
자료() 및 유의점(※)
도입
동기유발
학습목표
확 인
학습활동
안 내
▣ 제재곡 부르기
-지난 시간에 우리는 무슨 노래를 배웠나요? (떡 노래.)
-맞습니다. 지난 시간에 떡 노래는 두 가지 시김새가 있다고 했는데 무엇입니까? (‘미’음을 굵게 떨어준다. 흘러내리는 소리가 있다.)
-지난 시간에 공부한 내용을 떠올리며 시김새를 살려 떡 노래를 불러 봅시다. 선생님이 자진모리 장단을 장구로 쳐 줄테니 두 장단을 듣고 나서 불러봅시다.
시김새를 살려 떡 노래를 부른다.
▣ 학습목표 안내
자진모리 변형 장단을 표현할 수 있다.
가사와 말 붙임새를 바꾸어 노래 부를 수 있다.
▣ 학습활동 안내
[활동1] 자진모리 변형 장단 표현하기
[활동2] 가사와 말 붙임새 바꾸어 노래부르기
[활동3] 창작 발표회
5'
장구
전개
활동1
활동2
활동3
▣ 자진모리 변형 장단 표현하기
◎ 자진모리 기본 장단 치기
자진모리 장단의 구음을 읽어보게 한다.
-자진모리 장단의 구음은 무엇입니까? (덩 쿵 쿵 덕쿵)
-자진모리 장단은 몇 박과 몇 박에 세를 주어야 합니까? (9박)
-선생님의 장구 장단에 맞추어 자진모리 장단의 세를 살려 다시 한 번 읽어 봅시다.
자진모리 장단을 구음과 함께 장단의 세를 살려 무릎장단으로 치게 한다.
-장단의 세를 살려 구음과 함께 자진모리 장단을 무릎장단으로 쳐 봅시다.
자진모리 장단을 무릎장단으로 치며 노래를 부르게 한다.
◎ 자진모리 변형 장단 만들기
-이번에는 자진모리 장단을 색다르게 바꿔보도록 하겠습니다. 먼저, 가장 단순한 장단으로 바꾸어 봅시다.
첫 박만 남겨두고 나머지 박의 장단은 모두 없앤다.
구음으로 읽어 보게 한다.
↓
-정말 단순한 장단으로 바뀌었네요. 그럼 자진모리 기본 장단보다 조금 덜 단순한 장단으로 바꾸어 봅시다. 6박까지는 같게 하고, 7-12박 사이를 바꾸어 봅시다.
자진모리 장단의 7-12박 사이의 장단을 바꾼다.
구음으로 읽어 보게 한다.
↓
덩 쿵 쿠 궁
-이번에는 자진모리 기본 장단보다 조금 더 복잡하게 바꾸어 봅시다.
자진모리 기본 장단보다 조금 더 복잡한 장단으로 바꾼다.
구음으로 읽어 보게 한다.
↓
-3개의 변형 장단을 만들어 보았는데, 세 장단들을 놓고 보니 선생님은 사물놀이하는 장면이 떠오르네요. 3가지 변형 장단의 구음을 사물놀이에 사용되는 악기인 징, 북, 장구의 구음으로 바꾸어 사물놀이를 하듯이 동시에 표현해 봅시다.
-(1분단: 장구, 2분단: 북, 3분단: 징)
장구
덩 덕 쿵 덕 쿵 쿵 덕
북
둥 둥 두 둥
징
징 - - -
◎ 자진모리 변형 장단에 맞추어 노래 부르기
조별로 역할을 분담하여 장단과 노래를 다함께 표현하게 한다.
장구1
덩 쿵 쿵 덕 쿵
장구2
덩 덕 쿵 덕 쿵 쿵 덕
북
둥 둥 두 둥
징
징 - - -
1조
(장구1)
2조
(북)
3조
(징)
4조
(장구2)
5조
(노래)
6조
(노래)
▣ 가사와 말 붙임새 바꾸어 노래부르기
◎ 가사 바꾸기
가사에 없는 떡 이름을 사용하여 둘째 단의 가사를 새롭게 바꾸어 보게 한다.
