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찰과 실천을 동반하지 않는 교리중심으로 전달되기 때문이라고 설명하고 있다.
또한 교회교육은 성장 중심이 아닌 복음의 본질인 그리스도의 십자가와 부활의 사건으로 돌아가 교회가 세워진 존재 이유는 전적으로 하나님의 부르심임을 깨닫는 것에 있음을 상기시키고 있다. 이는 올바른 선교교육과 제자화를 통해 교회 성장의 교육을 극복할 수 있음을 제시하는 것이다. 끝으로 학교교육의 형태와 같은 교수자 중심의 교육 형태를 벗어나 학습자가 적극 참여 할 수 있는 대화와 질문식 교육을 권장하고 있다. 기독교 신앙의 전통적인 전수 교육도 필요 하지만 자기 주체성을 가지고 사회를 변화 시킬 수 있는 주도적인 역할을 할 수 있는 학습자를 요구하는 것이다. 그러기 위해 교실에서 먼저 주체적이고 주도적인 학습현태가 이루어져야 한다는 지적이다.
이처럼 역사적인 상황을 핑계로 잘못 이루어진 교육형태가 신앙을 근본으로 하여 세워진 학교에서부터 잘못된 형태로 발전 된 것이 학교교육에 국한 된 것이 아니라 교회교육에도 그대로 반영되어 신앙의 근간을 흔드는 위험을 초래하는 상황에까지 이르게 된 것을 볼 수 있다. 그러나 비판으로만 끝낼 것이 아니라 교회교육에서부터 교육의 개혁을 이루어가야 하는 것이다. 오랜 세월 속에 젖어버린 틀을 벗어나는 것이 수월한 작업은 아닐 것이라 생각된다. 그러나 이대로 지속된다면 끝내 잘못된 틀 속에서 더 큰 우를 범할 수밖에 없는 것이다. 이제 잘못된 것에 대해 성찰 하고 비판했으면 그것에 멈춰 있을 것이 아니라 제시된 대안에 따라 조금씩 개혁해 나가야 하는 것이 옳은 것이라고 본다.
이처럼 역사적인 상황을 핑계로 잘못 이루어진 교육형태가 신앙을 근본으로 하여 세워진 학교에서부터 잘못된 형태로 발전 된 것이 학교교육에 국한 된 것이 아니라 교회교육에도 그대로 반영되어 신앙의 근간을 흔드는 위험을 초래하는 상황에까지 이르게 된 것을 볼 수 있다. 그러나 비판으로만 끝낼 것이 아니라 교회교육에서부터 교육의 개혁을 이루어가야 하는 것이다. 오랜 세월 속에 젖어버린 틀을 벗어나는 것이 수월한 작업은 아닐 것이라 생각된다. 그러나 이대로 지속된다면 끝내 잘못된 틀 속에서 더 큰 우를 범할 수밖에 없는 것이다. 이제 잘못된 것에 대해 성찰 하고 비판했으면 그것에 멈춰 있을 것이 아니라 제시된 대안에 따라 조금씩 개혁해 나가야 하는 것이 옳은 것이라고 본다.
적용할 점
이제까지 아이들은 곱게 앉혀놓고 혼자 떠드는 방식의 예배가 아니라 적극적으로 아이들이 참여하여 기쁨으로 예배하고 아이들 스스로 생각할 수 있는 설교 방식을 연구해보려 한다. 그럼으로써 아이들 스스로 자기의 신앙을 점검하고 변화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고 서로의 모습을 통해 배움의 기회가 마련될 수 있도록 해야 하겠다. 그러한 것들에 대한 구체적인 방법 역시 교수자인 내가 역동적으로 연구하고 찾아야 하는 것이 아닌가하는 반성과 성찰의 시간을 갖게 한다.
이 책은 단순히 새로운 교육신학의 방법론적 접근이 아니라 교회교육의 비판과 대안을 제시함으로써 신앙의 점검을 하게 하는 내용으로 다가온다. 지금까지 교육에 대한 다양한 의견들이 매체와 책을 통해 상황에 대한 심각성을 가져왔지만 그에 대한 해결책은 명쾌하게 제시하고 있지는 않았다. 게다가 교육이라는 주제와 신앙이라는 주제가 상충함으로써 교육은 곧 성적이고 성적을 우선으로 하면 신앙의 손실을 감수할 수밖에 없는 것으로 간주되기도 하였던 것이었다. 그러나 주체적인 교회교육은 아이들 스스로 비판하고 성찰하여 해결 방안을 모색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함으로써 신앙의 근본을 깨닫게 하고 삶의 목적과 목표를 가지게 할 수 있는 궁극적인 방법으로 접근 할 수 있게 한다.
