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 론
Ⅱ. 본 론
·
1. 그리스도의 주재권의 개념과 근거
1) 그리스도의 주재권의 개념
2) 그리스도의 주재권의 근거
2. 그리스도의 주재권과 제자의 삶
1) 삶의 모든 영역에서의 그리스도의 주재권 인정 2) 자기 부인, 자기 십자가의 길
3) 성령 충만, 예수 충만
3. 그리스도의 주재권과 제자로서의 삶의 순종
1) 불순종하는 자아와 순종하도록 도우시는 하나님
2) 그리스도의 주재권에 구체적으로 순종하는 성도의 삶
4. 결 론
참고문헌
Ⅱ. 본 론
·
1. 그리스도의 주재권의 개념과 근거
1) 그리스도의 주재권의 개념
2) 그리스도의 주재권의 근거
2. 그리스도의 주재권과 제자의 삶
1) 삶의 모든 영역에서의 그리스도의 주재권 인정 2) 자기 부인, 자기 십자가의 길
3) 성령 충만, 예수 충만
3. 그리스도의 주재권과 제자로서의 삶의 순종
1) 불순종하는 자아와 순종하도록 도우시는 하나님
2) 그리스도의 주재권에 구체적으로 순종하는 성도의 삶
4. 결 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께 순종하기 위해서 기도와 말씀에 집중하고 하나님께로 나아가는가 하는 것이다. 우리가 진정으로 정한 마음을 갖고서 자신의 죄와 무기력함을 인정하고 하나님의 도우심을 간구하고 기도할 때에 하나님께서 도우시는 것이다.
2) 그리스도의 주재권에 구체적으로 순종하는 성도의 삶
그리스도의 주재권이 믿는 자들의 삶에 구현된다고 할 때에 막연하게 추상적으로 언급되는 것을 경계해야 한다. 예를 들자면, 그저 기도와 봉사를 조금 열심히 하면서 말로만 주님을 사랑하고 신뢰한다고 하는 것이다. 세상에서 얻는 물질을 자신과 자신의 가족을 위해서는 풍성하게 사용하면서도 주와 복음을 위하는 일을 위해서는 인색하게 사용한다면, 이것은 그리스도의 주재권에 순종하는 삶과는 거리가 먼 것이다. 기도한다고 하지만 간절한 소원이 없이, 그저 조금 열심히 하는 정도로 자족하면서 제자의 삶을 살아간다고 자위한다면, 이런 신앙생활에는 하나님이 주시는 진정한 영적 만족과 평안과 행복감도 없을 것이며, 성령 충만, 예수 충만을 기대하기는 힘든 것이다.
따라서, 물질을 사용할 때도 이기적이고 탐욕적인 생각을 버리고 주와 복음을 위해서 적극적으로 사용하면서 하늘나라에 보화를 쌓아야 하는 것이다. 기도와 말씀에 집중하되 날마다 간절한 영적 갈급함을 갖고서 다윗과 같이 하나님의 말씀과 기도에 집중하는 것이 필요하다.
순종은 주재권의 결정과 밀접한 관련을 맺고 있다. 이해타산적인 순종은 진정한 순종이 아니다. 주고받기 식의 순종이나 조건부 순종도 진정한 순종이 아니다.
일본 네비게이토 선교회 동역자였던 프랜시스 M. 코스그로브
는, “내가 원하는 것을 하나님께서 주시든지 안주시든지 상관없이 나는 하나님께서 원하시는 것은 무엇이든지 하나님께 드리겠다.”는 단계의 순종이 진정한 순종이라고 하였다. 이러한 순종이 실질적으로 그리스도의 주재권을 인정하는 것이다. 우리의 구주이시고 우리를 다스리시는 그리스도 예수님께서도 하나님의 뜻에 전적으로 순종하시기 위해서 겟세마네 동산에서 탄식과 눈물로서 하나님 앞에 간절한 기도를 올렸다는 것을 잊지 말아야 할 것이다(눅22:41-44).
Ⅲ. 결 론
예수 그리스도의 높으신 지위와 그가 하신 아름답고 위대하신 일은 그가 우리 인생들을 다스리시는 주재권의 명백한 근거가 되는 것이다. 그리스도의 주재권에 대한 순종은 부분적이거나 일시적인 것이 아니다. 날마다 우리는 기도해야 한다. 제자는 항상 그의 심령 속에서 그리고 삶의 모든 영역에서 그리스도를 첫자리에 모셔야 한다. 이것은 제자의 길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것이며, 이것이 “하나님께 얼마나 쓸모 있는 사람이 될 것인가를 결정한다.”고 할 수 있다. 그리스도의 주재권을 인정하고 순종한다는 것은 “자신의 삶의 주인의 자리와 왕의 자리에 예수 그리스도를 모시는 것”이다. 이러할 때, 그의 영혼과 삶 속에 하나님께서 주시는 진정한 행복과 승리와 축복과 생명이 임한다.
