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2. 문헌고찰
Ⅱ. 본론
1. 간호사정
2. 간호력, 신체검진, 검사, 투약
3. 간호과정 적용
Ⅲ. 결론 및 실습후기
1. 실습후기
2. 참고문헌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2. 문헌고찰
Ⅱ. 본론
1. 간호사정
2. 간호력, 신체검진, 검사, 투약
3. 간호과정 적용
Ⅲ. 결론 및 실습후기
1. 실습후기
2. 참고문헌
본문내용
상자가 효과적인 기침법을 잘 시행하고 있는지 평가한다.
- 대상자를 45˚정도의 반좌위를 취해준다.
- 대상자와 보호자에게 콜벨의 사용법에 대해 교육하여 호흡곤란이 나타났을 때 즉시 알리도록 한다.
- 대상자에게 효과적인 심호흡(입술을 오므리고 하는 호흡, 횡격막호흡, 복식호흡 등)을 시범보이고, 교육한다.
- 대상자가 효과적인 심호흡방법을 잘 시행하고 있는지 평가한다.
- 2시간마다 호흡수, 호흡운동을 사정하고 평가한다.
- 호흡양상의 사정은 대상자의 상태를 사정하는데 가장 중요한 지표가 된다.
- 적절한 기침은 분비물을 밖으로 배출시키고 기도를 효과적으로 유지한다.
- 앉은 자세는 흉부팽창을 증가시키고 흉부근육을 이완시키며, 횡격막이 수축할 수 있도록 적절한 체위를 취하게 하면 호흡의 에너지 요구량이 적어진다. 또한 횡격막이 제 위치에 자리하게 하고 분비물을 쉽게 배출시키고 폐의 환기를 도와 호흡곤란 대상자들에게 더욱 용이한 호흡을 제공해준다.
- 횡격막호흡 혹은 복식호흡 그리고 입술을 오므리고 하는 호흡법은 호흡곤란 발작을 조절한다. 폐에 정체되는 공기량이 감소하고, 환자 스스로 호흡곤란을 관리하는 것에서 자신감과 통제력을 얻는다.
- 주기적으로 비정상적인 호흡양상이 발생할 수 있다. 저산소증의 초기사정으로 합병증을 예방할 수 있다.
간호결과
- 대상자는 PCA 사용방법을 알고 사용할 수 있게 되었으며 VAS점수 측정시 대상자의 통증척도가 3으로 감소하였다.
간호사정
주관적 자료
객관적 자료
1). 1차적 자료
“숨이 차다”
2). 2차적 자료
“할배 입술이 보라색이다”
1). 입술이 보라색으로 관찰됨.
2). SpO2 측정결과 93%로 측정됨.
3). 호흡수가 26회로 측정됨.
4). pH : 7.337 (7.35~7.45)
PCo2 : 33.4 (35~45)
P02 : 94.2 (75~100)로 측정됨
간호진단
산소공급 변화와 관련된 가스교환장애
간호목표
1). 단기목표
- 대상자는 2시간 이내에 안정된 호흡을 할 것이다.
- 대상자는 4시간 이내에 ABGA검사 수치가 정상적일 것이다.
간호계획
1). 단기계획
- 반좌위를 취해드린다
- 기침과 심호흡을 격려한다.
- ABGA검사 수치를 확인한다.
- 산소요법을 시행한다.
- 처방에 따라 흡입제, 거담제를 투여한다.
간호수행
간호수행
이론적 근거
- v/s을 측정한다
- 호흡양상을 사정한다.
- 처방에 따라 거담제(ambroxol)와 흡입제
(mucomyst)를 투여한다.
- 약물의 부작용을 관찰한다.
- 2시간마다 분비물이 잘 배출되도록 체위변경을 한다.
- 되도록 말하는 것을 줄이도록 교육한다.
- ABGA검사 결과를 확인한다.
- 저산소증일 때 심박동 수와 호흡수가 증가한 다.
- 호흡을 좀더 편안하게 하기 위해 투여한다.
- 부분적인 폐쇄가 있는 경우 기침과 분비물 배출을 돕는다.
- 에너지를 보존하고 산 고요구량을 줄이기 위 함이다.
- 저산소증의 정도를 확 인하기 위함이다
간호결과
- 대상자는 안정된 호흡양상을 보이고 호흡수가 20회로 정상적이다.
- 대상자는 ABGA검사 결과 pH : 7.375 (7.35~7.45), PCo2 : 38.5 (35~45)
P02 : 88.0 (75~100)으로 측정되었다.
간호사정
주관적 자료
객관적 자료
1). 1차적 자료
“내 몸에 열나는 것 같다”
2). 2차적 자료
“우리할배 몸이 뜨겁고 땀을 막 흘 린다”
“관 꼽은 곳이 아프단다”
1). 체온이 37.4로 측정됨.
2). 백혈구와 적혈구침강속도 수치가 높음 (WBC : 14.01 10*6/ul, ESR : 26 mm/hr)
3). 얼굴에 홍조를 띄고 있음
간호진단
배액관 삽입과 관련된 감염 위험성
간호목표
1). 단기목표
- 대상자는 4시간 이내에 체온이 37도 이하로 감소한다.
