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생성문법의 전개 - P.2
Ⅱ. 생성문법 - P.2
(1) N. Chomsky의 언어관 - P.2
(2) 초기의 변형문법 - P.2
1) 변형 & 심층구조 - P.3
① 변형 - P.3
② 심층구조 - P.4
2) 초기모델 - P.5
(3) 표준이론 - P.7
① 변형생성문법의 구성 - P.8
② 변형규칙 - P.8
※ 참고문헌 - P.9
Ⅱ. 생성문법 - P.2
(1) N. Chomsky의 언어관 - P.2
(2) 초기의 변형문법 - P.2
1) 변형 & 심층구조 - P.3
① 변형 - P.3
② 심층구조 - P.4
2) 초기모델 - P.5
(3) 표준이론 - P.7
① 변형생성문법의 구성 - P.8
② 변형규칙 - P.8
※ 참고문헌 - P.9
본문내용
들을 간단한 심층구조로 설명할 수 있게 한 점은 과학적 추상성을 획득한 언어학의 한 성과라고 이를 만하다. 이러한 문법 체계가 영어라든가 하는 어느 특정 언어에만 해당되는 것이 아니라 범어적 일반문법의 성격을 가짐은, 초창기부터 변형문법이 추구하던 바이다. 우리나라에서도 이 이론을 활발히 수입하고 국어에 적용하여 많은 연구 실적을 거두고 있다. 노암 촘스키 외 저, 홍종선 외 2인 편역, 장벽이후의 생성문법, 집문당, P.14~15.
① 변형생성문법의 구성
통사구문
변형규칙
구구조규칙
어휘부
심층구조
표면구조
의미규칙 음운규칙
의미부문
음운부문
김방한, 언어학의 이해, 문음사, P.145
통사부 : 기 저 부 어휘부
어휘삽입규칙
구구조규칙
심층구조 - 의미해석규칙 ⇒ 의미표시
변 형 부 - 변형규칙
표면구조 - 음운규칙
② 변형규칙
생성문법에서 각 단어는 구구조규칙에 의해 이루어진 나무그림에서 어휘삽입규칙에 의해 삽입되어 기저문을 이루며 이것은 각종 변형규칙에 의해 표면구조문을 만들어 내는데 변형규칙에는 크게 생략, 첨가, 이동, 대치규칙이 있다.
가. 생략 : 생략(삭제, 탈락, deletion)규칙은 성분요소를 생략시키는 규칙이다. 국어의 경우 동일어구 생략, 성분 생략규칙 등이 있는데 전자는 동일 명사구나 동일 동사구와 같은 동일 어구를 생략하는 것이고 후자는 주어나 목적어 등의 성분을 생략하는 현상이다.
ㄱ. 그는 (e) 곱고 (e) 검소한 여인을 원했다. : (여인이)
ㄴ. (e) 어디 가니? : (너는)
위 문들은 기저문의 ( )에 생략된 공범주(empty c.)가 상정되는데 국어에는 (ㄱ)의 내포문, (ㄴ)의 의문문이나 그밖에 명령문 등에서 생략변형이 관찰된다. 이러한 생략변형은 원래의 요소가 공범주로 대치된 것으로 보면 후술한 대치변형의 일종으로 볼 수도 있다.
나. 첨가 : 첨가(삽입, addition, insertion)규칙은 성분요소를 첨가시키는 규칙이다. 국어의 경우 생성문법 도입 초기에는 평서문을 기본문으로 하여 각종 조사와 어미의 첨가를 기본으로 (ㄷ)처럼 긍정문을 부정문으로 바꿀 때 ‘아니, 안, 못’ 첨가하는 부정변형, (ㄹ)처럼 ‘이,히..’접사가 첨가되는 피동사동 변형,‘-께서,-으시-’의 첨가에 의한 주체대우변형 등을 전형적 첨가변형으로 다루었다.
ㄷ. 철수는 학교를 안 간 것이 아니고 못 갔다.
ㄹ. 선생님께서 회한에 잠겨 진상을 밝하시기 시작했다.
다. 이동 : 이동(movement)변형은 성분 요소를 다른 곳으로 이동하는 변형이다. 국어의 경우 (ㅁ)처럼 부사 이동이나 강조법을 위한 도치 이동, (ㅂ)처럼 내포문 주어가 상위문 목적어로 상승되는 상승(raising) 이동 등을 들 수 있다.
ㅁ. 꽃이 활짝 피었다. → 활짝 꽃이 피었다. (부사 어순 이동)
ㅂ. 나는 그가 옳다고 믿는다. → 나는 그를 옳다고 믿는다. (내포문 주어가 목적어로 상승 이동)
라. 대치 : 대치(substitution)변형은 한 성분 요소를 다른 요소로 바꾸는 변형으로 (ㅅ)처럼 명사를 대명사로 바꾸는 대명사화변형, 동일지시명사를 재귀대명사로 바꾸는 재귀화변형 등이 있다.