예) 알록달록 무지개떡, 반달같은 반달떡
가사와 어울리게 말 붙임새를 바꾸어 정간보에 써 넣도록 한다.
예)
산
중
사
람
은
칡
가
래
떡
↓
알
록
달
록
무
지
개
떡
각 모둠의 사회자의 진행 하에 모둠원들이 각자 가사와 말 붙임새를 어떻게 바꾸었는지 직접 부르도록 한다.
다수결로 가장 잘 만들었다고 생각되는 것을 선정하여 모둠끼리 연습한다.
▣ 창작 발표회
장구장단에 맞춰서 첫째단은 여섯 모둠이 다함께 부르고, 새로 바꾼 둘째단은 1조-2조-3조-4조-5조-6조 순으로 부른다.
-첫째단(다함께)→둘째단(1조)→첫째단(다함께)→둘째단(2조)→첫째단(다함께)→둘째단(3조)→첫째단(다함께)→둘째단(4조)→첫째단(다함께)→둘째단(5조)→첫째단(다함께)→둘째단(6조)→셋째단(다함께)→넷째단(다함께)
10'
20'
3'
장구
정간보
활동지
※가사가 선정되면 가사와 어울리는 율동을 만들어 볼 수 있도록 유도한다.
장구
※다른 모둠이 노래 부를 때에는 조용히 바른 태도로 듣도록 한다.
정리
정리 및 평가
차시예고
▣ 정리 및 평가
학습목표에 잘 도달하였는지 활동지 4번에 자기 평가를 하도록 한다.
▣ 차시예고
다음 시간에는 ‘스와니 강’에 대하여 배우도록 하겠습니다.
2'
활동지
3
판서 계획
정간보
2011년 6월 14일 화요일
단 원: 4-(1)떡 노래
학습목표:자진모리 변형 장단을 표현할 수 있다.
가사와 말 붙임새를 바꾸어 노래 부를 수 있다.
[활동1] 자진모리 변형 장단 표현하기
[활동2] 가사와 말 붙임새 바꾸어 노래부르기
[활동3] 창작 발표회
4
본시 평가 계획
영역
평가관점
척도
시기
평가방법
지식
이해
ㆍ자진모리 변형 장단을 표현할 수 있는가?
상ㆍ중ㆍ하
학습 활동 중
관찰법
ㆍ가사와 말 붙임새를 바꿀 수 있는가?
상ㆍ중ㆍ하
학습 활동 중
활동지
태도
ㆍ적극적인 태도로 활동에 참여하는가?
상ㆍ중ㆍ하
학습 활동 중
관찰법
5
활동지
음악
5-1
4. 얼씨구 좋네!
(1) 떡노래
교과서44~45쪽
1. 떡 노래의 가사에 넣으면 좋을만한 떡의 이름을 적어보세요.
떡의 이름
2. 1번에 적은 떡 이름을 참고하여, ‘떡 노래’ 둘째 단의 가사를 참신하게 바꿔 보세요.
산중 사람은 칡가래떡- / 해변 사람은 갈파래떡-
↓
/
3. 2번에 적은 가사에 어울리게 말 붙임새를 만들어 정간보에 적어 보세요.
4. 아래 질문을 읽고 진솔하게 표시해 주세요.
스스로 평가 질문
↓맞다고 생각하는 곳에 ○ 표시해 주세요↓
자진모리 변형 장단을 구음으로 잘 표현할 수 있었다.
매우 그렇다 / 그렇다 / 보통 / 아니다 / 매우 아니다
가사와 말 붙임새를 참신하게 바꾸었다.
매우 그렇다 / 그렇다 / 보통 / 아니다 / 매우 아니다
수업에 적극적으로 참여하였다.
