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포트폴리오 분석기법
I. PPM
(1) 사업(제품)의 구분과 전략운영
1/ 별제품 : 고성장, 고점유
2/ 물음표 제품 : 고성장, 저점유
3/ 젖소제품 : 저성장, 고점유
4/ 개제품 : 저성장, 저점유
(2) PPM기법의 적용
II. GE기법
* 참고문헌
I. PPM
(1) 사업(제품)의 구분과 전략운영
1/ 별제품 : 고성장, 고점유
2/ 물음표 제품 : 고성장, 저점유
3/ 젖소제품 : 저성장, 고점유
4/ 개제품 : 저성장, 저점유
(2) PPM기법의 적용
II. GE기법
* 참고문헌
본문내용
4분면은 제품의 성장기에 해당된다.
그리고 지속적인 성장의 결과 높은 수준의 시장점유율을 확보하였으나 시장의 성장가능성에 한계를 나타내는 '젖소'의 3/4분면은 제품의 성숙기에 해당된다.
시장점유율과 성장가능성이 모두 낮은 4/4분면의 '개'는 도입기에서 성장기로 진행하지 못하고 갑자기 소멸되거나, 시장에서의 철수를 준비해야 하는 쇠퇴기에 해당된다. 이를 그림으로 나타내면 아래의 그림과 같다.
<그림> PPM과 제품수명주기
II. GE기법
GE기법은 General Electric사가 BCG기법(PPM)의 결함을 극복하기 위하여 McKinsey사와 공동으로 3x3 매트릭스 9개 칸으로 된 전략적 사업계획 그리드(SBU planning grid)라는 GE Mathx를 개발하였다.
GE기법은 사업매력도와 사업강도의 2차원으로 구성되지만 각각의 차원은 가중치를 달리하는 여러 개의 지표로 된 복합척도로 되어 있다는 것이 특징이다. GE기법은 BCG기법에 비해 다음과 같은 특색을 지닌다.
1/ BCG기법이 시장점유율(X축)과 사업성장률(Y축)이라는 용어로 대표되는 데 반해, GE기법은 사업매력(industry attractiveness)과 사업강점(business strength)이라는 두 개의 축을 사용하고 있다.
2/ BCG기업에서는 4개의 그리드로 설명하지만 GE기법은 2개의 축을 각각 고 중 저의 세 단계로 구분함으로써 9개의 그리드를 이용하고 있다.
3/ BCG기법에서는 점유율과 성장률을 단일척도로 하는 데 반해 GE기법에서는 각각 여러 개의 요소를 사용하고 있다. 즉 사업매력은 시장규모, 시장성장률, 경쟁의 다양성, 경쟁구조, 수익성 등이고 사업 강점은 상대적인 시장점유율, 가격경쟁력, 기술수준, 시장에서의 기여도, 경영자의 능력 등 많은 요인에 의해 규정된다.
* 참고문헌
경영학 - 최수형/추교완 외 1명 저, 피앤씨미디어, 2013
2018 재미있는 경영학 워크북 - 최중락 저, 상경사, 2018
경영학의 이해 - 이규현 저, 학현사, 2018
조직과 인간관계론 - 이택호/강정원 저, 북넷, 2013
사례중심의 경영학원론 - 김명호 저, 두남, 2018
내일을 비추는 경영학 - 시어도어 레빗 저/정준희 역, 스마트비즈니스, 2011
경영학의 진리체계 - 윤석철 저, 경문사, 2012
국제경영학 - 김신 저, 박영사, 2012
경영학원론 - Gulati Mayo 외 1명 저, 카오스북, 2016
그리고 지속적인 성장의 결과 높은 수준의 시장점유율을 확보하였으나 시장의 성장가능성에 한계를 나타내는 '젖소'의 3/4분면은 제품의 성숙기에 해당된다.
시장점유율과 성장가능성이 모두 낮은 4/4분면의 '개'는 도입기에서 성장기로 진행하지 못하고 갑자기 소멸되거나, 시장에서의 철수를 준비해야 하는 쇠퇴기에 해당된다. 이를 그림으로 나타내면 아래의 그림과 같다.
<그림> PPM과 제품수명주기
II. GE기법
GE기법은 General Electric사가 BCG기법(PPM)의 결함을 극복하기 위하여 McKinsey사와 공동으로 3x3 매트릭스 9개 칸으로 된 전략적 사업계획 그리드(SBU planning grid)라는 GE Mathx를 개발하였다.
GE기법은 사업매력도와 사업강도의 2차원으로 구성되지만 각각의 차원은 가중치를 달리하는 여러 개의 지표로 된 복합척도로 되어 있다는 것이 특징이다. GE기법은 BCG기법에 비해 다음과 같은 특색을 지닌다.
1/ BCG기법이 시장점유율(X축)과 사업성장률(Y축)이라는 용어로 대표되는 데 반해, GE기법은 사업매력(industry attractiveness)과 사업강점(business strength)이라는 두 개의 축을 사용하고 있다.
2/ BCG기업에서는 4개의 그리드로 설명하지만 GE기법은 2개의 축을 각각 고 중 저의 세 단계로 구분함으로써 9개의 그리드를 이용하고 있다.
3/ BCG기법에서는 점유율과 성장률을 단일척도로 하는 데 반해 GE기법에서는 각각 여러 개의 요소를 사용하고 있다. 즉 사업매력은 시장규모, 시장성장률, 경쟁의 다양성, 경쟁구조, 수익성 등이고 사업 강점은 상대적인 시장점유율, 가격경쟁력, 기술수준, 시장에서의 기여도, 경영자의 능력 등 많은 요인에 의해 규정된다.
* 참고문헌
경영학 - 최수형/추교완 외 1명 저, 피앤씨미디어, 2013
2018 재미있는 경영학 워크북 - 최중락 저, 상경사, 2018
경영학의 이해 - 이규현 저, 학현사, 2018
조직과 인간관계론 - 이택호/강정원 저, 북넷, 2013
사례중심의 경영학원론 - 김명호 저, 두남, 2018
내일을 비추는 경영학 - 시어도어 레빗 저/정준희 역, 스마트비즈니스, 2011
경영학의 진리체계 - 윤석철 저, 경문사, 2012
국제경영학 - 김신 저, 박영사, 2012
경영학원론 - Gulati Mayo 외 1명 저, 카오스북, 2016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