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
1. 문제제기
Ⅱ. 본론
1. 이론
2. 사례
3. 분석
Ⅲ. 결론
1. 초등 교육에 적용
Ⅳ. 참고문헌
1. 문제제기
Ⅱ. 본론
1. 이론
2. 사례
3. 분석
Ⅲ. 결론
1. 초등 교육에 적용
Ⅳ. 참고문헌
본문내용
보기에 일시적으로 경제력을 증진시킴으로서 우리에게 유용한 듯 보이지만 장기적으로는 우리 경제를 보이지 않는 뿌리로부터 침식해가고 있는 것이므로 사회 전체의 유용성과 쾌락의 측면에서 보면 결코 선하다고 볼 수 없다. 따라서 바로잡아야한다고 보는 것이다. 이러한 입장을 쾌락의 양만이 아닌 질의 문제도 쾌락의 추구에 포함시켜야하며 도덕적 행위에 있어서 외부적 제재를 언급했던 벤담에서 더 나아가 내적인 양심의 제재를 강조했던 밀의 공리주의의 관점에서 보자면 이타심에 근거한 공익과 정의의 실현에도 어긋남이 분명해 보인다.
반대 측면에서는 ②번, ③번, 그리고 ⑤번 입장이 공리주의적 관점으로 해석될 수 있다. 삼성은 우리나라의 대표 기업이므로 삼성이 특검의 대상이 되면 대외 이미지에 손상을 입고 수출 등에 영향을 미쳐 전반적인 경제 하락이 예상되므로 우리나라 국민들의 경제 생활에 유용하지 않기 때문에 특검을 도입해서는 안된다고 주장한다. 이와 같이 주장하는 사람들은 물론 삼성의 비자금 문제나 뇌물 수수가 사실로 밝혀질 경우 이들이 도덕적으로 옳지 못한 행위를 했다는 것을 부정하지는 않을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비도덕적 행위를 처벌하느냐 마느냐의 문제를 두고서는 특검을 통해 처벌했을 경우의 결과와 특검을 도입하지 않고 문제를 덮고 넘어갔을 경우의 결과 즉, 행위의 결과가 얼마나 유용한지를 비교한 것이다. 삼성 특검을 반대하는 사람들은 대부분 삼성 특검을 실시하지 않는 것이 전반적으로 유용성이 증대된다고 판단한 것이다.
Ⅲ. 결론
1. 초등교육에 적용하기
공리주의는 칸트나 아리스토텔레스의 이론보다 비교적 아이들에게 쉽게 이해시킬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한다. 여기서 공리주의를 아이들에게 가르친다는 것은 아이들에게 공리주의의 이론을 가르친다는 것도 아니고 아이들을 공리주의자로 키우겠다는 것도 아니다. 사회로 가는 통로라고 볼 수 있는 학교라는 공동체 안에서 생활할 때 공동체적 윤리와 연관시켜 지도하면 공리주의적인 태도, 더 나아가 이타적인 자세에 대해 지도할 수 있을 것이라고 본다. 자신이 어떤 행동을 했을 때 그 행위가 가져올 결과가 많은 사람들에게 이익을 가져다 줄 수 있는 것인지에 대하여 고려해보게 한다면 현대 사회에 만연해있는 이기주의를 극복할 수 있는 대안이 될 수도 있을 것이다. 예를 들면 학기 초에 학급 규칙을 정하는 과정에서 공리주의적인 사고를 적용할 수 있을 것이다. 주의해야할 점은 공리주의를 잘못 적용하여 소수의 희생을 무시하거나 당연하게 여기는 태도를 지니게 될 점을 경계해야한다는 것이다. 초등학교 고학년 학생들에게는 공리주의와 더불어 롤즈의 정의론에서 나오는 소수의 희생을 최소화시킨다는 개념을 함께 적용시키면 더 좋을 것이라고 생각한다.
Ⅳ. 참고문헌
* 네이버 블로그 http://blog.naver.com/alahalahalah?Redirect=Log&logNo=50030809062
* 다음 까페 ‘삼성 개혁을 위한 시민 모임’ http::// cafe.daum.net/ssrcm
* 경제 5단체 2007.11.16 자 성명서
반대 측면에서는 ②번, ③번, 그리고 ⑤번 입장이 공리주의적 관점으로 해석될 수 있다. 삼성은 우리나라의 대표 기업이므로 삼성이 특검의 대상이 되면 대외 이미지에 손상을 입고 수출 등에 영향을 미쳐 전반적인 경제 하락이 예상되므로 우리나라 국민들의 경제 생활에 유용하지 않기 때문에 특검을 도입해서는 안된다고 주장한다. 이와 같이 주장하는 사람들은 물론 삼성의 비자금 문제나 뇌물 수수가 사실로 밝혀질 경우 이들이 도덕적으로 옳지 못한 행위를 했다는 것을 부정하지는 않을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비도덕적 행위를 처벌하느냐 마느냐의 문제를 두고서는 특검을 통해 처벌했을 경우의 결과와 특검을 도입하지 않고 문제를 덮고 넘어갔을 경우의 결과 즉, 행위의 결과가 얼마나 유용한지를 비교한 것이다. 삼성 특검을 반대하는 사람들은 대부분 삼성 특검을 실시하지 않는 것이 전반적으로 유용성이 증대된다고 판단한 것이다.
Ⅲ. 결론
1. 초등교육에 적용하기
공리주의는 칸트나 아리스토텔레스의 이론보다 비교적 아이들에게 쉽게 이해시킬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한다. 여기서 공리주의를 아이들에게 가르친다는 것은 아이들에게 공리주의의 이론을 가르친다는 것도 아니고 아이들을 공리주의자로 키우겠다는 것도 아니다. 사회로 가는 통로라고 볼 수 있는 학교라는 공동체 안에서 생활할 때 공동체적 윤리와 연관시켜 지도하면 공리주의적인 태도, 더 나아가 이타적인 자세에 대해 지도할 수 있을 것이라고 본다. 자신이 어떤 행동을 했을 때 그 행위가 가져올 결과가 많은 사람들에게 이익을 가져다 줄 수 있는 것인지에 대하여 고려해보게 한다면 현대 사회에 만연해있는 이기주의를 극복할 수 있는 대안이 될 수도 있을 것이다. 예를 들면 학기 초에 학급 규칙을 정하는 과정에서 공리주의적인 사고를 적용할 수 있을 것이다. 주의해야할 점은 공리주의를 잘못 적용하여 소수의 희생을 무시하거나 당연하게 여기는 태도를 지니게 될 점을 경계해야한다는 것이다. 초등학교 고학년 학생들에게는 공리주의와 더불어 롤즈의 정의론에서 나오는 소수의 희생을 최소화시킨다는 개념을 함께 적용시키면 더 좋을 것이라고 생각한다.
Ⅳ. 참고문헌
* 네이버 블로그 http://blog.naver.com/alahalahalah?Redirect=Log&logNo=50030809062
* 다음 까페 ‘삼성 개혁을 위한 시민 모임’ http::// cafe.daum.net/ssrcm
* 경제 5단체 2007.11.16 자 성명서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