- 대상자는 4시간 이내에 얼굴색이 다른 피부의색과 같아진다.
- 대상자는 3시간 이내에 아픈 곳이 괜찮다고 말할 것이다.
간호계획
1). 단기계획
- 매 듀티시 V/S 2번 측정한다.
- 통증의 양상을 사정한다.
- 처방에 따라 항생제를 투여한다.
- 미온수목욕을 시행한다.
간호수행
간호수행
이론적 근거
- V/S을 매 듀티마다 2번 총 6번 측정하였다.
혈압
체온
맥박
호흡
2시
135/80
37.4
86
26
6시
140/90
37.3
84
28
10시
120/70
37.0
76
20
14시
120/80
36.9
74
20
18시
110/65
36.9
76
20
22시
120/70
36.7
76
20
- 처방에 따라 항생제(야마테탄)를 투여하였다.
- 흉부배액관에 모인 배액의 양과 색을 관찰했다.
- 미온수 목욕을 시행했고 보호자에게도 교육했다.
- 임상검사결과를 확인한다
(WBC : 9.26 10*6/ul, ESR : 18 mm/hr)
- 감염 발생 시 혈압, 호 흡수, 맥박, 체온이 상 승된다.
- 감염부위의 감염을 일 으키는 세포를 없애준 다.
- 배액이 비정상적인 양 과 색을 띄면 감염을 의심한다.
- 체온을 떨어뜨리기 위 함이다
- 감염시 WBC와ESR수치 가 증가한다.
간호결과
- 대상자는 4시간 후에 체온이 36.9도로 측정되었다.
- 대상자는 3시간 후에 통증부위가 나아졌다고 말했다.
- 대상자는 얼굴색이 다른부분의 피부색과 동일하다.
Ⅲ. 결론 및 실습후기
실습후기
실습하면서 좋았던 점이 많았던 것 같다. 흉부외과 쪽이여서 흉부 쪽에 수술해서 오는 사람이 대부분 이였던 것 같다. 폐암에 걸려서 폐 일부분을 잘랐던 사람도 있었고 경추손상으로 인해 병동에있었던 환자도 있어서 배울점도 많았던 것 같다. 그리고 vre 병실도 있어서 감염에 대해 많이 배웠고 조심하고 또 조심해야겠다는 것을 배울 수 있었던 계기였던 것 같다.
※참고문헌
1) 네이버,“폐암”,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2120096&
mobile&cid=51007&categoryId=51007,2016.07.12.
2) 드러그인포, http://www.druginfo.co.kr/
3) 김금순, 『간호사를 위한 약리학』, 수문사, 2015
4) 조경숙 외4명, 『성인간호학 상』, 현문사, 2013
- 대상자를 45˚정도의 반좌위를 취해준다.
- 대상자와 보호자에게 콜벨의 사용법에 대해 교육하여 호흡곤란이 나타났을 때 즉시 알리도록 한다.
- 대상자에게 효과적인 심호흡(입술을 오므리고 하는 호흡, 횡격막호흡, 복식호흡 등)을 시범보이고, 교육한다.
- 대상자가 효과적인 심호흡방법을 잘 시행하고 있는지 평가한다.
- 2시간마다 호흡수, 호흡운동을 사정하고 평가한다.
- 호흡양상의 사정은 대상자의 상태를 사정하는데 가장 중요한 지표가 된다.
- 적절한 기침은 분비물을 밖으로 배출시키고 기도를 효과적으로 유지한다.
- 앉은 자세는 흉부팽창을 증가시키고 흉부근육을 이완시키며, 횡격막이 수축할 수 있도록 적절한 체위를 취하게 하면 호흡의 에너지 요구량이 적어진다. 또한 횡격막이 제 위치에 자리하게 하고 분비물을 쉽게 배출시키고 폐의 환기를 도와 호흡곤란 대상자들에게 더욱 용이한 호흡을 제공해준다.
- 횡격막호흡 혹은 복식호흡 그리고 입술을 오므리고 하는 호흡법은 호흡곤란 발작을 조절한다. 폐에 정체되는 공기량이 감소하고, 환자 스스로 호흡곤란을 관리하는 것에서 자신감과 통제력을 얻는다.
- 주기적으로 비정상적인 호흡양상이 발생할 수 있다. 저산소증의 초기사정으로 합병증을 예방할 수 있다.
간호결과
- 대상자는 PCA 사용방법을 알고 사용할 수 있게 되었으며 VAS점수 측정시 대상자의 통증척도가 3으로 감소하였다.
간호사정
주관적 자료
객관적 자료
1). 1차적 자료
“숨이 차다”
2). 2차적 자료
“할배 입술이 보라색이다”
1). 입술이 보라색으로 관찰됨.
2). SpO2 측정결과 93%로 측정됨.
3). 호흡수가 26회로 측정됨.
