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동기부여 과정이론
I. 브룸의 기대이론
1. 노력-성과 관계(기대, E)
2. 성과-보상 관계(수단성, I)
3. 보상-개인목표 관계(유의성, V)
II. 애덤스의 공정성이론
III. 로크의 목표설정이론
1. 목표구체성
2. 목표난이도
3. 피드백
IV. 디씨의 인지평가이론
* 참고문헌
I. 브룸의 기대이론
1. 노력-성과 관계(기대, E)
2. 성과-보상 관계(수단성, I)
3. 보상-개인목표 관계(유의성, V)
II. 애덤스의 공정성이론
III. 로크의 목표설정이론
1. 목표구체성
2. 목표난이도
3. 피드백
IV. 디씨의 인지평가이론
* 참고문헌
본문내용
BO)란 조직의 목표설정에서부터 책임의 확정, 실적의 평가, 개인 또는 조직단위의 활동에 이르기까지 조직의 상위층과 하위층이 다 같이 참여하여 효과적으로 조직의 목표를 달성하려는 관리기법 내지 관리체계라 말할 수 있다.
오늘날 대규모 조직에서는 목표관리의 기법을 흔히 사용하고 있는데, 그 기원은 제1차 세계대전 이후 미국의 듀퐁사(Dupont)에서 실시한 데서 비롯된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정부기관에 처음 도입된 것은 1970년대 초 미국의 닉슨(Nixon)행정부였다. 그러나 목표관리의 성격이나 정신은 이미 1910년대 테일러(F. Taylor)의 과학적 관리법에서 발견되며, 그 기본 개념은 1930년대 중반 연방정부의 행정과 조직에 관한 글릭(L. Gulick)의 연구에서도 나타나 있다. 그리고 목표관리(틴BO)가 구체적인 관리기법으로 체계화된 것은 1950년대에 드러커(Peter F. Drucker)에 의해서이다.
목표관리프로그램의 공통요소로 목표 구체성, 기간의 명시, 의사결정에의 참여, 성과의 피드백을 들 수 있다. 목표관리의 많은 부분이 목표설정이론의 주장과 합치한다.
IV. 디씨(Deci)의 인지평가이론
인지평가이론은 어떤 직무에 대해 내재적으로 동기유발된 상태에서 외재적 보상이 주어지면 내재적 동기가감소된다는 것이 이 이론의 핵심이다.
일반적으로 사람들은 자신이 좋아하는 일을 할 때, 그 일을 더 즐기는 경향이 있다. 이러한 경우 사람들은 어떠한 보상을 위해서 일을 하는 것이 아니라 활동 그 자체에 목적을 두고 일을 하게 된다. 개인이 내재적 이유(재미, 즐거움, 성취감, 개인숙달 등) 때문에 어떤 행동을 하는 것을 내재적 동기라 한다면, 다른 이유(보상의 획득, 처벌, 회피) 때문에 행동하는 성향은 외재적 동기에 근거한 것이라 설명할 수 있다. 디씨(Deci)의 인지평가이론은 성취감이나 책임감과 같은 내적 동기에 의해 동기유발되어 있는 것에 외적인 보상(승진, 급여, 인상, 성과급 등)을 도입하게 되면 오히려 동기유발 정도가 감소한다는 것이다.
디씨의 인지평가이론에 따르면 개인은 유능감과 자기결정감을 추구하는 욕구를 갖고 있으며, 유능감과 자기결정감의 느낌에 의해 내적 동기가 결정된다고 가정한다. 여기서 유능감이란 어떤 일을 잘할 수 있는 능력을 갖고 있다는 자신에 대한 믿음이며, 자기결정감은 어떤 행동을 스스로 결정했다는 느낌이다.
유능감과 자기결정감의 욕구를 충족시켜 주는 사건들은 내적 동기를 높이는 역할을 한다. 즉, 내적으로 동기화된 사람들은 어떠한 과제수행에 있어서 그것을 수단이 아닌 목적으로 여기며, 더 흥미롭게 느끼고 즐기며 더 많은 노력을 기울이게 된다.
반면에 외적으로 동기화된 사람들은 과제수행을 보상의 획득이나 처벌의 회피와 같이 일정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여기게 된다.
인지평가이론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1/ 내적 동기이론을 촉진시킨 촉매제 역할을 하였고
2/ 가장 영향력 있는 이론으로 평가되며
3/ 소비자행동, 습관적 행동의 통제 등 다른 영역에서도 활발히 연구되고 있다.
