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대인지각과 귀인
I. 인상형성이론 - 인상형성에 관한 심리학적 이론
1. 첫인상 효과
2. 일관성 원리
3. 중심특질과 주변특질
II. 귀인이론
1. 논리적 귀인
2. 자존적 귀인
3. 관찰자-행위자 효과
4. 통제의 환상
* 참고문헌
I. 인상형성이론 - 인상형성에 관한 심리학적 이론
1. 첫인상 효과
2. 일관성 원리
3. 중심특질과 주변특질
II. 귀인이론
1. 논리적 귀인
2. 자존적 귀인
3. 관찰자-행위자 효과
4. 통제의 환상
* 참고문헌
본문내용
으로 돌리고 반면에 긍정적인 성과는 주로 내부적 요인 즉 새로운 마케팅 캠페인, 신제품 개발, 새로운 기술도입으로 귀인하고 있다.
이러한 자존적 귀인은 타인에 대해서는 반대의 방향으로 나타난다. 즉 타인의 성공은 외부적 요인으로, 타인의 실패는 내부적 요인으로 귀인 하게 한다. 9)
3. 관찰자-행위자 효과(actor-observer bias)
자동차 판매원인 김씨의 판매실적이 나쁠 때, 그러한 판매수치에 대하여 행위자인 김씨와 관찰자인 동료나 상사의 귀인형태는 다르다. 대개 행위자인 김씨는 외부 탓으로 돌리고, 관찰자인 동료나 상사는 김씨의 내부 탓으로 돌리다. 왜 그럴까? 김씨는 한 달 동안 뛰어다니면서 자동차에 대한 고객의 불만이 높다는 것을 알았으며, 또한 아버지의 병환으로 병원에 자주 갔어야 했다. 그러나 외부 사람들은 이러한 사실들을 알 수 없었기 때문이다.
어떤 빌딩에 들어가서 수위에게 사무실이 어디냐고 물으니 퉁명스럽게 대답한다. 우리는 바로 "그 사람 참 불친절하군. 이라고 생각할 것이다. 그러나 수위는 자기의 행동을 외부 탓으로 돌린다. 하루에도 수십 번씩 사람들이 와서 묻는다는 것이다.
4. 통제의 환상(illusion of control)
인간은 어느 정도까지는 이 세상을 자기 마음대로 할 수 있다고 믿는 경향이 있다는 것이다. 다시 말해서 자기만 잘하면 모든 일이 잘 될 수 있다고 믿기 때문에 어떤 일의 결과의 원인을 외부보다는 자신의 내부 탓으로 돌리려는 경향도 있다는 것이다. 고 3 수험생이 낙방을 하고 모든 것을 자기 탓으로 돌린다거나, 자연재해로 집을 잃고 이사하지 않아서 그렇다고 믿거나, 암 환자가 흡연과 운동부족 그리고 음식습관 탓으로 돌리는 경우가 많다는 사실에서 이러한 예를 볼 수 있다. 이런 경우는 과도하게 자신에게 내부귀인 하는 타입이라 할 수 있다.
* 참고문헌
교육심리학 : 학습심리학 / 이웅 저 / 한국교육기획 / 2009
조직과 인간관계론 - 이택호/강정원 저, 북넷, 2013
발달심리학 / 곽금주 저 / 학지사 / 2016
심리학개론 / 이명랑 저 / 더배움 / 2017
인간행동과 사회환경 - 고명수/이승현 외 3명 저, 정민사, 2018
상담심리학 / 이수연 저 / 양성원 / 2017
성격심리학 / 권석만 저 / 학지사 / 2017
발달심리학 : 전생애 인간발달 / 정옥분 저 / 학지사 / 2014
심리학의 이해 / 방선욱 저 / 교육과학사 / 2003
이러한 자존적 귀인은 타인에 대해서는 반대의 방향으로 나타난다. 즉 타인의 성공은 외부적 요인으로, 타인의 실패는 내부적 요인으로 귀인 하게 한다. 9)
3. 관찰자-행위자 효과(actor-observer bias)
자동차 판매원인 김씨의 판매실적이 나쁠 때, 그러한 판매수치에 대하여 행위자인 김씨와 관찰자인 동료나 상사의 귀인형태는 다르다. 대개 행위자인 김씨는 외부 탓으로 돌리고, 관찰자인 동료나 상사는 김씨의 내부 탓으로 돌리다. 왜 그럴까? 김씨는 한 달 동안 뛰어다니면서 자동차에 대한 고객의 불만이 높다는 것을 알았으며, 또한 아버지의 병환으로 병원에 자주 갔어야 했다. 그러나 외부 사람들은 이러한 사실들을 알 수 없었기 때문이다.
어떤 빌딩에 들어가서 수위에게 사무실이 어디냐고 물으니 퉁명스럽게 대답한다. 우리는 바로 "그 사람 참 불친절하군. 이라고 생각할 것이다. 그러나 수위는 자기의 행동을 외부 탓으로 돌린다. 하루에도 수십 번씩 사람들이 와서 묻는다는 것이다.
4. 통제의 환상(illusion of control)
인간은 어느 정도까지는 이 세상을 자기 마음대로 할 수 있다고 믿는 경향이 있다는 것이다. 다시 말해서 자기만 잘하면 모든 일이 잘 될 수 있다고 믿기 때문에 어떤 일의 결과의 원인을 외부보다는 자신의 내부 탓으로 돌리려는 경향도 있다는 것이다. 고 3 수험생이 낙방을 하고 모든 것을 자기 탓으로 돌린다거나, 자연재해로 집을 잃고 이사하지 않아서 그렇다고 믿거나, 암 환자가 흡연과 운동부족 그리고 음식습관 탓으로 돌리는 경우가 많다는 사실에서 이러한 예를 볼 수 있다. 이런 경우는 과도하게 자신에게 내부귀인 하는 타입이라 할 수 있다.
* 참고문헌
교육심리학 : 학습심리학 / 이웅 저 / 한국교육기획 / 2009
조직과 인간관계론 - 이택호/강정원 저, 북넷, 2013
발달심리학 / 곽금주 저 / 학지사 / 2016
심리학개론 / 이명랑 저 / 더배움 / 2017
인간행동과 사회환경 - 고명수/이승현 외 3명 저, 정민사, 2018
상담심리학 / 이수연 저 / 양성원 / 2017
성격심리학 / 권석만 저 / 학지사 / 2017
발달심리학 : 전생애 인간발달 / 정옥분 저 / 학지사 / 2014
심리학의 이해 / 방선욱 저 / 교육과학사 / 2003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