ㅅ. 철수는 영희가 철수를 사랑하는 것을 안다 → 그는 그녀가 자기를 사랑함을 안다. 왕문용 외 1인, 국어문법론의 이해, 개문사, P.38~39
※ 참고문헌
노암 촘스키 외 저, 홍종선 외 2인 편역, 장벽이후의 생성문법, 집문당
김방한, 언어학의 이해, 문음사
김동석(1991), N. Chomsky의 보편문법, 형설출판사
김승곤(1982), 변형생성문법론, 건국대학교 출판부
왕문용 외 1인, 국어문법론의 이해, 개문사
박영수(1982), 변형생성문법론, 형설출판사
① 변형생성문법의 구성
통사구문
변형규칙
구구조규칙
어휘부
심층구조
표면구조
의미규칙 음운규칙
의미부문
음운부문
김방한, 언어학의 이해, 문음사, P.145
통사부 : 기 저 부 어휘부
어휘삽입규칙
구구조규칙
심층구조 - 의미해석규칙 ⇒ 의미표시
변 형 부 - 변형규칙
표면구조 - 음운규칙
② 변형규칙
생성문법에서 각 단어는 구구조규칙에 의해 이루어진 나무그림에서 어휘삽입규칙에 의해 삽입되어 기저문을 이루며 이것은 각종 변형규칙에 의해 표면구조문을 만들어 내는데 변형규칙에는 크게 생략, 첨가, 이동, 대치규칙이 있다.
가. 생략 : 생략(삭제, 탈락, deletion)규칙은 성분요소를 생략시키는 규칙이다. 국어의 경우 동일어구 생략, 성분 생략규칙 등이 있는데 전자는 동일 명사구나 동일 동사구와 같은 동일 어구를 생략하는 것이고 후자는 주어나 목적어 등의 성분을 생략하는 현상이다.
ㄱ. 그는 (e) 곱고 (e) 검소한 여인을 원했다. : (여인이)
ㄴ. (e) 어디 가니? : (너는)
위 문들은 기저문의 ( )에 생략된 공범주(empty c.)가 상정되는데 국어에는 (ㄱ)의 내포문, (ㄴ)의 의문문이나 그밖에 명령문 등에서 생략변형이 관찰된다. 이러한 생략변형은 원래의 요소가 공범주로 대치된 것으로 보면 후술한 대치변형의 일종으로 볼 수도 있다.
나. 첨가 : 첨가(삽입, addition, insertion)규칙은 성분요소를 첨가시키는 규칙이다. 국어의 경우 생성문법 도입 초기에는 평서문을 기본문으로 하여 각종 조사와 어미의 첨가를 기본으로 (ㄷ)처럼 긍정문을 부정문으로 바꿀 때 ‘아니, 안, 못’ 첨가하는 부정변형, (ㄹ)처럼 ‘이,히..’접사가 첨가되는 피동사동 변형,‘-께서,-으시-’의 첨가에 의한 주체대우변형 등을 전형적 첨가변형으로 다루었다.
ㄷ. 철수는 학교를 안 간 것이 아니고 못 갔다.
ㄹ. 선생님께서 회한에 잠겨 진상을 밝하시기 시작했다.
다. 이동 : 이동(movement)변형은 성분 요소를 다른 곳으로 이동하는 변형이다. 국어의 경우 (ㅁ)처럼 부사 이동이나 강조법을 위한 도치 이동, (ㅂ)처럼 내포문 주어가 상위문 목적어로 상승되는 상승(raising) 이동 등을 들 수 있다.
ㅁ. 꽃이 활짝 피었다. → 활짝 꽃이 피었다. (부사 어순 이동)
ㅂ. 나는 그가 옳다고 믿는다. → 나는 그를 옳다고 믿는다. (내포문 주어가 목적어로 상승 이동)
라. 대치 : 대치(substitution)변형은 한 성분 요소를 다른 요소로 바꾸는 변형으로 (ㅅ)처럼 명사를 대명사로 바꾸는 대명사화변형, 동일지시명사를 재귀대명사로 바꾸는 재귀화변형 등이 있다.
ㅅ. 철수는 영희가 철수를 사랑하는 것을 안다 → 그는 그녀가 자기를 사랑함을 안다. 왕문용 외 1인, 국어문법론의 이해, 개문사, P.38~39
※ 참고문헌
노암 촘스키 외 저, 홍종선 외 2인 편역, 장벽이후의 생성문법, 집문당
김방한, 언어학의 이해, 문음사
김동석(1991), N. Chomsky의 보편문법, 형설출판사
김승곤(1982), 변형생성문법론, 건국대학교 출판부
왕문용 외 1인, 국어문법론의 이해, 개문사
박영수(1982), 변형생성문법론, 형설출판사
추천자료
'현행 표준어 규정의 의의와 문제점'에 관한 종합적 보고서
정보통신산업의 표준화 발전방향 연구
비만유아와표준체중유아의사회성숙도비교.
현행취득세의 과세표준 및 세율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표준보육과정과 유아교육기관에서의 안전교육
비만아동과 표준체중아동의 자아존중감 관계
국가수준의 영유아교육프로그램인 표준보육과정, 유치원과정, 누리과정에 대해 조사하고 비교...
국가수준의 영유아교육프로그램인 표준보육과정, 유치원과정, 누리과정에 대해 조사하고 비교.
어린이집에서 보육과정으로 운영하는 표준보육과정에 대하여 논하시오
[보육교사론] 표준보육과정 의사소통영역과 평가인증지표에 근거하여 만3세 유아반의 지도원...
제3차 어린이집 표준보육과정과 만3~5세 누리과정을 구성방향 및 체계 그리고 목적과 목표를 ...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