또한 교회교육은 성장 중심이 아닌 복음의 본질인 그리스도의 십자가와 부활의 사건으로 돌아가 교회가 세워진 존재 이유는 전적으로 하나님의 부르심임을 깨닫는 것에 있음을 상기시키고 있다. 이는 올바른 선교교육과 제자화를 통해 교회 성장의 교육을 극복할 수 있음을 제시하는 것이다. 끝으로 학교교육의 형태와 같은 교수자 중심의 교육 형태를 벗어나 학습자가 적극 참여 할 수 있는 대화와 질문식 교육을 권장하고 있다. 기독교 신앙의 전통적인 전수 교육도 필요 하지만 자기 주체성을 가지고 사회를 변화 시킬 수 있는 주도적인 역할을 할 수 있는 학습자를 요구하는 것이다. 그러기 위해 교실에서 먼저 주체적이고 주도적인 학습현태가 이루어져야 한다는 지적이다.
이처럼 역사적인 상황을 핑계로 잘못 이루어진 교육형태가 신앙을 근본으로 하여 세워진 학교에서부터 잘못된 형태로 발전 된 것이 학교교육에 국한 된 것이 아니라 교회교육에도 그대로 반영되어 신앙의 근간을 흔드는 위험을 초래하는 상황에까지 이르게 된 것을 볼 수 있다. 그러나 비판으로만 끝낼 것이 아니라 교회교육에서부터 교육의 개혁을 이루어가야 하는 것이다. 오랜 세월 속에 젖어버린 틀을 벗어나는 것이 수월한 작업은 아닐 것이라 생각된다. 그러나 이대로 지속된다면 끝내 잘못된 틀 속에서 더 큰 우를 범할 수밖에 없는 것이다. 이제 잘못된 것에 대해 성찰 하고 비판했으면 그것에 멈춰 있을 것이 아니라 제시된 대안에 따라 조금씩 개혁해 나가야 하는 것이 옳은 것이라고 본다.
이처럼 역사적인 상황을 핑계로 잘못 이루어진 교육형태가 신앙을 근본으로 하여 세워진 학교에서부터 잘못된 형태로 발전 된 것이 학교교육에 국한 된 것이 아니라 교회교육에도 그대로 반영되어 신앙의 근간을 흔드는 위험을 초래하는 상황에까지 이르게 된 것을 볼 수 있다. 그러나 비판으로만 끝낼 것이 아니라 교회교육에서부터 교육의 개혁을 이루어가야 하는 것이다. 오랜 세월 속에 젖어버린 틀을 벗어나는 것이 수월한 작업은 아닐 것이라 생각된다. 그러나 이대로 지속된다면 끝내 잘못된 틀 속에서 더 큰 우를 범할 수밖에 없는 것이다. 이제 잘못된 것에 대해 성찰 하고 비판했으면 그것에 멈춰 있을 것이 아니라 제시된 대안에 따라 조금씩 개혁해 나가야 하는 것이 옳은 것이라고 본다.
적용할 점
이제까지 아이들은 곱게 앉혀놓고 혼자 떠드는 방식의 예배가 아니라 적극적으로 아이들이 참여하여 기쁨으로 예배하고 아이들 스스로 생각할 수 있는 설교 방식을 연구해보려 한다. 그럼으로써 아이들 스스로 자기의 신앙을 점검하고 변화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고 서로의 모습을 통해 배움의 기회가 마련될 수 있도록 해야 하겠다. 그러한 것들에 대한 구체적인 방법 역시 교수자인 내가 역동적으로 연구하고 찾아야 하는 것이 아닌가하는 반성과 성찰의 시간을 갖게 한다.
이 책은 단순히 새로운 교육신학의 방법론적 접근이 아니라 교회교육의 비판과 대안을 제시함으로써 신앙의 점검을 하게 하는 내용으로 다가온다. 지금까지 교육에 대한 다양한 의견들이 매체와 책을 통해 상황에 대한 심각성을 가져왔지만 그에 대한 해결책은 명쾌하게 제시하고 있지는 않았다. 게다가 교육이라는 주제와 신앙이라는 주제가 상충함으로써 교육은 곧 성적이고 성적을 우선으로 하면 신앙의 손실을 감수할 수밖에 없는 것으로 간주되기도 하였던 것이었다. 그러나 주체적인 교회교육은 아이들 스스로 비판하고 성찰하여 해결 방안을 모색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함으로써 신앙의 근본을 깨닫게 하고 삶의 목적과 목표를 가지게 할 수 있는 궁극적인 방법으로 접근 할 수 있게 한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