4). pH : 7.337 (7.35~7.45)
PCo2 : 33.4 (35~45)
P02 : 94.2 (75~100)로 측정됨
간호진단
산소공급 변화와 관련된 가스교환장애
간호목표
1). 단기목표
- 대상자는 2시간 이내에 안정된 호흡을 할 것이다.
- 대상자는 4시간 이내에 ABGA검사 수치가 정상적일 것이다.
간호계획
1). 단기계획
- 반좌위를 취해드린다
- 기침과 심호흡을 격려한다.
- ABGA검사 수치를 확인한다.
- 산소요법을 시행한다.
- 처방에 따라 흡입제, 거담제를 투여한다.
간호수행
간호수행
이론적 근거
- v/s을 측정한다
- 호흡양상을 사정한다.
- 처방에 따라 거담제(ambroxol)와 흡입제
(mucomyst)를 투여한다.
- 약물의 부작용을 관찰한다.
- 2시간마다 분비물이 잘 배출되도록 체위변경을 한다.
- 되도록 말하는 것을 줄이도록 교육한다.
- ABGA검사 결과를 확인한다.
- 저산소증일 때 심박동 수와 호흡수가 증가한 다.
- 호흡을 좀더 편안하게 하기 위해 투여한다.
- 부분적인 폐쇄가 있는 경우 기침과 분비물 배출을 돕는다.
- 에너지를 보존하고 산 고요구량을 줄이기 위 함이다.
- 저산소증의 정도를 확 인하기 위함이다
간호결과
- 대상자는 안정된 호흡양상을 보이고 호흡수가 20회로 정상적이다.
- 대상자는 ABGA검사 결과 pH : 7.375 (7.35~7.45), PCo2 : 38.5 (35~45)
P02 : 88.0 (75~100)으로 측정되었다.
간호사정
주관적 자료
객관적 자료
1). 1차적 자료
“내 몸에 열나는 것 같다”
2). 2차적 자료
“우리할배 몸이 뜨겁고 땀을 막 흘 린다”
“관 꼽은 곳이 아프단다”
1). 체온이 37.4로 측정됨.
2). 백혈구와 적혈구침강속도 수치가 높음 (WBC : 14.01 10*6/ul, ESR : 26 mm/hr)
3). 얼굴에 홍조를 띄고 있음
간호진단
배액관 삽입과 관련된 감염 위험성
간호목표
1). 단기목표
- 대상자는 4시간 이내에 체온이 37도 이하로 감소한다.
- 대상자는 4시간 이내에 얼굴색이 다른 피부의색과 같아진다.
- 대상자는 3시간 이내에 아픈 곳이 괜찮다고 말할 것이다.
간호계획
1). 단기계획
- 매 듀티시 V/S 2번 측정한다.
- 통증의 양상을 사정한다.
- 처방에 따라 항생제를 투여한다.
- 미온수목욕을 시행한다.
간호수행
간호수행
이론적 근거
- V/S을 매 듀티마다 2번 총 6번 측정하였다.
혈압
체온
맥박
호흡
2시
135/80
37.4
86
26
6시
140/90
37.3
84
28
10시
120/70
37.0
76
20
14시
120/80
36.9
74
20
18시
110/65
36.9
76
20
22시
120/70
36.7
76
20
- 처방에 따라 항생제(야마테탄)를 투여하였다.
- 흉부배액관에 모인 배액의 양과 색을 관찰했다.
- 미온수 목욕을 시행했고 보호자에게도 교육했다.
- 임상검사결과를 확인한다
(WBC : 9.26 10*6/ul, ESR : 18 mm/hr)
- 감염 발생 시 혈압, 호 흡수, 맥박, 체온이 상 승된다.
- 감염부위의 감염을 일 으키는 세포를 없애준 다.
- 배액이 비정상적인 양 과 색을 띄면 감염을 의심한다.
- 체온을 떨어뜨리기 위 함이다
- 감염시 WBC와ESR수치 가 증가한다.
간호결과
- 대상자는 4시간 후에 체온이 36.9도로 측정되었다.
- 대상자는 3시간 후에 통증부위가 나아졌다고 말했다.
- 대상자는 얼굴색이 다른부분의 피부색과 동일하다.
Ⅲ. 결론 및 실습후기
실습후기
실습하면서 좋았던 점이 많았던 것 같다. 흉부외과 쪽이여서 흉부 쪽에 수술해서 오는 사람이 대부분 이였던 것 같다. 폐암에 걸려서 폐 일부분을 잘랐던 사람도 있었고 경추손상으로 인해 병동에있었던 환자도 있어서 배울점도 많았던 것 같다. 그리고 vre 병실도 있어서 감염에 대해 많이 배웠고 조심하고 또 조심해야겠다는 것을 배울 수 있었던 계기였던 것 같다.
※참고문헌
1) 네이버,“폐암”,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2120096&
mobile&cid=51007&categoryId=51007,2016.07.12.
2) 드러그인포, http://www.druginfo.co.kr/
3) 김금순, 『간호사를 위한 약리학』, 수문사, 2015
4) 조경숙 외4명, 『성인간호학 상』, 현문사, 2013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