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편문법이란?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보편문법이란?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해석원리를 위배하게 되며, 개념적, 화용적 능력 등의 인식능력체계로 해석될 수 없는 요소가 내포되어 있는 논리형태는 배제된다.
Chomsky(1988:21)는 논리형태에서 허가될 수 있는 요소로 다음과 같은 것들을 들고 있다.
(2) a. Augments : An argument is a chain (αn), with each element in a A-position, case-marked and θ -marked, in accordance with the chain condition.
b. Adjuncts : An adjunct is a chain (αn), with each element in an A-position.
c. Lexical element : A lexical element is a chain (αn), with each element in an X -position.
d. Predicates : Possible predicate chain, if there is predicate raising, VP-movement in overt syntax, and other cases.
e. Operator-variable constructions:
An operator-variable construction is a two-membered chain (1, 2), where the operator 1 is in an A-position and the variable 2 is in an A-position.
논리형태에서 허가되는 요소를 모두 연쇄로 본 것은 각 요소가 이동 될 수 있으며, 이동이 없어도 단일 요소로 이루어지는 연쇄(single-membered chain)가 도기 때문인데, 완전해석원리에 따라 이런 요소들 만이 논리형태에서 해석을 받을 수 있다.
허가의 근본 요인은 허가자의 자질에 있다. 예컨대, kill과 같은 동사는〔Agent〔_Patient〕〕와 같은 의미역 망 (意味役 網 :θ-grid)들을 갖고 있으므로 주어와 목적어에 각각 agent와 patient의 의미역을 부여하는데, 주어와 목적어 논항은 적절한 의미역을 부여받음으로써 허가되고 kill은 부여할 의미역을 모두 부여함으로써 허가된다. 또 술어는 주어를 가짐으로써 허가되고, 변항은 운용소에 결속되어 허가된다.
허가 조건 몇 가지를 들면 다음과 같다.
(3) a. An operator is licensed by binding a variable.
b. A variable must be strongly bound.
c. If an argument, α must be assigned a θ-role.
d. An element that assigns semantic roles must have recepients in appropriate syntactic positions.
e. If a predicate, α must assign a θ-role.
f. A predicate must have a subject.
그러면, 다음과 같은 예를 보자.
(4) a.t was killed John by Bill
b.Bill was killed Mary by
c.Who did John see t Bill
(5) a.the man 〔O that 〔Mary saw him〕〕
b.John is too clever 〔PRO to catch t〕
c. Who was John persuaded t〔PRO to visit t〕
(4.a)의 t는 공범주 원리를 위배하여 허가될 수 없고, John은 격여과를 위배하여 배제된다.(4.b)의 (Bill, t)의 연쇄조건을 위배하고 Mary는 격여과에 저촉되어 허가될 수 없다. (4.c)는 Bill이 격여과와 의미역 이론을 위배하여 허가될 수 없으므로 배제된다. (5.a)는 운용소 (O)거 결속할 변항이 없고, (5.b)는 변항 t 가 강결속되지 않으므로 허가될 수 없다. (cf. John is too stubborn〔O〔PRO to talk to t〕〕) (5.c)의 who는 변항 t를 결속하여 허가되고 t는 운용소에 결속되어 허가된다. 또, 비의미역 위치에 있는 논항 John은 의미역 위치에 있는 흔적 t를 결속하고, 연쇄(John,t)가 의미역 이론과 연쇄조건을 충족하여 허가된다. 동사 persuade는 보충어에 patient와 proposition의 의미역을 부여함으로써 허가된다.
통사론에 원리와 매개변인 이론(principles and parameters theory)은 몇 개의 일반적 원리로써 언어 현상을 설명하려고 노력하여 왔다. 이러한 접근방식은 특정한 구문에 속하는 것이 아니라 언어 전반에 걸쳐져 있기 때문에 그만큼 더 언어 보편적이라 할 수 있고 또한 설명력도 그만큼 높아진다고 할 수 있다. 이와 유사한 맥락으로, 통사구조가 형태구조와 규칙적인 관계를 맺고 있다는 주장은 통사론과 형태론의 주된 관심사항이 되어왔다. 즉, 통사론에 적용되는 문법적 원리들이 어형성에도 적용된다는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원리와 매개변인 이론에서 제시하고 있는 보편문법의 일반적 원리가 통사론뿐만 아니라 형태구조의 적형식(well-formedness)을 설명하기 위해서도 필수 불가결하다는 것을 체계적으로 정당화시킬 것이다. 통사론에 원리와 매개변인 이론(principles and parameters theory)은 몇 개의 일반적 원리로써 언어 현상을 설명하려고 노력하여 왔다. 이러한 접근방식은 특정한 구문에 속하는 것이 아니라 언어 전반에 걸쳐져 있기 때문에 그만큼 더 언어 보편적이라 할 수 있고 또한 설명력도 그만큼 높아진다고 할 수 있다. 이와 유사한 맥락으로, 통사구조가 형태구조와 규칙적인 관계를 맺고 있다는 주장은 통사론과 형태론의 주된 관심사항이 되어왔다. 즉, 통사론에 적용되는 문법적 원리들이 어형성에도 적용된다는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원리와 매개변인 이론에서 제시하고 있는 보편문법의 일반적 원리가 통사론뿐만 아니라 형태구조의 적형식(well-formedness)을 설명하기 위해서도 필수 불가결하다는 것을 체계적으로 정당화시킬 것이다.

키워드

  • 가격2,000
  • 페이지수12페이지
  • 등록일2019.03.01
  • 저작시기2014.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08473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