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자기준거기준(SRC)의 개념 및 위험성
1) 개념
2) 자기준거기준(SRC)의 위험성
2. SRC는 성공적인 국제마케팅에서 가장 큰 장애물
3. SRC에 기반한 가치에 따른 반응
4. SRC에 기반한 잘못된 마케팅 사례
5. SRC의 영향을 조절하기 위한 가장 효과적인 방법
6. 글로벌 경영에서 문화 상대주의가 중요한 이유
1) 고기에 대한 여러 나라별 단상
2) 두루말이 화장지
3) 보신탕
1) 개념
2) 자기준거기준(SRC)의 위험성
2. SRC는 성공적인 국제마케팅에서 가장 큰 장애물
3. SRC에 기반한 가치에 따른 반응
4. SRC에 기반한 잘못된 마케팅 사례
5. SRC의 영향을 조절하기 위한 가장 효과적인 방법
6. 글로벌 경영에서 문화 상대주의가 중요한 이유
1) 고기에 대한 여러 나라별 단상
2) 두루말이 화장지
3) 보신탕
본문내용
리가 두루말이 화장지를 화장실용으로 쓰면서, 다른 일상생활에서도 두루말이 화장지를 쓴다는 것에 의아하게 생각한다. 더군다나, 그러한 화장지가 쓰레기통에 버려져 모아지는 것에 놀란다고 한다.
3) 보신탕
심심치 않게 외신의 한 면을 장식하곤 하는 우리나라의 보신탕 문화는 서양인들에겐 우리내 고유의 보신탕 문화가 곱게 보이지 않는 것이 분명하다. 지난 미국 솔트레이트 동계 올림픽때만 하더라도, 인신공격의 한 방법으로 보신탕 문화가 쓰였지기도 했다. 보신탕 문화는 우리 민족 특유의 사변적이고 관념적인 철학과 관계가 깊은 것으로써, 양질의 보양식으로, 각각의 절기마다 애용되며 유지되어 온 것인데, 국내에서도 비판여론이 없는 것은 아니지만, 민족 정서상 어느 정도는 이해하며, 잘못된 부분을 꼬집는 정도이다. 이러한 보신탕 문화를 서양인들은 야만인의 문화라 하며, 우리나라 사람들을 미개인으로 취급하고 있다.
어떻게 사람들의 친구인 개를 잔인한 방법으로 다루며, 먹기까지 할 수가 있느냐는 것이다. 보신탕 문화 타도를 외치는 사람으로 브리짓드 바르도 라는 프랑스 여배우가 대표적인데, 그녀는 우리나라 제품의 불매운동까지 벌이며 보신탕 문화가 사라져야 함을 주장하였다.
세계는 지금 '지구촌'이란 단어로 표현될 만큼 가까워지고 있습니다. 비약적인 과학 기술의 발달과 통신의 발달 등으로 인해 각 지역간 · 국가간의 제약은 사라지고, 상호교류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는 시대가 도래하였다. 이러한 시점에서 문화상대주의는 시대의 조류에 맞춰 반드시 집고 넘어가야 할 학문분야로써, 계속적인 연구와 관심이 급증하고 있다. 더욱이 중요한 사실은 단지 이론적 연구에만 머무르는 것이 아니라, 일상생활과 사고방식에 적극 수용하는 자세가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특히나 글로벌 경영에 있어서 문화상대주의가 중요한 이유는 P&G나 여타 글로벌 기업들이 다른 문화에 적응하지 못하고 현지화에 실패한 결과를 낳은 것은 넓은 맥락에서 보면 문화상대주의에 대한 이해가 부족한 것이었다. 단적인 예로 미국의 월마트는 한국과 독일에도 체인을 내었는데 타국에 대한 문화와 가치는 전혀 고려하지 않은 채, 미국에서 적용하였던 똑같은 비즈니스 모델을 적용함으로써 실패를 가져왔던 예가 있었다.
글로벌 기업이 타국에서 지사를 설립하고 경영을 하는 데 있어서 빠른 적응과 성공을 거두기 위해서는 현지화, 즉 타국의 문화를 이해하고 수용하며 존중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생각한다.
3) 보신탕
심심치 않게 외신의 한 면을 장식하곤 하는 우리나라의 보신탕 문화는 서양인들에겐 우리내 고유의 보신탕 문화가 곱게 보이지 않는 것이 분명하다. 지난 미국 솔트레이트 동계 올림픽때만 하더라도, 인신공격의 한 방법으로 보신탕 문화가 쓰였지기도 했다. 보신탕 문화는 우리 민족 특유의 사변적이고 관념적인 철학과 관계가 깊은 것으로써, 양질의 보양식으로, 각각의 절기마다 애용되며 유지되어 온 것인데, 국내에서도 비판여론이 없는 것은 아니지만, 민족 정서상 어느 정도는 이해하며, 잘못된 부분을 꼬집는 정도이다. 이러한 보신탕 문화를 서양인들은 야만인의 문화라 하며, 우리나라 사람들을 미개인으로 취급하고 있다.
어떻게 사람들의 친구인 개를 잔인한 방법으로 다루며, 먹기까지 할 수가 있느냐는 것이다. 보신탕 문화 타도를 외치는 사람으로 브리짓드 바르도 라는 프랑스 여배우가 대표적인데, 그녀는 우리나라 제품의 불매운동까지 벌이며 보신탕 문화가 사라져야 함을 주장하였다.
세계는 지금 '지구촌'이란 단어로 표현될 만큼 가까워지고 있습니다. 비약적인 과학 기술의 발달과 통신의 발달 등으로 인해 각 지역간 · 국가간의 제약은 사라지고, 상호교류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는 시대가 도래하였다. 이러한 시점에서 문화상대주의는 시대의 조류에 맞춰 반드시 집고 넘어가야 할 학문분야로써, 계속적인 연구와 관심이 급증하고 있다. 더욱이 중요한 사실은 단지 이론적 연구에만 머무르는 것이 아니라, 일상생활과 사고방식에 적극 수용하는 자세가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특히나 글로벌 경영에 있어서 문화상대주의가 중요한 이유는 P&G나 여타 글로벌 기업들이 다른 문화에 적응하지 못하고 현지화에 실패한 결과를 낳은 것은 넓은 맥락에서 보면 문화상대주의에 대한 이해가 부족한 것이었다. 단적인 예로 미국의 월마트는 한국과 독일에도 체인을 내었는데 타국에 대한 문화와 가치는 전혀 고려하지 않은 채, 미국에서 적용하였던 똑같은 비즈니스 모델을 적용함으로써 실패를 가져왔던 예가 있었다.
글로벌 기업이 타국에서 지사를 설립하고 경영을 하는 데 있어서 빠른 적응과 성공을 거두기 위해서는 현지화, 즉 타국의 문화를 이해하고 수용하며 존중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생각한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