매우 그렇다 / 그렇다 / 보통 / 아니다 / 매우 아니다
수업 모형
창작 활동 중심 학습
교수학습
자료
교사
장구, 정간보, 활동지
학습 집단 조직
대집단→개인
→소집단→대집단
아동
교과서
1
본시 학습 과정안
학습단계
학습과정
교 수 학 습 활 동
시간
자료() 및 유의점(※)
도입
동기유발
학습목표
확 인
학습활동
안 내
▣ 제재곡 부르기
-지난 시간에 우리는 무슨 노래를 배웠나요? (떡 노래.)
-맞습니다. 지난 시간에 떡 노래는 두 가지 시김새가 있다고 했는데 무엇입니까? (‘미’음을 굵게 떨어준다. 흘러내리는 소리가 있다.)
-지난 시간에 공부한 내용을 떠올리며 시김새를 살려 떡 노래를 불러 봅시다. 선생님이 자진모리 장단을 장구로 쳐 줄테니 두 장단을 듣고 나서 불러봅시다.
시김새를 살려 떡 노래를 부른다.
▣ 학습목표 안내
자진모리 변형 장단을 표현할 수 있다.
가사와 말 붙임새를 바꾸어 노래 부를 수 있다.
▣ 학습활동 안내
[활동1] 자진모리 변형 장단 표현하기
[활동2] 가사와 말 붙임새 바꾸어 노래부르기
[활동3] 창작 발표회
5'
장구
전개
활동1
활동2
활동3
▣ 자진모리 변형 장단 표현하기
◎ 자진모리 기본 장단 치기
자진모리 장단의 구음을 읽어보게 한다.
-자진모리 장단의 구음은 무엇입니까? (덩 쿵 쿵 덕쿵)
-자진모리 장단은 몇 박과 몇 박에 세를 주어야 합니까? (9박)
-선생님의 장구 장단에 맞추어 자진모리 장단의 세를 살려 다시 한 번 읽어 봅시다.
자진모리 장단을 구음과 함께 장단의 세를 살려 무릎장단으로 치게 한다.
-장단의 세를 살려 구음과 함께 자진모리 장단을 무릎장단으로 쳐 봅시다.
자진모리 장단을 무릎장단으로 치며 노래를 부르게 한다.
◎ 자진모리 변형 장단 만들기
-이번에는 자진모리 장단을 색다르게 바꿔보도록 하겠습니다. 먼저, 가장 단순한 장단으로 바꾸어 봅시다.
첫 박만 남겨두고 나머지 박의 장단은 모두 없앤다.
구음으로 읽어 보게 한다.
↓
-정말 단순한 장단으로 바뀌었네요. 그럼 자진모리 기본 장단보다 조금 덜 단순한 장단으로 바꾸어 봅시다. 6박까지는 같게 하고, 7-12박 사이를 바꾸어 봅시다.
자진모리 장단의 7-12박 사이의 장단을 바꾼다.
구음으로 읽어 보게 한다.
↓
덩 쿵 쿠 궁
-이번에는 자진모리 기본 장단보다 조금 더 복잡하게 바꾸어 봅시다.
자진모리 기본 장단보다 조금 더 복잡한 장단으로 바꾼다.
구음으로 읽어 보게 한다.
↓
-3개의 변형 장단을 만들어 보았는데, 세 장단들을 놓고 보니 선생님은 사물놀이하는 장면이 떠오르네요. 3가지 변형 장단의 구음을 사물놀이에 사용되는 악기인 징, 북, 장구의 구음으로 바꾸어 사물놀이를 하듯이 동시에 표현해 봅시다.
-(1분단: 장구, 2분단: 북, 3분단: 징)
장구
덩 덕 쿵 덕 쿵 쿵 덕
북
둥 둥 두 둥
징
징 - - -
◎ 자진모리 변형 장단에 맞추어 노래 부르기
조별로 역할을 분담하여 장단과 노래를 다함께 표현하게 한다.
장구1
덩 쿵 쿵 덕 쿵
장구2
덩 덕 쿵 덕 쿵 쿵 덕
북
둥 둥 두 둥
징
징 - - -
1조
(장구1)
2조
(북)
3조
(징)
4조
(장구2)
5조
(노래)
6조
(노래)
▣ 가사와 말 붙임새 바꾸어 노래부르기
◎ 가사 바꾸기
가사에 없는 떡 이름을 사용하여 둘째 단의 가사를 새롭게 바꾸어 보게 한다.
