두개내압 상승 (Increased intracranial pressure IICP)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두개내압 상승 (Increased intracranial pressure IICP)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 혈종 제거 혹은 뇌조직 일부 제거
③ 뇌실 천자 또는 단락
8. 간호
▶ 진단적 간호
① 의식수준,뇌압상승및 뇌부종과 관련된 증상증후,활력증후,동맥혈 가스,산소포화도,심전 도,두개골 CT및 MRI를 실시한다.
▶ 치료적교육적 간호
① 뇌압상승의 치료목표를 설명
치료목표는 원인제거,뇌압감소,뇌혈류 증가,괴사조직 제거,탈뇌증후군 경감에 있다.
② 뇌압상승과 뇌부종 감소를 위한 간호실시
고삼투성제제 투여:20%mannitol(뇌의 수분함량을 감소시켜 뇌압을 감소시킴)
이뇨제 투여(frosemide)
corticosteroid투여(뇌부종 감소를 위해 매 6시간 마다 정맥으로 주입하는데,스테로이드 뇌 수액 생산을 억제하고,혈관성 부종을 감소 시키는데 효과적
침상머리를 30~45°정도 상승시켜 두 개강으로부터 정맥혈의 배액을 증진시킴
Barbiturate투여:뇌의 대사율과 뇌의 산소 소모량을 감소시키기 위해 뇌압상승이 심할 때 사용
모든 간호중재는 뇌압이 원상태로 돌아갈수 있는 시간을 주기 위해 가능한 한 간격을 길 게 두고 실시,밤에는 수면 방해하지 않도록 함.
뇌압 측정기구를 사용할 경우에는 엄격한 무균법을 유지
경련예방:경련은 뇌압을 상승시키고,산소와 포도당을 많이 소모하므로 발생하면 항경련 제르 투여
③ 뇌혈류를 감소시키기 위한 간호 실시
신경근 차단제 투여
목을 조이는 것이 있는지 확인하여 경정맥을 통한 정맥흐름 방해하지 않도록
머리와 목이 똑바로 유지되돌고 한다
뇌혈량이 과다하지 않도고 수분 섭취량,수액의 정맥주입을 조절
체온을 자주 측정:체온상승은 뇌세포의 산소와 포도당을 요구하고 두 개내로 혈액을 증 가시킴
④ 두통이 있을때
의식이 있으면 침상머리를 상승시키는 체위유지,진통제 투여,안위요법
⑤ 부정맥,고혈압일때
혈압측정,항부정맥제나 항고혈압제를 투여
⑥ 재활간호에 대한 가족,간병인에게 교육
EVD : 뇌실외 배액술(Extraventricular drainage)
1. EVD
: EVD는 뇌실 내의 뇌척수액을 체외로 배출시켜 두 개내압을 낮추기 위해 사용한다. 영구 적 혹은 일시적인 방법으로 사용한다.
2. 목적
뇌실 내출혈이나 혈압으로 인한 뇌출혈시 피가 뇌실까지 확산되어 뇌실에서 뇌척수액 흐 름이 막힌 경우 응급으로 자주 시행.
뇌실은 뇌안의 물주머니와 같아서 여기서 만들어진 물(뇌척수액)이 정상적으로 흐르지 못하고 그 흐름이 막힐 경우 물주머니가 커지게 되고 이로 인해 뇌의 압력이 갑자기 상 승하게 되는데 이때, 물을 뇌 밖으로 빼주어 이를 해결하기 위해 시행.
3. 원인
aneurysm
a tumor
a serious head injury
4. 합병증
infection
bleeding
압력이 상승된 경우와 나사 끝이 뇌물질에 닿은 경우 파형과 압력수치가 정확하지 않을 수 있음.
뇌 합병증을 평가하는데 있어 신뢰성을 떨어뜨릴 수 있음.
지주막하강에 삽입한 경우 뇌척수액 유출이 가능함.
5. 간호
①. 철저한 무균술을 지킨다.
②. 배액되는 뇌척수액의 양과 색깔을 규칙적으로 관찰하고 기록한다.
(정상 뇌척수액은 무색이며 시간당 약 20ml씩 생성되고, 일일 배액량을 150~250ml이다.)
③. 연결된 부위가 빠졌을 경우 연결부위 윗부분을 막은 다음 소독된 배액세트로 교환해준 다.
④. 환자가 앉거나 이동할 때에는 배액관을 잠근다.
⑤. 매일 1회 시술 부위를 소독하고 거즈를 교환한다.
⑥. 신경계 상태를 자주 평가하고 뇌내압 상승은 의사에게 보고한다.
⑦. 침상머리를 상승시킨다.
⑧. 체위변경 시 도관에 긴장이 가해지지 않도록 한다.
⑨. 사고로 연결이 분리되면 재연결 시키지 않고 환자의 머리쪽 가까운 곳에 튜브를 잠그고 의사에게 알린다.
⑩. 환자의 머리높이는 배액 병의 높이와 일정한 수준으로 유지하고 체위변경이나 이상 시 에는 도관을 잠근다.
⑪. 뇌실 내로 배액이 역류되지 않도록 주의한다.
⑫. 도관을 세척할 때는 멸균생리식염수를 사용하고 무균술을 지킨다.
6. 절차
①. 시술부위를 삭모한다.-감염을 예방하기 위함이다.
②. 국소마취를 하고 천공기(perforator)로 Burr hole을 뚫는다.
③. Dilator로 구멍을 넓힌 후 카테터에 스타일렛을 끼워 뇌실까지 넣는다.
④. 스타일렛을 빼고 뇌실내 압력을 잰 다음 필요시 검체를 채취하고 멸균배액관과 배액주 머니를 연결한다.(대부분의 배액계-collecting system-에는 일방향성 판막이 있어서 뇌 척수액이나 공기의 역류를 예방한다.)
  • 가격1,5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19.02.24
  • 저작시기2019.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08267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