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덕의 심판관 양심
본 자료는 미리보기가 준비되지 않았습니다.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도덕의 심판관 양심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양심’을 말하기까지
Ⅱ. 버틀러의 ‘양심론’
1. 인간 본성의 내적 구조
2. 양심
3. 양심의 가책
Ⅲ. 프로이트의 ‘초자아’
Ⅳ. 맹자의 ‘사단’
Ⅴ. 사례 제시
Ⅵ. 사례 분석
Ⅶ. 교육에의 적용

본문내용

스트레스를 심하게 받는 때일 것이다. 그런 때에 우리는 입학함과 동시에 무감독 시험을 치렀고 곧 이를 당연시하게 되었다. 간간이 각 학급의 어떤 친구가 컨닝을 했다라든가, 옆 학교는 선생님이 감독을 해도 집단 컨닝을 한다더라는 소문이 돌기는 했었다. 하지만 그런 풍문을 접할 때 우리가 갖게 되는 생각은 억울하거나 부럽다기보다 우리 자신에 대한 뿌듯한 자부심이었다. 이것은 학교 전체 차원에서의 양심교육의 한 방안이 될 수 있을 것이다.
ⅱ) 교육청 또는 사회 차원의 양심 교육 : 우선 ‘양심’, ‘양심교육’에 대해 구태의연하고 개인적인 것으로 치부하려는 분위기를 바꿔야 할 것이다. 광주광역시 양산초등학교에 공모제 초빙교장으로 부임한 정남진(61) 교장은 청렴 교육과정 편성과 각종 교재를 개발하여 실천 위주의 교육 실현에 기여한 것으로 유명해 졌다고 한다. 여러 교사들이 연구하여 청렴교재 ‘푸름이와 놀자’를 집필했는데, 각 학년별 교육과정 분석에 기초하여 저학년용(1~2학년), 중학년용(3~4학년), 고학년용(5~6학년)으로 구분하였기 때문에 학생들의 발달단계에 따라 범교과적으로 가르칠 수 있게 된 것이다. 뿐만 아니라 양심윤리의 개념을 아이들에게 친숙한 만화나 UCC로 응모하고 제작하기도 한다. 광주광역시 교육청에서도 이런 모범사례를 적극 받아들여 타학교에도 전파한다고 하는데 이와 같은 교육청과 교육기관이 양심적인 어린이 양성에 관심을 갖고 이에 적합한 교육과정 등을 편성하는 것이 바람직한 한 방안이라고 생각한다.
ⅲ) 교사 차원의 양심 교육 : 교사는 누구보다도 아이들과 직접 접하는 시간이 많은 만큼, ‘도덕’에 대해서, 또 ‘양심’에 대해서, ‘교육’에 대해서 충분한 지적 배경과 신념을 정립해야 할 것이다. 뿐만 아니라 초등학생의 경우 아직 인지적 발달이 충분히 이뤄지지 않았음을 고려하여, 다양한 교수법을 개발해야 할 것이다. 예를 들어 ‘양심’, ‘정직’등의 개념을 가르치고자 할 때, 이미 이 개념은 어린 아이들에게도 낯익은 단어일 것이다. 이 개념들을 어떻게 하면 실제적이고 구체적 맥락에서 접근하도록 하여 아이들의 가슴에 진정한 울림이 있도록 재구성해서 전달하는가는 전적으로 교사에게 달렸다고 생각한다. 강의식, 문답식, 토론식, 협동 학습, 역할 놀이, 봉사활동 학습, 시뮬레이션 게임 등 다양한 교수기법이 쓰일 수 있을 것인데, 이 중에서도 특히 역할놀이와 시뮬레이션 게임의 기법이 주목할 만하다. 초등학생 아이들에게 직접적, 구체적, 활동적으로 “양심”에 대해서 접해 보고 고민하게끔 하는 교수법이 될 것이라고 생각한다. 특정하고도 구체적인 상황을 제시하고, 역할을 분담하여 맡게끔 하면서 여러 의사결정을 내려야 할 것이다. 예를 들어 때로는 뇌물을 주고받는 정치인 역할을 맡을 수도 있고, 엄마에게 거짓말하는 평범한 학생의 역할을 맡을 수도 있을 것이다. 그런 과정들을 거치면서, 자신의 양심의 존재를 확인하고 양심의 목소리에 귀 기울일 수 있는 어엿한 인격체가 될 수 있도록 이끌어 주는 것이 바로 교사의 역할이라고 생각한다.
  • 가격1,4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19.02.08
  • 저작시기2019.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08353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