- 참고 문헌 -
1. 프랜시스 M. 코스그로브, 「제자의 삶(ESSENTIALS OF DISCIPLESHIP)」(서울: 네비게이 토, 2002)
2. 조용기, 「3차원의 인생을 지배하는 4차원의 영성」(서울: 교회성장연구소, 2004)
3. 인터넷 자료
1) 제자의 삶 http://cafe.daum.net/jacobkost/9dX6/5
2) 제자와 주재권/弟子와 主宰權 (Disciples and Lordship)
http://cafe.daum.net/LOVELOVESHAKE/5eSF/55
3) 제9과 그리스도의 주재권 http://cafe.daum.net/kor1893/M3xi/312
4. 조용기. 「4차원의 영성」(서울: 교회성장연구소. 2004). pp.246-247.
2) 그리스도의 주재권에 구체적으로 순종하는 성도의 삶
그리스도의 주재권이 믿는 자들의 삶에 구현된다고 할 때에 막연하게 추상적으로 언급되는 것을 경계해야 한다. 예를 들자면, 그저 기도와 봉사를 조금 열심히 하면서 말로만 주님을 사랑하고 신뢰한다고 하는 것이다. 세상에서 얻는 물질을 자신과 자신의 가족을 위해서는 풍성하게 사용하면서도 주와 복음을 위하는 일을 위해서는 인색하게 사용한다면, 이것은 그리스도의 주재권에 순종하는 삶과는 거리가 먼 것이다. 기도한다고 하지만 간절한 소원이 없이, 그저 조금 열심히 하는 정도로 자족하면서 제자의 삶을 살아간다고 자위한다면, 이런 신앙생활에는 하나님이 주시는 진정한 영적 만족과 평안과 행복감도 없을 것이며, 성령 충만, 예수 충만을 기대하기는 힘든 것이다.
따라서, 물질을 사용할 때도 이기적이고 탐욕적인 생각을 버리고 주와 복음을 위해서 적극적으로 사용하면서 하늘나라에 보화를 쌓아야 하는 것이다. 기도와 말씀에 집중하되 날마다 간절한 영적 갈급함을 갖고서 다윗과 같이 하나님의 말씀과 기도에 집중하는 것이 필요하다.
순종은 주재권의 결정과 밀접한 관련을 맺고 있다. 이해타산적인 순종은 진정한 순종이 아니다. 주고받기 식의 순종이나 조건부 순종도 진정한 순종이 아니다.
일본 네비게이토 선교회 동역자였던 프랜시스 M. 코스그로브
는, “내가 원하는 것을 하나님께서 주시든지 안주시든지 상관없이 나는 하나님께서 원하시는 것은 무엇이든지 하나님께 드리겠다.”는 단계의 순종이 진정한 순종이라고 하였다. 이러한 순종이 실질적으로 그리스도의 주재권을 인정하는 것이다. 우리의 구주이시고 우리를 다스리시는 그리스도 예수님께서도 하나님의 뜻에 전적으로 순종하시기 위해서 겟세마네 동산에서 탄식과 눈물로서 하나님 앞에 간절한 기도를 올렸다는 것을 잊지 말아야 할 것이다(눅22:41-44).
Ⅲ. 결 론
예수 그리스도의 높으신 지위와 그가 하신 아름답고 위대하신 일은 그가 우리 인생들을 다스리시는 주재권의 명백한 근거가 되는 것이다. 그리스도의 주재권에 대한 순종은 부분적이거나 일시적인 것이 아니다. 날마다 우리는 기도해야 한다. 제자는 항상 그의 심령 속에서 그리고 삶의 모든 영역에서 그리스도를 첫자리에 모셔야 한다. 이것은 제자의 길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것이며, 이것이 “하나님께 얼마나 쓸모 있는 사람이 될 것인가를 결정한다.”고 할 수 있다. 그리스도의 주재권을 인정하고 순종한다는 것은 “자신의 삶의 주인의 자리와 왕의 자리에 예수 그리스도를 모시는 것”이다. 이러할 때, 그의 영혼과 삶 속에 하나님께서 주시는 진정한 행복과 승리와 축복과 생명이 임한다.
- 참고 문헌 -
1. 프랜시스 M. 코스그로브, 「제자의 삶(ESSENTIALS OF DISCIPLESHIP)」(서울: 네비게이 토, 2002)
2. 조용기, 「3차원의 인생을 지배하는 4차원의 영성」(서울: 교회성장연구소, 2004)
3. 인터넷 자료
1) 제자의 삶 http://cafe.daum.net/jacobkost/9dX6/5
2) 제자와 주재권/弟子와 主宰權 (Disciples and Lordship)
http://cafe.daum.net/LOVELOVESHAKE/5eSF/55
3) 제9과 그리스도의 주재권 http://cafe.daum.net/kor1893/M3xi/312
4. 조용기. 「4차원의 영성」(서울: 교회성장연구소. 2004). pp.246-247.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