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되었다. 그때 들어주신 예가 ‘물에 빠진 사람을 구조하는 이야기’였다. 이야기의 줄거리를 간단히 말하면 사람이 물에 빠졌는데 이를 구하려고 다른 사람이 뛰어들었다. 하지만 두 사람 다 결국 죽었다. 구조하려고 했던 사람의 행동이 옳은 것이냐, 그른 것이냐? 는 내용이었다. 그 자리에 있던 모든 아이들이 당연히 의롭고 정의로운 행동이라고 대답했다. 하지만 공리주의 입장에서 바라 본 선생님의 대답은 뜻밖이었다. 이는 결과적으로 두 사람 모두가 생명을 잃었기 때문에 이로운 행동이 아니라는 것이다. 결과가 바뀌어 구조를 무사히 하여 두 사람 다 살았다면 그 이야기를 달라졌을 것이라는 얘기였다. 물론 선생님께선 공리주의의 결과 중심적 원리를 강조하고자 단적인 예를 들었던 거지만 듣는 나로서는 이해가 되지 않았다. 결과라는 것은 칸트의 말처럼 인간이 책임질 수 없는 운이 작용할 수 있다. 그러한 인간 의지의 영역 밖에 놓여 있는 변수에 대해 고려하지 않고 결과만을 중시 하여 행위의 옳고 그름을 판단하는 것이 옳은 것인가의 문제에 대해 의문을 제기하게 된다. 이러한 물음에서부터 공리주의를 선택하게 되었는데, 그에 대한 대답이 공리주의만으로는 얻어질 수 없었다. 그래서 이러한 물음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결국 우리는 공리주의의 공리원칙뿐만 아니라 의무론자의 정의의 원칙, 그리고 덕 윤리의 장단점을 보완하여 모두를 아울러 적용하는 것이 가장 최선책인 아닌가 생각해 본다.
- 참고문헌 -
공리주의(이문출판사). J.S.밀 지음, 이윤상김수청 옮김
6학년 도덕 교사용 지도서
에듀넷(http://www.edunet4u.net)
- 참고문헌 -
공리주의(이문출판사). J.S.밀 지음, 이윤상김수청 옮김
6학년 도덕 교사용 지도서
에듀넷(http://www.edunet4u.net)
추천자료
규칙성과 함수영역 초등4학년 나 8 여러 가지 방법으로 문제풀기 단원 재구성 수업 지도안 및...
초등 6학년 5. 함께 지키자-법과 규칙을 잘 지키는지에 대해 반성하기 지도안
[도덕] 교과서분석
초등6) (도덕)과 교수-학습 과정안 - 5.함께 지키자 (도덕66~73 생길 64~68 (1/3)차시) : 법...
최대 다수의 최대 행복 공리주의(Utilitarianism)-다수가 아닌 모두의 행복을 위하여
[도덕과 교육의 실제] 대안사례를 통한 수업설계
공리주의와 도덕교육 - 6학년 - 5 함께 지키자 - 3차시
초등도덕교육론 - 공리주의 - 6학년 - 5 함께 지키자
공리주의 - 6학년 - 5 함께 지키자
소개글