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급을 하지 못하도록 하고 동물의 대변과 접촉한 후에는 반드시 손을 닦도록 하고, 특히 파충류(거북 포함)는 살모넬라가 있을 가능성이 많으므로 파충류를 취급한 후에 손을 즉시 닦도록 함
어린 아이들에게 파충류는 적절한 애완동물이 아니며 영아와 같은 집에 두지 말아야 함
■ 세균성 이질 및 살모넬라증 요약표
세균성 이질
살모넬라증
원인균
shigella dysenteriae
Sallmonella.typhimurium,
Sallmonella.enteritidis
잠복기
1-7일
잠복기는 2-4시간
전파방법
환자나 보균자에 의한 직접 혹은 간접적인 대변-경구전파임
오염된 식수, 우유, 바퀴벌레, 파리에 의한 전파도 있음
오염된 동물성 식품이나 감염 동물의 분변에 오염된 음식물, 식수를 먹어서 감염
우유, 달걀, 고기 등가 그 제품이 원인이 됨
S.enteritidis는 계란 노른자에 존재하여 식중독을 일으킬 수 있음
오염된 야채나 과일이 원인이 될 수도 있음
증상 및 징후
고열과 오심, 때로는 구토, 경련성 복통, 이급후증(tenesmus)을 동반한 설사가 주요 증상
대개의 경우에는 대변에 혈액이나 고름이 섞여 나옴
환자의 1/3은 물과 같은 설사를 함
증상은 보통 4-7일 지나면 회복
급성으로 발열, 두통, 설사, 오심,구토등의 위장증상
급성 증상은 1·2일 만에 사라지나 식욕 부진과 설사는 7일간 계속되기도 함
때로는 급성장염으로 시작되어 패혈증이나 농양, 관절염, 담낭염, 심낭염, 폐렴, 농피증, 신우신염 등을 초래
치료방법
격리치료 해야 하며 탈수시 전해질과 수분을 공급하고 항생제를 투여
합병증이 없다면 수액보충과 대증치료를 함
항생제는 치료효과가 없고, 오히려 배균기간만 연장시킬 수 있음
노인이나 허약자 고열이 계속되는 사람, 합병증을 가진 중증 환자에게는 항생제를 투여함
예방법
음식을 만들기 전 또는 배변 후에는 손을 깨끗이 씻도록 함
모든 우유나 식료품은 살균하고, 유행지역에서는 물을 반드시 끓여먹음
음식은 익혀서 먹고, 과일의 껍질을 벗겨 먹음
모든 우유나 물을 소독함
보균자는 식품을 다루는 업무나 환자 간호를 해서는 않됨
손을 철저히 씻도록 함
동물성 식품과 달걀은 완전히 익혀먹고 조리할 때에는 오염방지와 조리를 끝낸 요리의 재 오염에 주의
참고문헌
예방의학편찬위원회. 2014. 예방의학. 계측문화사.
유해영. 2017. 제3판 공중보건학. 현문사.
어린 아이들에게 파충류는 적절한 애완동물이 아니며 영아와 같은 집에 두지 말아야 함
■ 세균성 이질 및 살모넬라증 요약표
세균성 이질
살모넬라증
원인균
shigella dysenteriae
Sallmonella.typhimurium,
Sallmonella.enteritidis
잠복기
1-7일
잠복기는 2-4시간
전파방법
환자나 보균자에 의한 직접 혹은 간접적인 대변-경구전파임
오염된 식수, 우유, 바퀴벌레, 파리에 의한 전파도 있음
오염된 동물성 식품이나 감염 동물의 분변에 오염된 음식물, 식수를 먹어서 감염
우유, 달걀, 고기 등가 그 제품이 원인이 됨
S.enteritidis는 계란 노른자에 존재하여 식중독을 일으킬 수 있음
오염된 야채나 과일이 원인이 될 수도 있음
증상 및 징후
고열과 오심, 때로는 구토, 경련성 복통, 이급후증(tenesmus)을 동반한 설사가 주요 증상
대개의 경우에는 대변에 혈액이나 고름이 섞여 나옴
환자의 1/3은 물과 같은 설사를 함
증상은 보통 4-7일 지나면 회복
급성으로 발열, 두통, 설사, 오심,구토등의 위장증상
급성 증상은 1·2일 만에 사라지나 식욕 부진과 설사는 7일간 계속되기도 함
때로는 급성장염으로 시작되어 패혈증이나 농양, 관절염, 담낭염, 심낭염, 폐렴, 농피증, 신우신염 등을 초래
치료방법
격리치료 해야 하며 탈수시 전해질과 수분을 공급하고 항생제를 투여
합병증이 없다면 수액보충과 대증치료를 함
항생제는 치료효과가 없고, 오히려 배균기간만 연장시킬 수 있음
노인이나 허약자 고열이 계속되는 사람, 합병증을 가진 중증 환자에게는 항생제를 투여함
예방법
음식을 만들기 전 또는 배변 후에는 손을 깨끗이 씻도록 함
모든 우유나 식료품은 살균하고, 유행지역에서는 물을 반드시 끓여먹음
음식은 익혀서 먹고, 과일의 껍질을 벗겨 먹음
모든 우유나 물을 소독함
보균자는 식품을 다루는 업무나 환자 간호를 해서는 않됨
손을 철저히 씻도록 함
동물성 식품과 달걀은 완전히 익혀먹고 조리할 때에는 오염방지와 조리를 끝낸 요리의 재 오염에 주의
참고문헌
예방의학편찬위원회. 2014. 예방의학. 계측문화사.
유해영. 2017. 제3판 공중보건학. 현문사.
추천자료
우리나라에서 발생하는 세균성 식중독균의 특성에 관한 고찰
[살모넬라균 식중독]살모넬라균의 개념, 살모넬라균의 군종과 아종, 살모넬라균 식중독의 원...
식품매개질환 살모넬라균과 장염비브리오균 식중독, 식품매개질환 세레우스균과 세균성이질균...
식품매개질환 캠필로박터균 식중독과 여시니아균 식중독, 식품매개질환 황색포도상구균 식중...
식품매개질환 웰치균 식중독과 포도상구균 식중독, 식품매개질환 살모넬라균 식중독과 캠필로...
식품매개질환 보툴리누스균과 세레우스균 식중독, 식품매개질환 포도상구균과 살모넬라균 식...
식품매개질환_살모넬라균과_장염비브리오균_식중독_식품매개질환_세레우스균과
[식중독][식중독과 유해물질][세균성이질][화학성식중독][식중독 예방법]식중독의 정의, 식중...
소화기계 전염병(장티푸스, 콜레라, 세균성이질, 폴리오-급성회백수염)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