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들어가는 말
Ⅱ. 본론
1. 여름 성경 학교
2. 교회 놀이방 시설과 유치원
3. 전문직으로써의 기독교 교육
4. 평신도 사역/ 평신도 갱신
5. 사립학교
6. 여성들의 운동
Ⅲ. 나가는 말
Ⅱ. 본론
1. 여름 성경 학교
2. 교회 놀이방 시설과 유치원
3. 전문직으로써의 기독교 교육
4. 평신도 사역/ 평신도 갱신
5. 사립학교
6. 여성들의 운동
Ⅲ. 나가는 말
본문내용
이었다. 여성에서 적절하다 고 간주되는 분야에 기회들은 한정되어 있었다. 주일 학교 선생님, 여성 선교사회 자원봉사자, 그리고 기타 등등 이었다. 일부 교회들은 여전히 여성들을 이러한 직무에만 한정한다. 하지만 많은 교회들은 하나님이 그들 개개인에게 축복을 내려 주셨듯 이제는 여성들이 제한없는 가능성들을 만들어가면서 일하도록 장려하고 있다. 여성들은 또한 성직자라고 인정된 기독교 교육자와 같은 봉사직에서 더 많은 기회를 찾고 있으며 기독교 교육에서 전반적인 선택을 찾고 있는 중이다. 한때 여성들은 선교사나 기독교 교육자로써 인정받기도 했다. 하지만 이제 그들은 다른 성직자의 길을 따라가고 있다. 대부분의 여성들은 그들 자신과 그들 교회의 뜻에 의해 제한된 성직자로써 하나님의 부름을 따르는 기회를 찾고 있다. 여성들은 평신도이든 성직자이든 기독교 교육자로써 봉사를 위한 교육이 성장하고 있고 필요성을 경험해왔다.
신학대학이나 교육학부에 등록한 여성들의 수가 엄청나게 증가 해왔다. 많은 이들이 40년이나 50년 전에는 그들에게 열려져 있지 않았던 학위 프로그램에 등록했다. 일부 신학대학과 신학 대학원은 여성연구에 대한 과정이나 학위도 제공하고 있다.
기독교 교육에서 남성들에 대한 여성들의 이런 움직임의 효과는 다양했다. 어떤 남성들은 기독교 교육 내 여성들의 이러한 권한에 위협을 받기도 했고, 또 다른 남성들은 이전까지는 여성들의 분야라고 간주되어 왔었던 기독교 교육자로써의 역할을 할 수 있도록 하는 권한을 받기도 했다.
Ⅲ. 나가는 말
한국교회는 사실상 마이너스 성장 시대로 접어들었다. 1970, 80년대 산업화 물결을 타고 수직 성장이라는 놀랄 만한 기록을 세웠던 한국 교회가 90년대 들어 성장 둔화 현상을 보이다가 최근에는 성장 감소 현상이 통계상으로 나타났다. 최문정, 20세기 기독교교육운동을 통해서 본 21세기 한국 기독교교육을 위한 제안(장로회신학대학교 신학대학원, 2004), p.66.
게다가 한국교회의 성장 감소와 더불어 교회학교 또한 ‘성장 부재의 사각지대’로 불릴 만큼 어려움을 겪고 있다. ‘교회학교 학생이 줄고 있다’는 말은 더 이상 교회에 충격을 주지 않는다. 당연한 것으로 받아들이기 때문이다. 총회 통계위원회가 최근 발표한 통계자료에 따르면 유아부에서 청년부까지 교회학교 부서 전체적으로 약 2만 명이 감소했다고 한다. 특히 중고등부 학생들은 5년 사이 7만 명 이상 감소한 것으로 드러나 충격을 던져 주고 있다. 이상훈, 교회학교 부서별 증감 현황(한국기독공보, 2003), p.6.
이러한 현상들이 포스트모더니즘을 살아가는 이 시대에 교회 속에 이러한 문제들이 많이 나타나고 있다고 하지만 시대에 따라 문제는 존재해왔다. 극복하기 어려운 일이라 보고 도전하지 않았다면 지금의 기독교 교육의 발전이 없었을 것이다.
