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덕] 공리주의에 대한 고찰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도덕] 공리주의에 대한 고찰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판단하는 것은 잘못(시간 낭비)이다. 즉 결국은 비도덕적 결론에 이른다.
㉢윤리이론을 편리한 대로 주장하고 있다.
㉣행동을 위한 충분한 근거 제공에 실패했다.
② 규칙 공리주의 비판 : 원칙이 보편적일지라도 특수한 상황에 적용되지 않는 경우도 있다. 규칙의 설정과 적용 문제
지금까지 두 개의 대표적인 공리주의에 관해 살펴보았다. 다음으로 공리주의의 문제점을 보면
①\"사회의 기본적인 룰(약속 지키기, 살인 안 하기 등 상식적인 것들)을 지키는 한도 내에서 최대 행복-공리-을 추구하자\"는 규칙공리주의적인 입장에서, 공리주의적인 관점을 철저히 따르자면, 사회적인 룰이라는 것도 언제든지 공리성에 의해 뒤집힐 수 있는데, 언제 뒤집혀야 하고, 언제 지켜져야 하는지 알 수 없다. 그런 판단을 누가 할 수 있을지도 물론 알 수 없다.
②\'최대 다수의 최대 행복\'은 잘 정의된(well-defined) 단어가 아니다. 이 말이 뜻하는 바가 명확치 않다. 일반적인 \'최대선(행복의 총량)\'과 \'최대다수의 최대선(수혜자의 수를 고려한 총합)\' 중 어느 것을 따르라는 말인지, 애매하다. \"한 나라 안에 단 한 사람의 조만장자와 4천만명의 거지가 있어도 GNP만 증가하면 좋아졌다고 봐야 하는가.이것이 우리의 보편적 정서 안에서 정의로 통용될 수 있는가\"라는 질문에 명쾌한 답을 내려주지 못한다.
공리주의는 기본적으로 분배적 정의의 이상을 바람직하지 않다고 생각한다.
분배가 잘 이뤄지는 거지나라의 평균적인 사람보다 돈을 많이 버는 나라의 거지의 생활수준이 높다는 주장이다. 이에 대해서는 각자 생각하고 고민해봐야 할 것이다.
  • 가격1,000
  • 페이지수5페이지
  • 등록일2019.03.11
  • 저작시기2019.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08797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