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는 아이들의 기분이나 요구 사항을 파악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아이들은 개인으로서뿐만 아니라 학급의 구성원으로서의 자신의 정체성을 구체적으로 경험할 수 있다.
③학급의 상징물
상징적인 물체를 이용해 학생들의 개별성과 집단의 소속감을 시각적으로 표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학생들 개인에게 색종이로 연결고리를 만들어 각자의 이름을 쓰게 한 후 고리를 모두 연결해 교실에 걸어두면 원형 사슬은 학급 전체를 상징하고 각각의 고리는 학급 내에서 각자의 역할을 상징함으로써 개별성과 소속감을 표현할 수 있다.
2. 각 개인이 집단의 중요한 구성원이라는 느낌을 발달시키기
개별 학생들에게 그들 각자가 학급의 중요한 구성원임을 인식 시켜줄 수 있는 방법으로
① “나는 중요하다.”
아이들을 원형으로 앉게 한 다음 다음과 같은 불완전한 문장을 완성해 보게 한다.
“나는 이 학급에서 매우 중요한 사람이다. 왜냐하면, .”
(“왜냐하면 나는 친구들의 이름을 빨리 쓸 수 있기 때문이다.” 등등....)
이러한 활동 후 교사는 “나는 중요하다.” 라는 리본을 만들어 학생들에게 나눠준 다음, 학생들 가슴에 모두 달고 다니게 한다.
②환호해 주기
학생들이 중요한 시험을 통과하거나 무언가를 성취했을 때 학급 전체 구성원들이 환호해 주는 것이다. 이것은 아이들이 모든 학급 구성원들의 성공에 대해서 함께 긍지를 느낄 수 있도록 해준다.
③ 금주의 학생
임의로 금주의 학생 한 명을 선발해 1주일 동안 타인의 주목을 끄는 위치에 서게 한다. 그 학생은 출석을 부르고, 학급 대표로 방문객을 맞고, 선생님의 심부름을 하거나 필요한 경우 장난감, 책, 화젯거리, 가족 앨범 등을 집에서 가져와 다른 친구들과 공유해야 한다.
또한 교사는 나머지 아이들에게 익명으로 금주의 학생의 좋은점 1가지씩을 쪽지에 적어 내게 한 후 금주의 학생에게 준다.
④교사의 개입
학급에서 따돌림이 발생할 경우 교사는 지금까지 논의 된 공동체 전략을 활용하기 위한 교사의 부가적인 노력이 필요하다.
3. 집단에 대한/집단을 위한 책임감 발달시키기
① 목표와 규칙
목표와 규칙을 설정한다는 것은 공히 모두를 위한 선을 고려하는 방식 속에서 행동해야 한다는 모든 사람들의 책임감을 분명하게 해준다. 즉 자신의 행동이 다른 친구들과 하나의 전체로서의 학급에 어떤 영향을 주는지를 생각해 볼 수 있게 한다.
② 상호 의존의 윤리
“우리 모두가 한 배를 타고 있다”는 신념 속에 잘 표현되어 있는 도덕적 가치로 어느 한 사람의 문제가 모든 사람들의 문제라는 느낌을 갖게 하는 것이다.
예) “오늘 새로 전학 온 찬민이가 어떻게 하면 편안함을 느낄 수 있도록 해줄 수 있을까요?”
“여러 분 중에서 다른 친구들이 함께 도와서 풀어야 할 문제를 가지고 있는 사람이 있나요?” 등의 문제를 가지고 함께 이야기하고 서로 보살펴주고 배려해 주는 동안 인간 상호 의존성에 대한 중요한 교훈을 배우는 것이다.
③ 위기에 대처하기
공동체 의식은 교실 안에서 일어나 수 있는 위기 상황을 다루는 데 필요한 응집력과 보살핌을 제공하여 준다.
③학급의 상징물
상징적인 물체를 이용해 학생들의 개별성과 집단의 소속감을 시각적으로 표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학생들 개인에게 색종이로 연결고리를 만들어 각자의 이름을 쓰게 한 후 고리를 모두 연결해 교실에 걸어두면 원형 사슬은 학급 전체를 상징하고 각각의 고리는 학급 내에서 각자의 역할을 상징함으로써 개별성과 소속감을 표현할 수 있다.
2. 각 개인이 집단의 중요한 구성원이라는 느낌을 발달시키기
개별 학생들에게 그들 각자가 학급의 중요한 구성원임을 인식 시켜줄 수 있는 방법으로
① “나는 중요하다.”
아이들을 원형으로 앉게 한 다음 다음과 같은 불완전한 문장을 완성해 보게 한다.
“나는 이 학급에서 매우 중요한 사람이다. 왜냐하면, .”
(“왜냐하면 나는 친구들의 이름을 빨리 쓸 수 있기 때문이다.” 등등....)
이러한 활동 후 교사는 “나는 중요하다.” 라는 리본을 만들어 학생들에게 나눠준 다음, 학생들 가슴에 모두 달고 다니게 한다.
②환호해 주기
학생들이 중요한 시험을 통과하거나 무언가를 성취했을 때 학급 전체 구성원들이 환호해 주는 것이다. 이것은 아이들이 모든 학급 구성원들의 성공에 대해서 함께 긍지를 느낄 수 있도록 해준다.
③ 금주의 학생
임의로 금주의 학생 한 명을 선발해 1주일 동안 타인의 주목을 끄는 위치에 서게 한다. 그 학생은 출석을 부르고, 학급 대표로 방문객을 맞고, 선생님의 심부름을 하거나 필요한 경우 장난감, 책, 화젯거리, 가족 앨범 등을 집에서 가져와 다른 친구들과 공유해야 한다.
또한 교사는 나머지 아이들에게 익명으로 금주의 학생의 좋은점 1가지씩을 쪽지에 적어 내게 한 후 금주의 학생에게 준다.
④교사의 개입
학급에서 따돌림이 발생할 경우 교사는 지금까지 논의 된 공동체 전략을 활용하기 위한 교사의 부가적인 노력이 필요하다.
3. 집단에 대한/집단을 위한 책임감 발달시키기
① 목표와 규칙
목표와 규칙을 설정한다는 것은 공히 모두를 위한 선을 고려하는 방식 속에서 행동해야 한다는 모든 사람들의 책임감을 분명하게 해준다. 즉 자신의 행동이 다른 친구들과 하나의 전체로서의 학급에 어떤 영향을 주는지를 생각해 볼 수 있게 한다.
② 상호 의존의 윤리
“우리 모두가 한 배를 타고 있다”는 신념 속에 잘 표현되어 있는 도덕적 가치로 어느 한 사람의 문제가 모든 사람들의 문제라는 느낌을 갖게 하는 것이다.
예) “오늘 새로 전학 온 찬민이가 어떻게 하면 편안함을 느낄 수 있도록 해줄 수 있을까요?”
“여러 분 중에서 다른 친구들이 함께 도와서 풀어야 할 문제를 가지고 있는 사람이 있나요?” 등의 문제를 가지고 함께 이야기하고 서로 보살펴주고 배려해 주는 동안 인간 상호 의존성에 대한 중요한 교훈을 배우는 것이다.
③ 위기에 대처하기
공동체 의식은 교실 안에서 일어나 수 있는 위기 상황을 다루는 데 필요한 응집력과 보살핌을 제공하여 준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