예) 알록달록 무지개떡, 반달같은 반달떡
가사와 어울리게 말 붙임새를 바꾸어 정간보에 써 넣도록 한다.
예)
산
중
사
람
은
칡
가
래
떡
↓
알
록
달
록
무
지
개
떡
각 모둠의 사회자의 진행 하에 모둠원들이 각자 가사와 말 붙임새를 어떻게 바꾸었는지 직접 부르도록 한다.
다수결로 가장 잘 만들었다고 생각되는 것을 선정하여 모둠끼리 연습한다.
▣ 창작 발표회
장구장단에 맞춰서 첫째단은 여섯 모둠이 다함께 부르고, 새로 바꾼 둘째단은 1조-2조-3조-4조-5조-6조 순으로 부른다.
-첫째단(다함께)→둘째단(1조)→첫째단(다함께)→둘째단(2조)→첫째단(다함께)→둘째단(3조)→첫째단(다함께)→둘째단(4조)→첫째단(다함께)→둘째단(5조)→첫째단(다함께)→둘째단(6조)→셋째단(다함께)→넷째단(다함께)
10'
20'
3'
장구
정간보
활동지
※가사가 선정되면 가사와 어울리는 율동을 만들어 볼 수 있도록 유도한다.
장구
※다른 모둠이 노래 부를 때에는 조용히 바른 태도로 듣도록 한다.
정리
정리 및 평가
차시예고
▣ 정리 및 평가
학습목표에 잘 도달하였는지 활동지 4번에 자기 평가를 하도록 한다.
▣ 차시예고
다음 시간에는 ‘스와니 강’에 대하여 배우도록 하겠습니다.
2'
활동지
3
판서 계획
정간보
2011년 6월 14일 화요일
단 원: 4-(1)떡 노래
학습목표:자진모리 변형 장단을 표현할 수 있다.
가사와 말 붙임새를 바꾸어 노래 부를 수 있다.
[활동1] 자진모리 변형 장단 표현하기
[활동2] 가사와 말 붙임새 바꾸어 노래부르기
[활동3] 창작 발표회
4
본시 평가 계획
영역
평가관점
척도
시기
평가방법
지식
이해
ㆍ자진모리 변형 장단을 표현할 수 있는가?
상ㆍ중ㆍ하
학습 활동 중
관찰법
ㆍ가사와 말 붙임새를 바꿀 수 있는가?
상ㆍ중ㆍ하
학습 활동 중
활동지
태도
ㆍ적극적인 태도로 활동에 참여하는가?
상ㆍ중ㆍ하
학습 활동 중
관찰법
5
활동지
음악
5-1
4. 얼씨구 좋네!
(1) 떡노래
교과서44~45쪽
1. 떡 노래의 가사에 넣으면 좋을만한 떡의 이름을 적어보세요.
떡의 이름
2. 1번에 적은 떡 이름을 참고하여, ‘떡 노래’ 둘째 단의 가사를 참신하게 바꿔 보세요.
산중 사람은 칡가래떡- / 해변 사람은 갈파래떡-
↓
/
3. 2번에 적은 가사에 어울리게 말 붙임새를 만들어 정간보에 적어 보세요.
4. 아래 질문을 읽고 진솔하게 표시해 주세요.
스스로 평가 질문
↓맞다고 생각하는 곳에 ○ 표시해 주세요↓
자진모리 변형 장단을 구음으로 잘 표현할 수 있었다.
매우 그렇다 / 그렇다 / 보통 / 아니다 / 매우 아니다
가사와 말 붙임새를 참신하게 바꾸었다.
매우 그렇다 / 그렇다 / 보통 / 아니다 / 매우 아니다
수업에 적극적으로 참여하였다.
매우 그렇다 / 그렇다 / 보통 / 아니다 / 매우 아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