20세기에 운동을 통해 21세기를 교육하고 교육자로 서기 원하는 우리는 이 시대에 놓여있는 문제들과 상황 앞에 뒤로 물러서는 것이 아니라 문제와 상황에 맞서 문제의 해결점을 찾고 새로운 운동을 통해서 개혁하는 개혁자들이 되어야 할 것이다.
※ 참고문헌
유정희. 기독교 유치원의 성경적 통합교육과정 설계. 총신대학교 대학원, 2006.
이상훈. 교회학교 부서별 증감 현황. 한국기독공보, 2003.
황신기. 교육방법론. 서울 : 도서출판 영문, 1994.
※ 참고논문
정종진, 효과적인 인적관리와 교회성장을 위한 평신도 제자훈련 방안 연구. 총신대학교 선교대학원, 2005.
최문정. 20세기 기독교교육운동을 통해서 본 21세기 한국 기독교교육을 위한 제안. 장로회신학대학교 신학대학원, 2004.
※ 기타
네이버 백과사전
위키 백과사전
신학대학이나 교육학부에 등록한 여성들의 수가 엄청나게 증가 해왔다. 많은 이들이 40년이나 50년 전에는 그들에게 열려져 있지 않았던 학위 프로그램에 등록했다. 일부 신학대학과 신학 대학원은 여성연구에 대한 과정이나 학위도 제공하고 있다.
기독교 교육에서 남성들에 대한 여성들의 이런 움직임의 효과는 다양했다. 어떤 남성들은 기독교 교육 내 여성들의 이러한 권한에 위협을 받기도 했고, 또 다른 남성들은 이전까지는 여성들의 분야라고 간주되어 왔었던 기독교 교육자로써의 역할을 할 수 있도록 하는 권한을 받기도 했다.
Ⅲ. 나가는 말
한국교회는 사실상 마이너스 성장 시대로 접어들었다. 1970, 80년대 산업화 물결을 타고 수직 성장이라는 놀랄 만한 기록을 세웠던 한국 교회가 90년대 들어 성장 둔화 현상을 보이다가 최근에는 성장 감소 현상이 통계상으로 나타났다. 최문정, 20세기 기독교교육운동을 통해서 본 21세기 한국 기독교교육을 위한 제안(장로회신학대학교 신학대학원, 2004), p.66.
게다가 한국교회의 성장 감소와 더불어 교회학교 또한 ‘성장 부재의 사각지대’로 불릴 만큼 어려움을 겪고 있다. ‘교회학교 학생이 줄고 있다’는 말은 더 이상 교회에 충격을 주지 않는다. 당연한 것으로 받아들이기 때문이다. 총회 통계위원회가 최근 발표한 통계자료에 따르면 유아부에서 청년부까지 교회학교 부서 전체적으로 약 2만 명이 감소했다고 한다. 특히 중고등부 학생들은 5년 사이 7만 명 이상 감소한 것으로 드러나 충격을 던져 주고 있다. 이상훈, 교회학교 부서별 증감 현황(한국기독공보, 2003), p.6.
이러한 현상들이 포스트모더니즘을 살아가는 이 시대에 교회 속에 이러한 문제들이 많이 나타나고 있다고 하지만 시대에 따라 문제는 존재해왔다. 극복하기 어려운 일이라 보고 도전하지 않았다면 지금의 기독교 교육의 발전이 없었을 것이다.
20세기에 운동을 통해 21세기를 교육하고 교육자로 서기 원하는 우리는 이 시대에 놓여있는 문제들과 상황 앞에 뒤로 물러서는 것이 아니라 문제와 상황에 맞서 문제의 해결점을 찾고 새로운 운동을 통해서 개혁하는 개혁자들이 되어야 할 것이다.
※ 참고문헌
유정희. 기독교 유치원의 성경적 통합교육과정 설계. 총신대학교 대학원, 2006.
이상훈. 교회학교 부서별 증감 현황. 한국기독공보, 2003.
황신기. 교육방법론. 서울 : 도서출판 영문, 1994.
※ 참고논문
정종진, 효과적인 인적관리와 교회성장을 위한 평신도 제자훈련 방안 연구. 총신대학교 선교대학원, 2005.
최문정. 20세기 기독교교육운동을 통해서 본 21세기 한국 기독교교육을 위한 제안. 장로회신학대학교 신학대학원, 2004.
※ 기타
네이버 백과사전
위키 백과사전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