* 참고문헌
경영학 - 최수형/추교완 외 1명 저, 피앤씨미디어, 2013
2018 재미있는 경영학 워크북 - 최중락 저, 상경사, 2018
경영학의 이해 - 이규현 저, 학현사, 2018
조직과 인간관계론 - 이택호/강정원 저, 북넷, 2013
사례중심의 경영학원론 - 김명호 저, 두남, 2018
내일을 비추는 경영학 - 시어도어 레빗 저/정준희 역, 스마트비즈니스, 2011
경영학의 진리체계 - 윤석철 저, 경문사, 2012
국제경영학 - 김신 저, 박영사, 2012
경영학원론 - Gulati Mayo 외 1명 저, 카오스북, 2016
오늘날 대규모 조직에서는 목표관리의 기법을 흔히 사용하고 있는데, 그 기원은 제1차 세계대전 이후 미국의 듀퐁사(Dupont)에서 실시한 데서 비롯된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정부기관에 처음 도입된 것은 1970년대 초 미국의 닉슨(Nixon)행정부였다. 그러나 목표관리의 성격이나 정신은 이미 1910년대 테일러(F. Taylor)의 과학적 관리법에서 발견되며, 그 기본 개념은 1930년대 중반 연방정부의 행정과 조직에 관한 글릭(L. Gulick)의 연구에서도 나타나 있다. 그리고 목표관리(틴BO)가 구체적인 관리기법으로 체계화된 것은 1950년대에 드러커(Peter F. Drucker)에 의해서이다.
목표관리프로그램의 공통요소로 목표 구체성, 기간의 명시, 의사결정에의 참여, 성과의 피드백을 들 수 있다. 목표관리의 많은 부분이 목표설정이론의 주장과 합치한다.
IV. 디씨(Deci)의 인지평가이론
인지평가이론은 어떤 직무에 대해 내재적으로 동기유발된 상태에서 외재적 보상이 주어지면 내재적 동기가감소된다는 것이 이 이론의 핵심이다.
일반적으로 사람들은 자신이 좋아하는 일을 할 때, 그 일을 더 즐기는 경향이 있다. 이러한 경우 사람들은 어떠한 보상을 위해서 일을 하는 것이 아니라 활동 그 자체에 목적을 두고 일을 하게 된다. 개인이 내재적 이유(재미, 즐거움, 성취감, 개인숙달 등) 때문에 어떤 행동을 하는 것을 내재적 동기라 한다면, 다른 이유(보상의 획득, 처벌, 회피) 때문에 행동하는 성향은 외재적 동기에 근거한 것이라 설명할 수 있다. 디씨(Deci)의 인지평가이론은 성취감이나 책임감과 같은 내적 동기에 의해 동기유발되어 있는 것에 외적인 보상(승진, 급여, 인상, 성과급 등)을 도입하게 되면 오히려 동기유발 정도가 감소한다는 것이다.
디씨의 인지평가이론에 따르면 개인은 유능감과 자기결정감을 추구하는 욕구를 갖고 있으며, 유능감과 자기결정감의 느낌에 의해 내적 동기가 결정된다고 가정한다. 여기서 유능감이란 어떤 일을 잘할 수 있는 능력을 갖고 있다는 자신에 대한 믿음이며, 자기결정감은 어떤 행동을 스스로 결정했다는 느낌이다.
유능감과 자기결정감의 욕구를 충족시켜 주는 사건들은 내적 동기를 높이는 역할을 한다. 즉, 내적으로 동기화된 사람들은 어떠한 과제수행에 있어서 그것을 수단이 아닌 목적으로 여기며, 더 흥미롭게 느끼고 즐기며 더 많은 노력을 기울이게 된다.
반면에 외적으로 동기화된 사람들은 과제수행을 보상의 획득이나 처벌의 회피와 같이 일정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여기게 된다.
인지평가이론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1/ 내적 동기이론을 촉진시킨 촉매제 역할을 하였고
2/ 가장 영향력 있는 이론으로 평가되며
3/ 소비자행동, 습관적 행동의 통제 등 다른 영역에서도 활발히 연구되고 있다.
* 참고문헌
경영학 - 최수형/추교완 외 1명 저, 피앤씨미디어, 2013
2018 재미있는 경영학 워크북 - 최중락 저, 상경사, 2018
경영학의 이해 - 이규현 저, 학현사, 2018
조직과 인간관계론 - 이택호/강정원 저, 북넷, 2013
사례중심의 경영학원론 - 김명호 저, 두남, 2018
내일을 비추는 경영학 - 시어도어 레빗 저/정준희 역, 스마트비즈니스, 2011
경영학의 진리체계 - 윤석철 저, 경문사, 2012
국제경영학 - 김신 저, 박영사, 2012
경영학원론 - Gulati Mayo 외 1명 저, 카오스북, 2016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